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 현대문학의 출발
2. 신시기 중국 문학의 변모 양상
2-1 1976-1985 : 상흔문학, 되돌아보기문학, 개혁문학, 기실문학, 몽롱시
2-2 1985-1989 : 모더니즘적문학, 뿌리찾기문학, 신향토소설, 신사실소설, 통속문학
2-3 1989- : 王朔의 범죄소설, 賈平凹의 〈폐도〉
3. 중국문학의 앞날
2. 신시기 중국 문학의 변모 양상
2-1 1976-1985 : 상흔문학, 되돌아보기문학, 개혁문학, 기실문학, 몽롱시
2-2 1985-1989 : 모더니즘적문학, 뿌리찾기문학, 신향토소설, 신사실소설, 통속문학
2-3 1989- : 王朔의 범죄소설, 賈平凹의 〈폐도〉
3. 중국문학의 앞날
본문내용
회적 가치의 혼돈 및 실망감에 힘입고 있으며, 작품 자체의 측면에서는 그의 빼어난 北京 방언의 구사, 가볍게 내뱉는 시니컬한 유모어, 기존 관념에 대한 도전, 천박한 젊은이들의 유희적 언어 등에 의한 것이다. 그는 〈사회주의적 범죄는 즐겁다一半是火焰,一半是海水〉, 〈물위의 연가浮出海面〉, 〈노는 것 만큼 신나는 것도 없다玩的就是心跳〉 등 많은 소설을 내놓았는데 그 중 상당수 작품이 영화나 드라마로 만들어졌고, 마치 자본주의 사회의 베스트셀러 작가처럼 작품 착수에 들어가기도 전에 거액의 계약금을 먼저 챙길 정도로 엄청난 고료를 받고 있다.
2-3-2 賈平凹의 〈폐도廢都〉
賈平凹는 1953년생으로 소설과 산문 두 분야에서 모두 뛰어난 성취를 이룬 작가다. 여러 차례의 수상 경력이 있는데, 그중에는 1988년 장편소설 〈조바심浮躁〉으로 미국 스탠다드 석유회사 문화재단에서 수여하는 황금비마상 수상도 있다. 그의 〈폐도廢都〉는 1993년 6월에 출판된 이래 해적판까지 합쳐 1천만 부 이상 팔려나갔다고 한다. 그러나 출판된 지 2개월 만에 포르노소설이라고 해서 중국 당국에 의해 판금 조치되었다. 이 소설의 중심 줄거리는 西安의 4대 유력인사 중 한 명인 莊之蝶이란 인물이 1980년대의 급변하는 중국 사회를 배경으로 4명의 여성을 편력하는 것이고, 이와 관련하여 여러 부분에서 중국의 현상황에서 볼 때 상당히 색정적인 장면과 묘사가 등장한다. 그렇지만 실상 이 소설이 궁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급변하는 중국 사회의 변화와 이에 따른 중국인의 의식 변화다. 거기다가 구성상의 특이함, 리얼리즘적 기법에서 부터 치밀한 심리묘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법의 사용, 서정시를 연상시키는 유려한 문체, 자유자재의 민간 언어 구사, 섬세한 세부묘사, 중국의 전통 예술과 민속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식견 …… 등이 어우러져 일종의 문화적 분위기를 창조해내고 있다. 아마도 바로 이러한 엇갈림이 이 작품에 대한 논란을 유발하게 되었을 것인 바, 지금까지도 이러한 논란은 종식되지 않고 있다.
