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NAVER 기업분석
(1) NAVER란?
(2) NAVER의 서비스
(3) 네이버의 현재
2. STP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7P
(1) Product
(2) Place
(3) Price-모바일 광고의 종류와 가격
(4) Promotion
(5) process
(6) People
(7) Physical evidence
5. 시사점
(1) NAVER란?
(2) NAVER의 서비스
(3) 네이버의 현재
2. STP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7P
(1) Product
(2) Place
(3) Price-모바일 광고의 종류와 가격
(4) Promotion
(5) process
(6) People
(7) Physical evidence
5. 시사점
본문내용
과 종업원들의 인지적· 정서적· 심리적 반응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외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서비스에 대한 평준화와 인적서비스의 무형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여기서 네이버 모바일 광고의 경우, 광고 소비자(스마트폰 사용자)가 광고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웹 사이트 검색에서 사용하는 그린윈도우, 네이버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등이 있다.
- 그린윈도우
현재 네이버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네이버 모바일 검색 광고에서 광고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물리적 환경이다.
네이버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보통 파워링크 2~3개의 업체가 노출된다. 위의 예시는 아이폰의 경우이며, 스마트폰의 창 크기에 따라 노출 업체의 수는 1~2개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
모바일 검색을 통한 구매는 아직 미미하다. 기존 오픈마켓(G마켓, 옥션, 11번가 등)에서 볼 수 있듯 아직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것은 쉽지 않고, 작은 화면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이렇듯 광고를 통한 제품구매는 쉽지 않지만 제품에 대한 홍보효과는‘많다’고 할 수 있다.
모바일 검색에서는 PC보다는 좀 더 구체화된 질의에 대한 광고에 높은 클릭을 보이고 있다. 이는 모바일에서는 화면 크기의 제약이나 데이터 통신료에 대한 부담감으로 광범위한 키워드 입력 후 검색 페이지 내에서 내비게이션을 통해 원하는 답을 얻기 보다는 구체화된 질의를 통해 원하는 결과를 바로 얻고자 하는 니즈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바일 검색에서는 ‘지역+키워드’로 이루어진 지역 검색어의 비중이 PC 검색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내부에서 분석한 데이터에 의하면 지역 명을 포함한 지역성 키워드의 검색 비중이 모바일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의 이동성으로 인해 이용자가 현재 자기가 있는 위치를 기반으로 검색을 시도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면 이러한 검색 패턴은 지역을 타게팅하여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실제 모바일 검색에서는 대리운전, 렌터카, 퀵서비스, 음식배달 등과 같이 즉각적으로 전화 연결이 가능한 키워드의 광고 클릭률이 PC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모바일 검색광고의 가장 큰 장점인 광고와 함께 전화번호 클릭을 통해 바로 전화 연결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린윈도우 창 자체를 크게 만들어 소비자들이 검색서비스를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제 일부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작은 화면에서 작은 그린윈도우 창을 클릭하는 데 불편을 겪어 검색창 대신에 다른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가 많다.
5. 시사점
국내 네이버 톡의 실패, 광고력의 부족인가? 서비스 기능의 부족인가?
네이버의 일본 진출, 무모한 도전인가? 새로운 시장 개척인가?
=> 최근 NHN은 네이버 재팬의 검색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NHN재팬의 유상증자에 참여했다. 증자 규모는 949억 원. 지난해 5월 일본의 검색포털인 라이브도어 인수에 이은 대규모 투자다. 라이브도어 인수금액은 63억 엔(735억 원)이었다. 결국 NHN은 지난 1년간 일본 검색 사업에 1600억 원 투자한 셈이다.
하지만 2009년 7월 네이버재팬 시범서비스를 시작해 현재까지 그렇다 할 수입이 없다. 인터넷 검색 업체가 수입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로 검색광고와 디스플레이광고가 있다. 하지만 유의미한 웹 교통량을 얻지 못하면 광고효과가 없기 때문에 수익을 올릴 수 없다. 문제는 네이버재팬이 언제 수익을 올릴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검색 사업은 현지 언어와 문화에 어우러져 철저히 현지화가 돼야 성공을 이끌어내야 한다.
**여기서 네이버 모바일 광고의 경우, 광고 소비자(스마트폰 사용자)가 광고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웹 사이트 검색에서 사용하는 그린윈도우, 네이버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등이 있다.
- 그린윈도우
현재 네이버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네이버 모바일 검색 광고에서 광고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물리적 환경이다.
