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⑴ 서 론 - 오늘날 우리 학교 교육의 현실
⑵ 본 론 - 교육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 이상적인 교육의 목적
- 학교 교육의 본질을 구현할 올바른 교사상
⑶ 결 론 - 참된 교육자로서의 자세
⑵ 본 론 - 교육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 이상적인 교육의 목적
- 학교 교육의 본질을 구현할 올바른 교사상
⑶ 결 론 - 참된 교육자로서의 자세
본문내용
는 것은 문제가 있다. 교사가 의도하든 하지 않든 학생은 ‘완전한 인격체’라는 의식을 마음깊이 깨닫고 있지 못한다면 학생에게 상처를 주게 될 것이다. 모름지기 교사는 학생의 인격을 존중해야함에, 세 번째는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는 교사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올바른 교사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기분야의 전문성을 가지고 성실과 열정을 다해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는 교사가 그것이다. 이는 내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의 자질과 역할일 뿐만 아니라 교사라면 갖추고 있어야 할 것들이다. 학생을 가르친다고 해서,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한다고 해서 좋은 교사라고 할 수는 없다. 교사일 수는 있어도 좋은 교사가 되지는 못한다. 이 세 가지가 분명 좋은 교사의 역할과 자질이 교사상의 전부는 아니다. 또한 이 세 가지의 모습이 각각 독립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본질은 하나로 이어진다고 생각한다. 교사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학생을 생각하는 마음이 바로 그것이다. 전문성이 있으려면 노력을 해야 하고, 노력은 열정 없이는 해낼 수가 없으며 이 열정은 교사로서의 사명감이며 학생을 생각하는 마음인 것이다. 학생을 생각한다는 것은 학생을 인격체로 존중한다는 것과 동등하며 학생의 인격을 존중한다면 편애란 있을 수 없다. 좋은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고 맡은 바 그 역할을 다한다면 그 모습이 바로 좋은 교사상이다. 내가 나열한 좋은 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바탕으로 내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상을 찾는다면 한마디로 인간주의적 교사상에 가깝다고 하겠다.
5. 결론 - 참된 교육자로서의 자세
사회과 교사를 꿈꾸는 나로서는 현재의 교육 현실에 좋지 않은 시선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특히나 본질 교과로서의 사회과는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과 주입과는 거리가 먼 과목이다. 사회과의 교육 목적은 학생으로 하여금 사회를 통찰하는 안목을 키우고, 현실 속의 실생활에 직면한 크고 작은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임에 사회과의 무수한 개념들을 단순 암기시키는 것은 사회과 교육 목적에는 한참 엇나간 것이라 생각한다.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에는 물론 미처 생각치 못한 많은 엇갈림이 있겠지만, 기회가 된다면 학생들의 생각을 깨도록 해주는데, 넓고 열린 시야와 사고를 갖게 해주는데 치중하려 한다. 단순히 어떠한 것을 아는 사람이 아닌, 어떠한 것을 스스로 사고해낼 줄 아는 방법을 알려주려 한다.
참된 교육이란 올바른 인격함양을 위한 지름길이며 사람과 사람이 살아가는 곳의 법칙을 배울 수 있게 해주는 안내자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사로서 교육을 통해 실현해야 하는 것은 학생으로 하여금 참된 인간이 되도록, 참된 지식을 통해 세상을 이끌어 나갈 존재로 만드는 일이다. 교육의 본질은 학생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수업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을 키워주어 보다 인간다움을 형성해주는 것이다. 점점 사라져가는 교육의 본질을 되찾기 위해 교육의 목적, 목표, 내용, 방법 등을 더욱 더 개선하여 더 이상의 교육의 본질이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지금까지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올바른 교사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기분야의 전문성을 가지고 성실과 열정을 다해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는 교사가 그것이다. 이는 내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의 자질과 역할일 뿐만 아니라 교사라면 갖추고 있어야 할 것들이다. 학생을 가르친다고 해서,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한다고 해서 좋은 교사라고 할 수는 없다. 교사일 수는 있어도 좋은 교사가 되지는 못한다. 이 세 가지가 분명 좋은 교사의 역할과 자질이 교사상의 전부는 아니다. 또한 이 세 가지의 모습이 각각 독립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본질은 하나로 이어진다고 생각한다. 교사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학생을 생각하는 마음이 바로 그것이다. 전문성이 있으려면 노력을 해야 하고, 노력은 열정 없이는 해낼 수가 없으며 이 열정은 교사로서의 사명감이며 학생을 생각하는 마음인 것이다. 학생을 생각한다는 것은 학생을 인격체로 존중한다는 것과 동등하며 학생의 인격을 존중한다면 편애란 있을 수 없다. 좋은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고 맡은 바 그 역할을 다한다면 그 모습이 바로 좋은 교사상이다. 내가 나열한 좋은 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바탕으로 내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상을 찾는다면 한마디로 인간주의적 교사상에 가깝다고 하겠다.
5. 결론 - 참된 교육자로서의 자세
사회과 교사를 꿈꾸는 나로서는 현재의 교육 현실에 좋지 않은 시선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특히나 본질 교과로서의 사회과는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과 주입과는 거리가 먼 과목이다. 사회과의 교육 목적은 학생으로 하여금 사회를 통찰하는 안목을 키우고, 현실 속의 실생활에 직면한 크고 작은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임에 사회과의 무수한 개념들을 단순 암기시키는 것은 사회과 교육 목적에는 한참 엇나간 것이라 생각한다.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에는 물론 미처 생각치 못한 많은 엇갈림이 있겠지만, 기회가 된다면 학생들의 생각을 깨도록 해주는데, 넓고 열린 시야와 사고를 갖게 해주는데 치중하려 한다. 단순히 어떠한 것을 아는 사람이 아닌, 어떠한 것을 스스로 사고해낼 줄 아는 방법을 알려주려 한다.
참된 교육이란 올바른 인격함양을 위한 지름길이며 사람과 사람이 살아가는 곳의 법칙을 배울 수 있게 해주는 안내자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사로서 교육을 통해 실현해야 하는 것은 학생으로 하여금 참된 인간이 되도록, 참된 지식을 통해 세상을 이끌어 나갈 존재로 만드는 일이다. 교육의 본질은 학생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수업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을 키워주어 보다 인간다움을 형성해주는 것이다. 점점 사라져가는 교육의 본질을 되찾기 위해 교육의 목적, 목표, 내용, 방법 등을 더욱 더 개선하여 더 이상의 교육의 본질이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추천자료
실존주의의 교육적 적용
코메니우스 - 현대교육의 창시자
유치원 교육과정(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및 비평
[직업교육][직업훈련][직업교육훈련][직업교육프로그램][직업]직업교육의 개념, 직업교육의 ...
[교육정책][교육제도][교육정책(교육제도)의 과제]교육정책(교육제도)의 정의, 교육정책(교육...
교육철학 총정리
보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교원평가제의 장단점과 개선방향
[아동환경과 보육] 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환경과 교육목적 및 목표
인간과 교육 - 주입식 교육관, 성장식 교육관,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이론
[부모교육] 감정코치 프로그램의 목적과 특성 및 감정 코치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