목차
1. 기질의 정의
2. 기질의 개념과 특성
3. 기질의 진단과 구성
4. 기질의 유형과 그에 따른 양육방식
5. 기질에 대한 유전과 환경의 영향
2. 기질의 개념과 특성
3. 기질의 진단과 구성
4. 기질의 유형과 그에 따른 양육방식
5. 기질에 대한 유전과 환경의 영향
본문내용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처럼 보인다. 어머니와 재결합 했을 때 반갑게 맞이하지 않으며 잘 안기지 않는다. 약20%가 해당.
3) 저항애착
어머니 옆에 붙어서 거의 탐색을 하지 않는다. 어머니가 방을 나가면 심한 스트레스를 행동을 보인다. 어머니가 돌아와 안아 주어도 계속 울면서 화를 내고 쉽게 진정되지 않는다. 어머니와 접촉에 저항 또는 과도한 접촉을 양쪽 감정을 보인다.
약10%가 해당.
4) 혼란애착
낮선 상황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고 가장 불안정하다.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이 결합된 것이다. 어머니와 다시 만났을 때 멍하고 얼어붙은 듯한 행동과 안아줘도 먼 곳을 쳐다본다. 약10%.
○ 애착형성의 중요성
영아기에 형성된 애착은 이후 사회정서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또래와 잘 지내는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능력이 있으며, 친구관계를 잘 맺고 또래에 인기도 높다. 그러나 불안정 애착형성의 아동은 사회적 관계형성의 부정적인 기대 및 관계형성의 소극적,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애착관계는 아동기 이후에도 여전히 중요하여 부모와 안정애착을 맺지 못한 경우, 청소년기의 우울이나 불안, 대인관계가 부정적으로 발달될 가능성이 크다.
* 애착의 영향
1) 애착유형의 지속성
유아가 1세 이전의 애착 유형을 6세가 되어서도 대부분 지속한다.
애착 유형이 세대간 전달된다. 즉 어린 시절 부모와 가졌던 애착경험이 성인기까지 지속되어 부모로서의 자녀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와의 애착관계형성에 기여한다.
2)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Harlow의 사회성 박탈 실험(1977): 어미 원숭이와 분리해서 혼자 자란 원숭이는 정서적 불안과 공포, 극심한 공격적 성향을 보인다.
3)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정적으로 애착이 형성된 유아가 또래 아이들에게 더 많은 애정과 관심을 보이고, 놀이에서 주도권을 가지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많고, 덜 공격적이다. 또한 긍정적인 자아인지를 보인다. 불안정 회피유형의 유아는 자신을 완벽하게 보이려는 경향이 높다.
4)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정애착의 영아의 경우 낯선 상황에서 어머니를 안전기지로 삼음으로써 새로운 환경을 탐색하려는 호기심을 적극적으로 보이며, 초등학교시기에 전반적으로 높은 성적을 보인다. 불안정 애착 유아는 지적 호기심이 낮고, 문제해결에 있어 과업몰입 정도도 떨어지고, 지속적이지 못하다.
3) 저항애착
어머니 옆에 붙어서 거의 탐색을 하지 않는다. 어머니가 방을 나가면 심한 스트레스를 행동을 보인다. 어머니가 돌아와 안아 주어도 계속 울면서 화를 내고 쉽게 진정되지 않는다. 어머니와 접촉에 저항 또는 과도한 접촉을 양쪽 감정을 보인다.
약10%가 해당.
4) 혼란애착
낮선 상황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고 가장 불안정하다.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이 결합된 것이다. 어머니와 다시 만났을 때 멍하고 얼어붙은 듯한 행동과 안아줘도 먼 곳을 쳐다본다. 약10%.
○ 애착형성의 중요성
영아기에 형성된 애착은 이후 사회정서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또래와 잘 지내는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능력이 있으며, 친구관계를 잘 맺고 또래에 인기도 높다. 그러나 불안정 애착형성의 아동은 사회적 관계형성의 부정적인 기대 및 관계형성의 소극적,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애착관계는 아동기 이후에도 여전히 중요하여 부모와 안정애착을 맺지 못한 경우, 청소년기의 우울이나 불안, 대인관계가 부정적으로 발달될 가능성이 크다.
* 애착의 영향
1) 애착유형의 지속성
유아가 1세 이전의 애착 유형을 6세가 되어서도 대부분 지속한다.
애착 유형이 세대간 전달된다. 즉 어린 시절 부모와 가졌던 애착경험이 성인기까지 지속되어 부모로서의 자녀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와의 애착관계형성에 기여한다.
2)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Harlow의 사회성 박탈 실험(1977): 어미 원숭이와 분리해서 혼자 자란 원숭이는 정서적 불안과 공포, 극심한 공격적 성향을 보인다.
3)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정적으로 애착이 형성된 유아가 또래 아이들에게 더 많은 애정과 관심을 보이고, 놀이에서 주도권을 가지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많고, 덜 공격적이다. 또한 긍정적인 자아인지를 보인다. 불안정 회피유형의 유아는 자신을 완벽하게 보이려는 경향이 높다.
4)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정애착의 영아의 경우 낯선 상황에서 어머니를 안전기지로 삼음으로써 새로운 환경을 탐색하려는 호기심을 적극적으로 보이며, 초등학교시기에 전반적으로 높은 성적을 보인다. 불안정 애착 유아는 지적 호기심이 낮고, 문제해결에 있어 과업몰입 정도도 떨어지고, 지속적이지 못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