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인간과 교육
1.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2. 인간과 교육의 관계는 무엇인가?
3. 교육인간학은 왜 필요한가?
제2장 교육적 인간이해와 인격교육
1. 교육적 인간이해
2. 인격이란 무엇인가?
3. 인격교육
1.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2. 인간과 교육의 관계는 무엇인가?
3. 교육인간학은 왜 필요한가?
제2장 교육적 인간이해와 인격교육
1. 교육적 인간이해
2. 인격이란 무엇인가?
3. 인격교육
본문내용
자유로운 개성적 힘에서 출발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3. 인격교육
가. 자유와 인격형성
1)인간과 자유
인간은 정신적으로는 자유로운 존재이며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이 자유롭게 판단하고 의미있는 삶을 구현하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교육은 자유를 획득하고 그 자유를 행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자유와 인격형성
전통철학의 형이상학적,존재론적 관점에서 보면 자유란 다름 아닌 인격이기도 하다. 자유란 인격이 방해받지 않으면서 모든 측면에서 균형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는것이므로 인격성의 본질은 자유이다.
자유의 두가지 측면:
선험적 측면-인간에게 본원적으로 주어지는 자유
인격적 측면-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자유가 드러나는 것.
이 두 측면은 인간의 교육과 사회적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나. 책임의식과 인격교육
1)인격과 책임성
인격의 개념은 고찰하면 인격적 인간은 고립된 개인이거나 또는 누구인지도 모르는 채 집단에 속해 있는 익명의 존재가 아니라 부름을 받는 “관계적 존재”이다. 교육이야말로 부르고 부름을 받는 대화적 삶의 현실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이다.
어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부른다는 것을 그의 부름에 대한 상대방의 대답을 전제로 할 때에 의미가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독백이 된다. 이때 불려진 사람은 특정하고도 유일한 존재로 진지하게 부름을 받는 것이다.그래서 부르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진실한 답변을 기대하게 된다. 즉 불려진 사람의 답변은 책임성을 지닌 답변이어야 한다.
이렇듯 인간에게서 책임성은 단순히 부가적 속성이 아니라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본질적 내용이다. 따라서 인격의 본질은 인간 실존의 가장 근본적이며 핵심적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책임성의 이해를 통해 가장 잘 드러나게 된다.그리고 바로 그 책임성에 의해 인간 고유의 내면적 결단을 내리는 힘인 자유가 근거하게 된다. “자유는 책임을 전제로 하여 존재한다.”
2)책임과 인격교육
부버(M Buber)- "대화", "만남", "관계" 또는 "사이"라는 개념을 교육학에 적용하여 만남과 대화의 사상을 펼침. 그에 따르면 교육적 관계는 진정한 대화적 관계이다.
그는 교육의 이상으로 “위대한 인격”을 제시하고있다.
“자신의 삶 전체를 책임지겠다는 심오한 각오에서 행위와 마음가짐을 통해 그 상황이 요구하는 바를 성취하는 사람을 나는 위대한 인격이라 부른다. 그러한 사람은 자신의 마음과 행동을 합하여 [인격적]자기 존재, 즉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를 지닌 확고한 자기 존재를 보여준다. 그의 존재는 책임지려는 의욕의 총화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그의 새오할 또한 그러한 존재에 통합되어 함께 한다.”
교육이 목표로 하는 위대한 인격은 책임질 자세가 되어 있으며 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부버는 인격적 책임을 “나-너”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응답”으로 이해한다. 인간의 책임성은 이러한 응답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격교육은 본질적으로 대화적 관계에 서 있는 인간이 책임성 있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고유함을 형성하게 하는 교육이다.
3. 인격교육
가. 자유와 인격형성
1)인간과 자유
인간은 정신적으로는 자유로운 존재이며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이 자유롭게 판단하고 의미있는 삶을 구현하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교육은 자유를 획득하고 그 자유를 행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자유와 인격형성
전통철학의 형이상학적,존재론적 관점에서 보면 자유란 다름 아닌 인격이기도 하다. 자유란 인격이 방해받지 않으면서 모든 측면에서 균형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는것이므로 인격성의 본질은 자유이다.
자유의 두가지 측면:
선험적 측면-인간에게 본원적으로 주어지는 자유
인격적 측면-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자유가 드러나는 것.
이 두 측면은 인간의 교육과 사회적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나. 책임의식과 인격교육
1)인격과 책임성
인격의 개념은 고찰하면 인격적 인간은 고립된 개인이거나 또는 누구인지도 모르는 채 집단에 속해 있는 익명의 존재가 아니라 부름을 받는 “관계적 존재”이다. 교육이야말로 부르고 부름을 받는 대화적 삶의 현실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이다.
어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부른다는 것을 그의 부름에 대한 상대방의 대답을 전제로 할 때에 의미가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독백이 된다. 이때 불려진 사람은 특정하고도 유일한 존재로 진지하게 부름을 받는 것이다.그래서 부르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진실한 답변을 기대하게 된다. 즉 불려진 사람의 답변은 책임성을 지닌 답변이어야 한다.
이렇듯 인간에게서 책임성은 단순히 부가적 속성이 아니라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본질적 내용이다. 따라서 인격의 본질은 인간 실존의 가장 근본적이며 핵심적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책임성의 이해를 통해 가장 잘 드러나게 된다.그리고 바로 그 책임성에 의해 인간 고유의 내면적 결단을 내리는 힘인 자유가 근거하게 된다. “자유는 책임을 전제로 하여 존재한다.”
2)책임과 인격교육
부버(M Buber)- "대화", "만남", "관계" 또는 "사이"라는 개념을 교육학에 적용하여 만남과 대화의 사상을 펼침. 그에 따르면 교육적 관계는 진정한 대화적 관계이다.
그는 교육의 이상으로 “위대한 인격”을 제시하고있다.
“자신의 삶 전체를 책임지겠다는 심오한 각오에서 행위와 마음가짐을 통해 그 상황이 요구하는 바를 성취하는 사람을 나는 위대한 인격이라 부른다. 그러한 사람은 자신의 마음과 행동을 합하여 [인격적]자기 존재, 즉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를 지닌 확고한 자기 존재를 보여준다. 그의 존재는 책임지려는 의욕의 총화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그의 새오할 또한 그러한 존재에 통합되어 함께 한다.”
교육이 목표로 하는 위대한 인격은 책임질 자세가 되어 있으며 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부버는 인격적 책임을 “나-너”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응답”으로 이해한다. 인간의 책임성은 이러한 응답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격교육은 본질적으로 대화적 관계에 서 있는 인간이 책임성 있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고유함을 형성하게 하는 교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