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론 시험정리(이계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려대장경에 대해서 >
고려후기의 불교결사
➟ 지눌
➟ 요세
2. 법화삼매참의를 수행하는 방향으로 잡음으로 법화신앙에 의한 참회와 불교의식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문신과 과거합격자들이 함께 했는데. 8국사를 배출하였다.

본문내용

러 장군들을 들을 수 있다.
-정운:조선 중기의 무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의 선봉장이 되어 옥포해전·당포해전·한산도대첩 등의 여러 해전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정걸:조선 중기의 무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과 함께 옥포해전, 한산도대첩, 부산포해전 등에 참가해 많은 공을 세웠다. 행주대첩과 서울 탈환작전에 참가했다.
-나대용:임진왜란 때 수군(水軍)의 장군 ·거북선의 건조 책임자. 이순신장군 막하에서 거북선 건조를 위시한 모든 전구(戰具)의 준비 계획과 추진에 참여해 병선건조에 온갖 정력을 쏟는 한편 15여 회의 해전에서 큰 공을 세웠다.
-송희립:조선 중기의 무신.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통제사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고 정유재란 때 노량해전에서 왜군에게 포위된 명나라 도독 진린을 구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0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