네이버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보통 파워링크 2~3개의 업체가 노출된다. 위의 예시는 아이폰의 경우이며, 스마트폰의 창 크기에 따라 노출 업체의 수는 1~2개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
모바일 검색을 통한 구매는 아직 미미하다. 기존 오픈마켓(G마켓, 옥션, 11번가 등)에서 볼 수 있듯 아직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것은 쉽지 않고, 작은 화면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이렇듯 광고를 통한 제품구매는 쉽지 않지만 제품에 대한 홍보효과는‘많다’고 할 수 있다.
모바일 검색에서는 PC보다는 좀 더 구체화된 질의에 대한 광고에 높은 클릭을 보이고 있다. 이는 모바일에서는 화면 크기의 제약이나 데이터 통신료에 대한 부담감으로 광범위한 키워드 입력 후 검색 페이지 내에서 내비게이션을 통해 원하는 답을 얻기 보다는 구체화된 질의를 통해 원하는 결과를 바로 얻고자 하는 니즈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바일 검색에서는 ‘지역+키워드’로 이루어진 지역 검색어의 비중이 PC 검색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내부에서 분석한 데이터에 의하면 지역 명을 포함한 지역성 키워드의 검색 비중이 모바일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의 이동성으로 인해 이용자가 현재 자기가 있는 위치를 기반으로 검색을 시도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면 이러한 검색 패턴은 지역을 타게팅하여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실제 모바일 검색에서는 대리운전, 렌터카, 퀵서비스, 음식배달 등과 같이 즉각적으로 전화 연결이 가능한 키워드의 광고 클릭률이 PC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모바일 검색광고의 가장 큰 장점인 광고와 함께 전화번호 클릭을 통해 바로 전화 연결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린윈도우 창 자체를 크게 만들어 소비자들이 검색서비스를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제 일부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작은 화면에서 작은 그린윈도우 창을 클릭하는 데 불편을 겪어 검색창 대신에 다른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가 많다.
5. 시사점
국내 네이버 톡의 실패, 광고력의 부족인가? 서비스 기능의 부족인가?
네이버의 일본 진출, 무모한 도전인가? 새로운 시장 개척인가?
=> 최근 NHN은 네이버 재팬의 검색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NHN재팬의 유상증자에 참여했다. 증자 규모는 949억 원. 지난해 5월 일본의 검색포털인 라이브도어 인수에 이은 대규모 투자다. 라이브도어 인수금액은 63억 엔(735억 원)이었다. 결국 NHN은 지난 1년간 일본 검색 사업에 1600억 원 투자한 셈이다.
하지만 2009년 7월 네이버재팬 시범서비스를 시작해 현재까지 그렇다 할 수입이 없다. 인터넷 검색 업체가 수입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로 검색광고와 디스플레이광고가 있다. 하지만 유의미한 웹 교통량을 얻지 못하면 광고효과가 없기 때문에 수익을 올릴 수 없다. 문제는 네이버재팬이 언제 수익을 올릴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검색 사업은 현지 언어와 문화에 어우러져 철저히 현지화가 돼야 성공을 이끌어내야 한다.
추천자료
차세대 이동통신 IMT-2000의 국내 파급효과 사례연구
게임산업구조와 발전방향 및 문제점
스마트폰과 자동차 산업
LG전자 홍보 - 홍보학-LG전자 홍보,홍보마케팅,가치창조,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CJ Media의 2015년 여론 창출 전략 - CJMedia,CJ미디어,엠넷,CGV,XTM,tvN,미디어여론창출,여...
음악이 필요한 순간 Melon - 멜론 melon 기업분석과 마케팅사례분석및 멜론의 경쟁우위와 문...
NC소프트 (엔씨소프트) 마케팅전략분석및 NC소프트 해외진출전략,문제점과 해결방안 제안 - N...
P2P, 닷컴기업 수익모델(비즈니스모델, 비즈니스모델), 무선인터넷 수익모델(비즈니스모델, ...
넥슨(nexon) - 넥슨 마케팅전략,넥슨기업분석,넥스경영전략,게임 산업 분석
[올리브영 마케팅전략]드럭스토어의 개념과 특징/자사분석/경쟁사분석/환경분석/SWOT/STP/4P분석
중국 최대 검색 싸이트 바이두 (Baidu ; 百度) & CEO 리옌홍(李彦宏/이언굉-로빈 리(Robi...
(중국 게임회사) 텐센트(Tecent) & CEO 마화텅(馬化騰/마화등) - 창조적 모방으로 승부한...
NEXON 넥슨 기업 경영전략분석과 넥슨 현재 문제점 및 해결방안제안과 나의견해 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