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기능과 학교폭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 가족의 기능
Ⅱ.본론 : 기능적인 가족과 역기능적인 가족의 특징
Ⅲ.결론 :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가족의 역할’에 대한 나의 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가족의 가장 기본적인 생존욕구가 채워지고 있는가를 진실하게 물어보아야한다. 나 하나 아프지 않으면 되고, 내 가정만 평화로우면 되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남들도 또한 아프지 말고 같이 평화로워질 수 있는 길을 늘 찾아 보아야한다. 그리고 그렇게 찾아보는 나의 눈길을 내 자녀가 늘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어야한다. 이런 내 생각이 자칫 감상적인 유토피아 이론의 한 조각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으나, 이 시대의 아이들이 물질은 풍족하면서도 사랑은 비켜가는 이상한 궁핍 속에 굶주리고 있다는 생각을 나는 자주 한다고 고백 할 수밖에 없다.
흔히 아동이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은 간과되기 쉽다. 아동은 처음부터 부모를 사회화한다. 아동은 걸어 다니는 부모의 얼굴인 것이다. 부모는 아동을 통해서 세상을 다시 만나는 것이다. 우리 아이가 학교폭력의 희생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만큼 혹여 우리 아이가 학교 폭력의 가해자가 되고 있지는 않는지도 늘 우려하고 먼저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 가족이 역기능적이 가족이 아니라 기능적인 가족이 되어서, 자녀를 지지하고 존중하고 사랑을 듬뿍 주어서 학교 폭력을 예방할 수 있다는 그럴싸한 답안보다는 늘 역기능적인 가족의 행태를 내가 하고 있지 않는지, 혹여 내 자녀가, 자신이 학교 폭력을 행한다는 것을 모르고 있지는 않은지, 늘 경계하고, 섬세한 눈으로 오래 깊이 있게 바라보며 지도해야할 것이다.
< 참고문헌 >
「사회복지실천기술론」설진화 저, 양서원 출판 2008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이윤로 저, 학지사 출판 2005
「가족복지론」손병덕, 황혜원, 전미애 저, 학지사 출판 2008.

키워드

가족,   기능,   학교,   폭력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4.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