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문 가사 및 한문 가사
2. 전고(典考)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2. 전고(典考)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본문내용
탈락했다. ‘-’은 부사격 조사이다. ‘곤복(袞服)’은 곤룡포를 말한다.
4. 현대어 풀이
지금까지 살펴본 <용비어천가> 제25장을 현대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송나라 태조의) 덕망이 저러하시므로 가다가 돌아오는 군사가 자기에게 황포를 입혔으니.
(환조의) 충성이 이러하시므로 죽다가 살아난 백성이 그 아들(이성계)에게 곤복을 입혔으니.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김상억, “용비어천가”, 1993, 을유문화사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
4. 현대어 풀이
지금까지 살펴본 <용비어천가> 제25장을 현대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송나라 태조의) 덕망이 저러하시므로 가다가 돌아오는 군사가 자기에게 황포를 입혔으니.
(환조의) 충성이 이러하시므로 죽다가 살아난 백성이 그 아들(이성계)에게 곤복을 입혔으니.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김상억, “용비어천가”, 1993, 을유문화사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