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스포츠참여와 우울 정도와의 관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생의 스포츠참여와 우울 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목표
2. 연구의 기본 가정
3. 연구의 변인과 문제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 신뢰도 분석
2. 타당도 분석
3. 문항 삭제 후 신뢰도·타당도 분석
4. T-검정
5. 상관 분석

본문내용

평균
등분산이 가정됨
.002
.968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
무력감평균
등분산이 가정됨
.463
.499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
평균의 동일성에 대한 t-검정
t
자유도
유의확률 (양쪽)
평균차
차이의 표준오차
차이의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1.752
64
.085
-.24167
.13797
-.51729
.03396
-1.729
57.946
.089
-.24167
.13977
-.52144
.03811
-2.237
64
.029
-.27222
.12168
-.51530
-.02914
-2.221
59.882
.030
-.27222
.12255
-.51738
-.02707
-3.411
64
.001
-.35333
.10357
-.56025
-.14642
-3.392
60.339
.001
-.35333
.10416
-.56167
-.14500
-.561
64
.577
-.07778
.13862
-.35470
.19915
-.568
63.784
.572
-.07778
.13701
-.35151
.19596
-2.249
64
.028
-.28000
.12451
-.52873
-.03127
-2.276
63.818
.026
-.28000
.12301
-.52575
-.03425
위의 독립표본검정의 유의확률(>.05)을 통해 모든 요인이 등분산이 가정되며 대인장애, 자기비하, 무력감의 유의확률(양쪽)이 각각 .029, .001, .028로 .05보다 작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은 운동에 참여하는 집단에 비해 대인장애, 자기비하, 무력감의 요소에 있어서 우울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5. 상관 분석
상관분석이란 모든 사상에서 상관되는 인자가 서로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관련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수치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문제2의 스포츠 활동 참여 기간, 참여 빈도와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1) 참여 기간과 상관계수
상관계수
참여기간
우울정서평균
대인장애평균
참여기간
Pearson 상관계수
1
.139
.063
유의확률 (양쪽)
.427
.719
N
35
35
35
우울정서평균
Pearson 상관계수
.139
1
.334(**)
유의확률 (양쪽)
.427
.006
N
35
66
66
대인장애평균
Pearson 상관계수
.063
.334(**)
1
유의확률 (양쪽)
.719
.006
N
35
66
66
자기비하평균
Pearson 상관계수
.052
.555(**)
.733(**)
유의확률 (양쪽)
.768
.000
.000
N
35
66
66
무능감평균
Pearson 상관계수
.053
.394(**)
.503(**)
유의확률 (양쪽)
.763
.001
.000
N
35
66
66
무력감평균
Pearson 상관계수
.211
.534(**)
.395(**)
유의확률 (양쪽)
.225
.000
.001
N
35
66
66
자기비하평균
무능감평균
무력감평균
.052
.053
.211
.768
.763
.225
35
35
35
.555(**)
.394(**)
.534(**)
.000
.001
.000
66
66
66
.733(**)
.503(**)
.395(**)
.000
.000
.001
66
66
66
1
.551(**)
.421(**)
.000
.000
66
66
66
.551(**)
1
.299(*)
.000
.015
66
66
66
.421(**)
.299(*)
1
.000
.015
66
66
66
위의 상관계수를 통해 참여기간과 우울을 측정하고자 하는 요인 중 무엇도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오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반드시 정적인 상관관계를 기대하기는 힘들지만 개인이 운동에 정착하기 위한 최소한의 스포츠 활동 참여기간 이후에는 우울지수와의 부분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기대되는 기존 상식과는 상반된 결과로, 앞서 언급했듯 표본의 수가 적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밝혀졌듯 개발된 문항이 우울의 하위요소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해 우울지표를 대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2) 참여빈도와 상관계수
상관계수
참여빈도
우울정서평균
대인장애평균
참여빈도
Pearson 상관계수
1
.091
.067
유의확률 (양쪽)
.599
.700
N
36
36
36
우울정서평균
Pearson 상관계수
.091
1
.334(**)
유의확률 (양쪽)
.599
.006
N
36
66
66
대인장애평균
Pearson 상관계수
.067
.334(**)
1
유의확률 (양쪽)
.700
.006
N
36
66
66
자기비하평균
Pearson 상관계수
.260
.555(**)
.733(**)
유의확률 (양쪽)
.125
.000
.000
N
36
66
66
무능감평균
Pearson 상관계수
-.003
.394(**)
.503(**)
유의확률 (양쪽)
.984
.001
.000
N
36
66
66
무력감평균
Pearson 상관계수
.177
.534(**)
.395(**)
유의확률 (양쪽)
.301
.000
.001
N
36
66
66
자기비하평균
무능감평균
무력감평균
.260
-.003
.177
.125
.984
.301
36
36
36
.555(**)
.394(**)
.534(**)
.000
.001
.000
66
66
66
.733(**)
.503(**)
.395(**)
.000
.000
.001
66
66
66
1
.551(**)
.421(**)
.000
.000
66
66
66
.551(**)
1
.299(*)
.000
.015
66
66
66
.421(**)
.299(*)
1
.000
.015
66
66
66
위의 표를 통해 참여빈도와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 요인 중 무엇도 상관관계가 없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역시 스포츠 활동 참여빈도와 강도가 극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어느 정도의 부분적 음의 상관관계를 기대하는 기존의 상식에 비추어 뜻밖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원인으로는 앞서 참여기간과 마찬가지로 적은 표본 수와 문항 개발에서의 대표성 획득 미흡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즉,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문항들의 구인 타당도가 낮기 때문에 이것이 상관관계 측정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결론지었다.
  • 가격4,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3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