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ebral Hemorrhag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erebral Hemorrhag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EDH
2.SDH
3.T-ICH
4.S-ICH
5.SAH

본문내용

치료와 수술에 대한 계획 위함.
(4) 내과적치료
적절한 순환유지를 위해 충분한 수액공급하며 혈압을 120~150mmHg로 유지하여 초기출혈과 뇌허혈을 예방한다.
두개내압 상승을 막기 위해 절대안정, 배변완화제 투여
두통 완화를 위한 진통제 투여
정맥혈전 예방
출혈 후 발생하는 뇌혈관 연축을 예방하기위해 칼슘통로차단제(nimotop) 투여
Nimotop을 2.5cc/hr에서 15cc/hr으로 주입하며, 혈압이 너무 낮으면 조절
(5)치료 방법
① Coil embolizaion(코일색전술) : 혈관조영술에 사용하는 도관을 이용하여 동맥류 내에 백금코일을 채워 치료하는 방법
② Clipping(뇌동맥류 결찰) : 동맥류 근위부 모동맥만 결찰
③ Trapping(포착) :동맥류가 발생한 부위의 근위부와 원위부 모동맥을 결찰 하는 방법
④ Wrapping(포장) : 뇌동맥류의 경부 결찰이 불가능한 경우 혹은 경부 결찰 후 뇌동맥류의 일부분 잔존시, 골막(periosteum)이나 거즈로 동맥류나 결찰 후 남은 동맥류 부위를 감싸서 재출혈의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
Clipping
Coiling
⑤ Craniectomy
(6) 수술 직후 검사
①Skull AP/Lat
②Brain CT
③ACT(activated clotting time) : 정상범위 107초±13초
(7) 수술 후 검사
① Routine stroke MRI
② TCD(Trans cranial Doppler) :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두개골 위에 초음파를 발사하여,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과 혈류흐름을 혈류의 상태(협착,폐쇄,경색등)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정상혈류속도
상대적인 혈류 속도
MCA 55±12 cm/sec
ACA 50±11 cm/sec
PCA 39±10 cm/sec
VA 38±10 cm/sec
BA 41±10 cm/sec
ICA 41±11 cm/sec
MCA>ACA>BA>PCA=VA=ICA
v a s o s p a s m 의 정도와 MCA 혈류 속도 증가와의 관계
120cm/sec 이상 : <25%의 mild vasospasm
120~200cm/sec : 25~50 %의 moderate vasospasm
>200cm/sec 이상 : >50%의 severe vasospasm
(7) 합병증
① 재출혈(rebleeding) : 첫 출혈 후 24hrs이내, 7~10일 이내 가장 많다. 14일에는 19%, 6개월 내에는 약 50% 환자에게서 재출혈이 발생하며, 그 후에는 매년 3%의 빈도로 발생한다. 조기의 재출혈은 임상등급이 나쁜 환자에서 더 빈번하다. 재출혈시 사망률을 70~90%에 이른다.
② 뇌혈관연축(vasospasm) : 뇌출혈부위의 혈관 협착으로 혈액 통과가 원활하지 못해 경련 발생. 주위조직의 뇌관류 감소로 허혈/경색이 진행되면 의식장애, 사지마비, 실어증 등의 신경학적 손상 야기.
*발생시기 : 동맥류 파열후 3~14일사이 호발, 6~8일째 최고조, 대부분 12일 이후 개선, 17일 이후 잘 발생하지 않는다
③ 수두증(hydrocephalus)
급성수두증 : SAH환자의 20%에서 발생하며 점진적인 의식저하가 야기되지않으면 경과를 관찰한다. 의식저하가 야기되는 경우 뇌실외 배액술(EVD : Extraventricular drainage)을 시행하며, 뇌실외 배액은 감염의 위험 때문에 4일이상 하지 않는것이 좋다. 그 이상 기간의 뇌실외 배액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뇌실-복강간 단락술(V-P shunt : ventriculo-peritonium shunt)을 시행한다.
지연성 수두증 : SAH환자의 10%에서 발생한다.
④ 간질(seizure)
SAH환자의 10~20%에서 발생한다. 임상등급이 불량한 예, 재출혈환자, 중대뇌동맥 동맥류환자, 뇌내혈종을 가진 환자 및 혈관 연축을 가졌던 환자의 발생빈도가 높다. 간질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는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Seizure이후 IICP가 발생할 수 있다.
< 뇌혈관 연축의 예방 & 치료 >
Nimodipine(칼슘통로 차단제) : 5~14일간 사용
미세 측부 혈류를 증가시키거나 뇌세포를 보호하여 뇌혈관 연축에 기인한
뇌손상을 감소
3H-Therapy : 인위적으로 혈압을 상승시켜 뇌관류압 상승과 연막측부 순환계
혈관 확장으로 뇌혈류를 개선시킨다.
① 고혈량증(hypervolemia) : 뇌 관류압 증가와 혈관 내압을 늘리기 위해 colloid(5%albumin/dextran)와 crystalloids 사용하여 중심정맥압(CVP) 10mmHg정도 되도록 한다. 저나트륨혈증인 경우에도 수분 제한시 혈장량이 감소되어 뇌경색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분제한 피함.
②혈액희석(hemodilution) : 적혈구용적율(hematocrit)을 30~35% 정도로 유지하여 미세순환을 개선시키며, 이를 위해 albumin, Pack RBC 같은 혈량증량제를 사용한다. 금기: 뇌부종, 신경인성 폐부종
③고혈압(hypertension) : 혈압을 상승시키면 관류압이 상승하고, 혈관이 확장되어 뇌혈류가 개선된다. SBP 160~200mmHg 정도 유지하며, 필요시 dopamine, vapopressor를 사용한다.
화학적 혈관성형술(chemical angioplasty)
혈관연축이 발생한 동맥에 미세도관을 삽입하여 혈관확장제인 파파베린(papaverine)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직접 주입하는 시술이다. 주입속도가 빠르면 결정체가 생겨 색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200~300mg을 30분에서 1시간에 걸쳐 주입한다. 근위부 동맥뿐만아니라 말초혈관까지 작용한다.
풍선혈관성형술(ballon angioplasty)
혈관연축의 치료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혈관확장 효과가 확인 가능하고 지속적이며 재발이 없다. 가능한 혈관은 M1, A1혈관으로 직경이 1.5mm 이하의 혈관에서 시행한다.
Ⅴ. Reference
1. 신경계 중환자 간호(2007)/중환자 전문 간호사 교육과정협의회 지음
2. 신경외과학 3rd edition(2005)/대한신경외과학회
3. 기저핵,뇌엽,소뇌 및 뇌간부 출혈의 특징/가톨릭대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성재훈

키워드

hemorrhage,   SDH,   EDH,   ICH,   SAH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4.1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9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