3. 중국문학의 앞날
신시기 중국문학은 (1) 1976-1985 (2) 1985-1989 (3) 1989- 의 세 단계를 거치면서 개성화、다양화、개방화 등의 특징적 변모를 보여 주고 있다. 신시기 중국 문학의 이러한 변모는, 개혁과 개방이라는 말로 대표되는 신시기 중국 사회의 전반적 변화와 더불어 새롭게 형성된 오늘날 중국인의 사상 감정을, 그에 걸맞는 언어와 문학적 장치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중국 문학의 ‘현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시기 중국문학의 현대화에는 아직도 많은 여정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문학의 현대화 자체가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동태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지금 현재로서도 중국 문학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자. (1) 개혁과 개방이라는 말, 특히 사회주의시장경제라는 중국식 사회주의의 실험이라는 말이 대표하듯이 중국 사회는 현재에도 급격한 변화가 진전되고 있고, 따라서 그전에는 미처 경험해보지 못한 수많은 현상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문학이 과연 이를 어떻게 표현해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중국인의 생활이 갈수록 넓어지고 깊어지고 복잡해지고 있고, 개인주의화、감각주의화 경향의 대두 등에서도 나타나듯이 중국인의 사상과 감정이 대단히 유동적인 상황에 있고, 중국인의 전반적인 문화 수준이 상승되고 그 문화적 욕구 역시 다양해지고 있고, 외국인과의 접촉이나 외국 여행、위성방송 등을 통한 외국문화의 영향이 날로 다대해지고 있고, …… 등에 대해서 중국 문학가들은 어떻게 이를 형상화할 것이며, 그들의 그러한 노력은 세계문학에서 어떠한 역할과 작용을 할 것인가 하는 점이 주목되는 것이다. (2) 문학 작품의 창작과 그것의 수용을 이어주는 전달자 또는 전달매체의 역할 증대에 대해서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환언하자면 오늘날 중국 사회에서 나날이 강화되는 출판、유통의 상업주의화라든가 하는 등등의 변화에 과연 어떻게 적응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전과 달리 이것이 이제는 중국 문학의 성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한 요소가 되었고, 더 나아가서 중국 문학의 발전에 중대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산문 분야의 경우 1980년대 중반 이후 약간의 저조 상황을 보였던 것이라든가 1990년대에 들어와서 성황을 보이고 있는 이면에는, 독자의 호응도를 고려한 출판사、신문사、잡지사의 고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게재를 결정하는 편집자들의 산문 관념이 일정 정도 개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3) 갈수록 증대되는 세계문학과의 쌍방향적 상호 작용에 대해 중국 문학가들이 작품의 창작은 물론 그 외의 측면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예컨대 번역 작업을 통한 외국 문학 작품의 소개를 통해 중국 문학에 세계적 요소를 흡수하고 또 그것을 민족화하는 한편 중국 고유의 요소들을 세계화하는 노력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은 당연하거니와, 이와는 반대로 중국 문학의 적극적인 해외 소개를 통해서 세계문학계로부터 그 성과를 검증 받고 또 세계문학의 진전에 영향을 주는 등의 역할과 더불어 이러한 작업의 과정에서 중국 문학 자체가 세계화될 수 있도록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노력은 비단 작품의 창작과 번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문학 이론계 역시 그 동안의 중국적 범위 내에서만 중국 문학을 검토하던 것에서 벗어나서, 중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 검토하고, 비판적、선택적인 종적 계승과 횡적 수용의 원칙과 방법 및 그 대상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탐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국 문학의 미래에 대해 간단히 언급해 보자. 중국 문학은 중국 문화의 저력을 배경으로 하는 그 유구한 전통과 그에 대한 중국인의 각별한 애정 및 중국 사회 전반의 문화적 향상을 고려해 볼 때, 비록 문학의 상품화와 저속화가 성가신 존재로 작용하기는 하겠지만, 적어도 상당 기간 동안은 지속적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며 세계문학에서도 그 마땅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2-3-2 賈平凹의 〈폐도廢都〉
賈平凹는 1953년생으로 소설과 산문 두 분야에서 모두 뛰어난 성취를 이룬 작가다. 여러 차례의 수상 경력이 있는데, 그중에는 1988년 장편소설 〈조바심浮躁〉으로 미국 스탠다드 석유회사 문화재단에서 수여하는 황금비마상 수상도 있다. 그의 〈폐도廢都〉는 1993년 6월에 출판된 이래 해적판까지 합쳐 1천만 부 이상 팔려나갔다고 한다. 그러나 출판된 지 2개월 만에 포르노소설이라고 해서 중국 당국에 의해 판금 조치되었다. 이 소설의 중심 줄거리는 西安의 4대 유력인사 중 한 명인 莊之蝶이란 인물이 1980년대의 급변하는 중국 사회를 배경으로 4명의 여성을 편력하는 것이고, 이와 관련하여 여러 부분에서 중국의 현상황에서 볼 때 상당히 색정적인 장면과 묘사가 등장한다. 그렇지만 실상 이 소설이 궁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급변하는 중국 사회의 변화와 이에 따른 중국인의 의식 변화다. 거기다가 구성상의 특이함, 리얼리즘적 기법에서 부터 치밀한 심리묘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법의 사용, 서정시를 연상시키는 유려한 문체, 자유자재의 민간 언어 구사, 섬세한 세부묘사, 중국의 전통 예술과 민속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식견 …… 등이 어우러져 일종의 문화적 분위기를 창조해내고 있다. 아마도 바로 이러한 엇갈림이 이 작품에 대한 논란을 유발하게 되었을 것인 바, 지금까지도 이러한 논란은 종식되지 않고 있다.
