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고려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어야 부모의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물론, 자녀의 질문을 받고 거기에 대한 합당한 책임적인 질문을 함께 해주어야 한다. 침착하게 이혼하는 사람이 대부분 아닐 것이다. 분쟁이 있다면 반드시 중재를 받고 서로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이혼하는 부모 자신의 행복도 돌봐야 한다. 예상되는 스트레스들을 관리하고 지지해 줄 가족과 친구들을 옆에 두어야 한다. 아무리 감정이 나쁘더라도 전 배우자와의 관계가 원활해야 한다. 상대방을 자녀들 앞에서 탓하거나 비방하는 일은 당신의 부모를 욕하는 일이라는 것을 명심하라. 자녀를 심부름꾼이나 스파이로 이용해서 배우자를 만나고 오게 하지 말아야 하며, 자녀 역시 부모를 이용하여 양쪽을 이간질 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 물론, 나만의 편이 되어달라는 것도 해서는 안 되지만, 스스로 외롭고 힘들다보면 부모 역시 자녀에게 의지하게 된다. 기억할 것은 부모는 자식을 책임질 의무가 있지만, 자식이 이혼한 부모를 책임지는 것은 아니다. 이혼하고 나서도 전 배우자와 상호작용하여 자녀를 챙긴다면 자녀 입장에서 부모님 간의 문제로 다 같이 살고 있지는 않지만, 부모님이 자신을 아끼는 마음은 크다는 것을 자식에게 알려줘야 한다. 즉 아이에게서 자신은 소중한 아이라는 의미가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빈번하게 연락하여 자녀의 일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생일 등 행사를 잘 처리해야 한다. 이혼가정의 수입이 자녀에게 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통계를 본 적이 있다. 그만큼 자녀의 양육은 경제적인 측면이 중요하기 때문이므로 양육비와 교육 계획을 먼저 수립해야 한다. 학교생활을 잘하고 있는지, 친구관계는 어떤지 살펴보고 자녀와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면서 부모로써 '놀아줄 것'을 당부하고 싶다. 부모와 함께 하는 '추억'이 이들에게는 없지 않은가. 사랑한다는 말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바로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아닐까 싶다. 함께 하는 시간의 양이 중요한 것은 아니므로 질적으로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스스로 표현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아이를 격려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하거나, 과잉 보상을 하는 것, 특히 돈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것은 자녀에게 사랑의 표현에 대한 잘못된 교육을 하게 된다. 이혼의 책임은 부모에게 있다. 부모는 이혼의 결과물이 자녀에게 미치지 않도록 하되, 다만 비현실적인 기대를 주지 않는 선이어야 한다.
추천자료
한국의 높은 이혼율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과 그 해결책
미혼모 복지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A+]우리나라 미혼모의 현황과 그에 대한 문제제기 및 대안제시
맞벌이주부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아동이 있는 가정
이혼가정의 청소년 어떤 영향을 받는가?
가출 청소년 문제
재혼가족의 현황 및 문제점과 복지적 대책
(교육과 - 청소년교육) 우리나라 미혼모복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
가족 복지 문제 해결방안 대책(한부모,편부모, 맞벌이, 재혼, 폭력) 가정폭력(원인, 실태, 현...
이혼 재혼
[가족복지론] 저출산에 대한 원인과 이에 따른 문제 및 정책적 대응방안
노인의 자녀양육(손자녀)에 대하여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