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업 사명
□ 환경 분석
○ 시장 분석
○ 경쟁 상품 분석
※ 올림푸스 E-PL1
※ 파나소닉 LUMIX DMC-GF1
※ 삼성 VLUU NX100
○ 자사 제품 분석
○ 고객 분석
□ SWOT Analysis
□ STP & 4P Mix
○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 4P Mix
□ 마케팅 전략
□ 환경 분석
○ 시장 분석
○ 경쟁 상품 분석
※ 올림푸스 E-PL1
※ 파나소닉 LUMIX DMC-GF1
※ 삼성 VLUU NX100
○ 자사 제품 분석
○ 고객 분석
□ SWOT Analysis
□ STP & 4P Mix
○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 4P Mix
□ 마케팅 전략
본문내용
드 디카는 이제 출시 1년을 갓 넘겼지만 DSLR의 품질과 콤팩트의 휴대성이라는 장점을 모두 취했다는 점에서 판매량과 시장 점유율 모두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 사이에선 DSLR 카메라 시장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현재 하이브리드 디카를 내놓은 곳은 파나소닉과 올림푸스, 삼성전자, 소니 모두 4개 기업이다.
※ 올림푸스 E-PL1
장·단점
장점
단점
감성적 이미지 가장 강함
A/S 매우 취약
팝업식 플래시 장착 가능
뷰파인더 없음
원터치 동영상 촬영기능(전모델에 비해 개선)
단순하게 성능만 좋은 컴팩트 디카 이미지
기능에 비해 비싼 가격
작아진 액정, 다이얼 부재로 인한 불편초래
※ 파나소닉 LUMIX DMC-GF1
장·단점
장점
단점
빠른 반응 속도
경량화,소량화 집중에 따른 그립감 저하
디자인 밸런스 좋음
조작방식 복잡함(인터페이스 문제)
동일 스펙 제품 중 교체가능 렌즈 가장 많음
국내에만적용되는고가정책
(일본에비해30만원가량비쌈)
※ 삼성 VLUU NX100
장·단점
장점
단점
심플한 디자인(그립감 우수함)
뷰파인더 없음
빠른 AF속도
AMOLED액정에도 불구하고 화질이 떨어짐
조작 및 설정이 간편함
성능에 비해 비싸다는 평이 대부분임
팝업식 플래시
유통망 가장 강력함
A/S 동일 기업 중 가장 강력함
○ 자사 제품 분석
※ Sony - Nex 3
장·단점
장점
단점
타제품에 비해 휴대성이 가장 높음
A/S 취약함
디자인(바디 색상 다양함)
유통망 취약
그립감 우수함
늦은 출시로 연계상품 부족
뛰어난 내구성
프로모션 전략 미흡
크고 선명한 틸트형 LCD액정
뛰어난 내구성
캠코더와 맞먹는 화질의 동영상녹화기능
조작이 단순함
타사제품에 비해 200만화소정도 높음
○ 고객 분석
20대초반 ~ 30대 소비자의 공통점
개성을 추구하고 자기개발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진보적 세대이다. 따라서 기존과 다른 독특한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며(여가/취미생활에 대한 욕구가 높고 싱글족일수록 소비파워가 높다), 현실주의적이며 경제적이다(가격에 민감하고 실속을 따지는 성향이 있다. 그러나 평소에는 지갑을 안열다가 정말 마음에 드는 제품이 있으면 과감하게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브랜드 감성과 합리적 가격을 동시에 추구하는 등 유행에 민감한 세대이다. 그리고 다양한 문화에 개방적이다(이국적인 것을 즐기는 등 취향이 매우 다양하다)
이들은 정치적으로는 무관심을 드러내는 데 반해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대단히 민감한 편이다. 경제적 풍요가 싹튼 1980년대에 청소년기를 보내고 민주화가 자리잡기 시작한 90년대 이후 대학생활을 하면서 이념보다 현실, 명분보다 합리, 집단보다는 개성의 뚜렷한 성향을 보이는 세대다.
특히 20대 중반 ~ 30대는 경제관념으로 스스로를 무장하고 있는데 거리낌 없이 돈을 화제로 삼고 주식, 부동산 등 다양한 재테크 활동을 하고 있다. 극단적으로 돈이 인생의 전부다. 인생의 주연이 되느냐, 조연이 되느냐도 결국 돈을 얼마나 갖고 있느냐에 달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제우선주의 풍토를 드러낸다.
