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범죄발생 방지와 관련한 통제이론
1. 들어가며
2. 개인 및 사회적 통제
3. 봉쇄이론
4. 자기관념이론
5. 동조성 전념이론
6. 표류이론 내지 중화기술이론
1) 표류의 개념
2) 범죄의 원인(표류원인으로서의 중화기술)
7. 사회통제이론
1. 들어가며
2. 개인 및 사회적 통제
3. 봉쇄이론
4. 자기관념이론
5. 동조성 전념이론
6. 표류이론 내지 중화기술이론
1) 표류의 개념
2) 범죄의 원인(표류원인으로서의 중화기술)
7. 사회통제이론
본문내용
이론
허쉬, 1969[비행의 원인] 사회연대이론, 아노미이론과 반대로 규범준수 행위가 정상이고 규범위반행위는 비정상적이며 우리 사회는 비행을 저지르도록 강요하는 긴장은 없으며 오히려 저지르지 못하게 하는 요인, 즉 사회연대의 요소만이 있다고 본다.
이때 개인이 사회와 유대를 맺는 방법(사회연대의 요소)은 애착, 전념, 참여, 믿음 등을 들 수 있다.
허쉬, 1969[비행의 원인] 사회연대이론, 아노미이론과 반대로 규범준수 행위가 정상이고 규범위반행위는 비정상적이며 우리 사회는 비행을 저지르도록 강요하는 긴장은 없으며 오히려 저지르지 못하게 하는 요인, 즉 사회연대의 요소만이 있다고 본다.
이때 개인이 사회와 유대를 맺는 방법(사회연대의 요소)은 애착, 전념, 참여, 믿음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