3. 중국문학의 앞날
신시기 중국문학은 (1) 1976-1985 (2) 1985-1989 (3) 1989- 의 세 단계를 거치면서 개성화、다양화、개방화 등의 특징적 변모를 보여 주고 있다. 신시기 중국 문학의 이러한 변모는, 개혁과 개방이라는 말로 대표되는 신시기 중국 사회의 전반적 변화와 더불어 새롭게 형성된 오늘날 중국인의 사상 감정을, 그에 걸맞는 언어와 문학적 장치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중국 문학의 ‘현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시기 중국문학의 현대화에는 아직도 많은 여정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문학의 현대화 자체가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동태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지금 현재로서도 중국 문학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자. (1) 개혁과 개방이라는 말, 특히 사회주의시장경제라는 중국식 사회주의의 실험이라는 말이 대표하듯이 중국 사회는 현재에도 급격한 변화가 진전되고 있고, 따라서 그전에는 미처 경험해보지 못한 수많은 현상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문학이 과연 이를 어떻게 표현해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중국인의 생활이 갈수록 넓어지고 깊어지고 복잡해지고 있고, 개인주의화、감각주의화 경향의 대두 등에서도 나타나듯이 중국인의 사상과 감정이 대단히 유동적인 상황에 있고, 중국인의 전반적인 문화 수준이 상승되고 그 문화적 욕구 역시 다양해지고 있고, 외국인과의 접촉이나 외국 여행、위성방송 등을 통한 외국문화의 영향이 날로 다대해지고 있고, …… 등에 대해서 중국 문학가들은 어떻게 이를 형상화할 것이며, 그들의 그러한 노력은 세계문학에서 어떠한 역할과 작용을 할 것인가 하는 점이 주목되는 것이다. (2) 문학 작품의 창작과 그것의 수용을 이어주는 전달자 또는 전달매체의 역할 증대에 대해서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환언하자면 오늘날 중국 사회에서 나날이 강화되는 출판、유통의 상업주의화라든가 하는 등등의 변화에 과연 어떻게 적응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전과 달리 이것이 이제는 중국 문학의 성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한 요소가 되었고, 더 나아가서 중국 문학의 발전에 중대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산문 분야의 경우 1980년대 중반 이후 약간의 저조 상황을 보였던 것이라든가 1990년대에 들어와서 성황을 보이고 있는 이면에는, 독자의 호응도를 고려한 출판사、신문사、잡지사의 고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게재를 결정하는 편집자들의 산문 관념이 일정 정도 개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3) 갈수록 증대되는 세계문학과의 쌍방향적 상호 작용에 대해 중국 문학가들이 작품의 창작은 물론 그 외의 측면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예컨대 번역 작업을 통한 외국 문학 작품의 소개를 통해 중국 문학에 세계적 요소를 흡수하고 또 그것을 민족화하는 한편 중국 고유의 요소들을 세계화하는 노력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은 당연하거니와, 이와는 반대로 중국 문학의 적극적인 해외 소개를 통해서 세계문학계로부터 그 성과를 검증 받고 또 세계문학의 진전에 영향을 주는 등의 역할과 더불어 이러한 작업의 과정에서 중국 문학 자체가 세계화될 수 있도록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노력은 비단 작품의 창작과 번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문학 이론계 역시 그 동안의 중국적 범위 내에서만 중국 문학을 검토하던 것에서 벗어나서, 중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 검토하고, 비판적、선택적인 종적 계승과 횡적 수용의 원칙과 방법 및 그 대상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탐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국 문학의 미래에 대해 간단히 언급해 보자. 중국 문학은 중국 문화의 저력을 배경으로 하는 그 유구한 전통과 그에 대한 중국인의 각별한 애정 및 중국 사회 전반의 문화적 향상을 고려해 볼 때, 비록 문학의 상품화와 저속화가 성가신 존재로 작용하기는 하겠지만, 적어도 상당 기간 동안은 지속적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며 세계문학에서도 그 마땅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