카메라 주사용 계층
성향 분석결과, 20대초반 ~ 30대 중·후반까지의 사람들이 디지털 카메라의 보유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성별에 따른 소비자 특성 분석(세분화 1시장, 세분화 2시장)
나이
성별
20대 초반
20대 중반
20대 후반
30대
남성
물건을 통해 개성을 드러내며 대학생활을 통해 자신이 통제해야하는 소비생활 경험함. 합리적인 소비태도를 지님. 단 마음에 드는 제품 발견즉시 구매 결정하는 성향이 있음
꽃미남, 메트로 섹슈얼, 위버 섹슈얼, 그루밍족 등 시장의 트렌드를 주도사는 신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 직접 백화점, 할인점에 나가 소비자로서 상품을 구매한다. 이는 맞벌이 부부와 싱글족의 증가 때문인데 이로 인해 남성들의 직접 소비 확대로 이어 지고 있다. 또한 외모중심의 가치관이 발달해 자신의 외모가 지위적 상승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며, 자녀 교육을 위한 기러기 아빠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20대와 같이 외모를 중시하는 계층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노무족(No more uncle)아저씨이기를 거부하며 유행에도 뒤처지지 않는 남성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여성
20대초반 남성과 비슷하나 브랜드나 하나의 매장(인터넷쇼핑몰)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편이며 소비행태가 꼼꼼하다. 유행에 민감하고 외모에 관심이 많으며 사교적, 활동적이고 모험적인 취미활동을한다.고급품과 신제품을 선호한다
미혼여성의 경우 유행에 상관없이 패션감각이 뛰어나고 개성발휘를 중시한다.습관적인 매체 접촉 영향으로 고급품과 신제품을 선호한다. 기혼인 경우 비교적 물질적 풍요와 남성과 동등한 교육기회를 가지며 맞벌이를 통해 독립적인 경제력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으며 교육에 대한 관심 높으며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살림과 자녀교육을 잘하면서도 자기관리에도 관심이 높다. 가격이 저렴하고 실용적인 구매를 하며 광고를 믿지 않고 쇼핑시 기능적인 면을 중시한다.
□ SWOT 분석
□ STP 및 4P MIX
○ Segmentation - 고객 분석의 성별·연령별 고객 분석 표 참조
○ Targeting
세분화 1시장 : 20대 초반 여성
세분화 2시장 : 30대 남성(서브디카를 필요로 하는 기존 DSLR사용층)
○ Positioning
○ 4P MIX
구 분
전 략
생 산
현재 제품 매진 상태. 추가 주문 폭주상태 이므로 라인확충.
주 고객층에 맞춘 다양한 색상의 상품 출시(현재 한정판 판매중)
유 통
대형 할인마트(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마트내 매장 입점. 주요 유통망 확충
촉 진
수도권 주요도시 소재 대학에서 시연회 이벤트(찍은 사진 즉석 프린팅, 이메일 전송)
TV광고와 함께 SNS마케팅 동시 전개(찍은 사진 응모, 경품제공)
제품 컨셉과 맞는 드라마나 영화에 소품으로 협찬
가 격
현 가격 정책 유지
□ 마케팅 전략
뛰어난 기능과 동시에 타 제품과 차별화 된 디자인을 통해 주 고객층이 요구하는 편익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점유율 확대
※ 올림푸스 E-PL1
장·단점
장점
단점
감성적 이미지 가장 강함
A/S 매우 취약
팝업식 플래시 장착 가능
뷰파인더 없음
원터치 동영상 촬영기능(전모델에 비해 개선)
단순하게 성능만 좋은 컴팩트 디카 이미지
기능에 비해 비싼 가격
작아진 액정, 다이얼 부재로 인한 불편초래
※ 파나소닉 LUMIX DMC-GF1
장·단점
장점
단점
빠른 반응 속도
경량화,소량화 집중에 따른 그립감 저하
디자인 밸런스 좋음
조작방식 복잡함(인터페이스 문제)
동일 스펙 제품 중 교체가능 렌즈 가장 많음
국내에만적용되는고가정책
(일본에비해30만원가량비쌈)
※ 삼성 VLUU NX100
장·단점
장점
단점
심플한 디자인(그립감 우수함)
뷰파인더 없음
빠른 AF속도
AMOLED액정에도 불구하고 화질이 떨어짐
조작 및 설정이 간편함
성능에 비해 비싸다는 평이 대부분임
팝업식 플래시
유통망 가장 강력함
A/S 동일 기업 중 가장 강력함
○ 자사 제품 분석
※ Sony - Nex 3
장·단점
장점
단점
타제품에 비해 휴대성이 가장 높음
A/S 취약함
디자인(바디 색상 다양함)
유통망 취약
그립감 우수함
늦은 출시로 연계상품 부족
뛰어난 내구성
프로모션 전략 미흡
크고 선명한 틸트형 LCD액정
뛰어난 내구성
캠코더와 맞먹는 화질의 동영상녹화기능
조작이 단순함
타사제품에 비해 200만화소정도 높음
○ 고객 분석
20대초반 ~ 30대 소비자의 공통점
개성을 추구하고 자기개발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진보적 세대이다. 따라서 기존과 다른 독특한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며(여가/취미생활에 대한 욕구가 높고 싱글족일수록 소비파워가 높다), 현실주의적이며 경제적이다(가격에 민감하고 실속을 따지는 성향이 있다. 그러나 평소에는 지갑을 안열다가 정말 마음에 드는 제품이 있으면 과감하게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브랜드 감성과 합리적 가격을 동시에 추구하는 등 유행에 민감한 세대이다. 그리고 다양한 문화에 개방적이다(이국적인 것을 즐기는 등 취향이 매우 다양하다)
이들은 정치적으로는 무관심을 드러내는 데 반해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대단히 민감한 편이다. 경제적 풍요가 싹튼 1980년대에 청소년기를 보내고 민주화가 자리잡기 시작한 90년대 이후 대학생활을 하면서 이념보다 현실, 명분보다 합리, 집단보다는 개성의 뚜렷한 성향을 보이는 세대다.
특히 20대 중반 ~ 30대는 경제관념으로 스스로를 무장하고 있는데 거리낌 없이 돈을 화제로 삼고 주식, 부동산 등 다양한 재테크 활동을 하고 있다. 극단적으로 돈이 인생의 전부다. 인생의 주연이 되느냐, 조연이 되느냐도 결국 돈을 얼마나 갖고 있느냐에 달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제우선주의 풍토를 드러낸다.
카메라 주사용 계층
성향 분석결과, 20대초반 ~ 30대 중·후반까지의 사람들이 디지털 카메라의 보유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성별에 따른 소비자 특성 분석(세분화 1시장, 세분화 2시장)
나이
성별
20대 초반
20대 중반
20대 후반
30대
남성
물건을 통해 개성을 드러내며 대학생활을 통해 자신이 통제해야하는 소비생활 경험함. 합리적인 소비태도를 지님. 단 마음에 드는 제품 발견즉시 구매 결정하는 성향이 있음
꽃미남, 메트로 섹슈얼, 위버 섹슈얼, 그루밍족 등 시장의 트렌드를 주도사는 신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 직접 백화점, 할인점에 나가 소비자로서 상품을 구매한다. 이는 맞벌이 부부와 싱글족의 증가 때문인데 이로 인해 남성들의 직접 소비 확대로 이어 지고 있다. 또한 외모중심의 가치관이 발달해 자신의 외모가 지위적 상승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며, 자녀 교육을 위한 기러기 아빠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20대와 같이 외모를 중시하는 계층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노무족(No more uncle)아저씨이기를 거부하며 유행에도 뒤처지지 않는 남성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여성
20대초반 남성과 비슷하나 브랜드나 하나의 매장(인터넷쇼핑몰)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편이며 소비행태가 꼼꼼하다. 유행에 민감하고 외모에 관심이 많으며 사교적, 활동적이고 모험적인 취미활동을한다.고급품과 신제품을 선호한다
미혼여성의 경우 유행에 상관없이 패션감각이 뛰어나고 개성발휘를 중시한다.습관적인 매체 접촉 영향으로 고급품과 신제품을 선호한다. 기혼인 경우 비교적 물질적 풍요와 남성과 동등한 교육기회를 가지며 맞벌이를 통해 독립적인 경제력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으며 교육에 대한 관심 높으며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살림과 자녀교육을 잘하면서도 자기관리에도 관심이 높다. 가격이 저렴하고 실용적인 구매를 하며 광고를 믿지 않고 쇼핑시 기능적인 면을 중시한다.
□ SWOT 분석
□ STP 및 4P MIX
○ Segmentation - 고객 분석의 성별·연령별 고객 분석 표 참조
○ Targeting
세분화 1시장 : 20대 초반 여성
세분화 2시장 : 30대 남성(서브디카를 필요로 하는 기존 DSLR사용층)
○ Positioning
○ 4P MIX
구 분
전 략
생 산
현재 제품 매진 상태. 추가 주문 폭주상태 이므로 라인확충.
주 고객층에 맞춘 다양한 색상의 상품 출시(현재 한정판 판매중)
유 통
대형 할인마트(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마트내 매장 입점. 주요 유통망 확충
촉 진
수도권 주요도시 소재 대학에서 시연회 이벤트(찍은 사진 즉석 프린팅, 이메일 전송)
TV광고와 함께 SNS마케팅 동시 전개(찍은 사진 응모, 경품제공)
제품 컨셉과 맞는 드라마나 영화에 소품으로 협찬
가 격
현 가격 정책 유지
□ 마케팅 전략
뛰어난 기능과 동시에 타 제품과 차별화 된 디자인을 통해 주 고객층이 요구하는 편익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점유율 확대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기업의 브랜드 전략
소니의 글로벌 마케팅 사례연구
플레이스테이션의 한국 진출 성공 사례분석
한국 게임산업의 발전방향
[경영전략 분석] 소니의 세계일류화 경영 전략 분석
조직문화에 관한 고찰
[경영] 잭 웰치의 GE, 그 성공의 비결 분석
[문화산업][문화상품][문화정체성]문화산업의 정의, 문화산업의 특성, 문화산업의 기능, 문화...
[엔터테인먼트산업]엔터테인먼트산업의 정의, 엔터테인먼트산업의 시대적 변화와 대두 원인, ...
복잡계와 기업경영 사례
mxd case study(smart city, nature poem, new museum of contemporary atr, sony center)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경쟁, 마케팅, 전략 방안 분석
HTML로 홈페이지 만들기 - KBO의 모든 것
기업 문화 및 경영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