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1. pn접합의 기본구조
2. 제로 인가 바이어스
2.1 내부 장벽
2.2 전계
3. 역방향 바이어스
3.2 접합 커패시턴스
3.3 일방 접합
4. 불균일하게 도핑된 접합
4.1 선형적으로 경사진 도핑을 갖는 접합
4.2 초계단형 접합(Hyperabrupt junction)
1. pn접합의 기본구조
2. 제로 인가 바이어스
2.1 내부 장벽
2.2 전계
3. 역방향 바이어스
3.2 접합 커패시턴스
3.3 일방 접합
4. 불균일하게 도핑된 접합
4.1 선형적으로 경사진 도핑을 갖는 접합
4.2 초계단형 접합(Hyperabrupt junction)
본문내용
pn 접합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7.3.1 공간전하폭과 전계
1) 역방향 바이어스와 공간전하폭의 관계
: 역방향 바이어스전압(VR)∝ 공간전하폭(W)
W= {[2εs(Vbi + VR)/e][Na + Nd/NaNd]}1/2
2) 역방향 바이어스와 전계의 관계
: 역방향 바이어스전압(VR)∝ 전계의 크기(E)
Emax= -2(Vbi + VR)/W
3.2 접합 커패시턴스
1) 접합 커패시턴스에 관련된 식
C'= dQ'/dVR
= {εsNaNd/2(Vbi + VR)(Na + Nd)}1/2
(∵dQ'= eNddxn= eNddxp)
<균일하게 도핑된 pn 접합에 있어서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의 변화에 따른 공간 전하 폭 변화>
3.3 일방 접합
1) 일방 접합이란?
: pn접합에서 p영역 혹은 n영역 둘 중 하나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 때의 접합
<일방 접합의 공간 전하 밀도>
4. 불균일하게 도핑된 접합
불균일한 도핑 분포를 이용하여 특별한 pn접합 커패시턴스의 특성을 알아보자.
4.1 선형적으로 경사진 도핑을 갖는 접합
금속학적 접합 근처의 순수 p형 도핑농도는 금속학적 접합으로부터 거리의 선형함수로써 근사시킬 수 있다. 순수 n형 도핑농도도 마찬가지이다. 이 유효 도핑 분포를 선형적으로 경사진 도핑을 갖는 접합이라고 부른다.
4.2 초계단형 접합(Hyperabrupt junction)
일방 p+n접합으로부터 x>0에서 n형 도핑농도를 생각해보자.
N= Bxm
m=0인 때에는 균일 도핑된 접합에 해당되며 m=+1인 경우는 선형적 기울기를 갖는 접합에 해당한다. m<0인 때를 초계단형 접합이라고 부른다.
7.3.1 공간전하폭과 전계
1) 역방향 바이어스와 공간전하폭의 관계
: 역방향 바이어스전압(VR)∝ 공간전하폭(W)
W= {[2εs(Vbi + VR)/e][Na + Nd/NaNd]}1/2
2) 역방향 바이어스와 전계의 관계
: 역방향 바이어스전압(VR)∝ 전계의 크기(E)
Emax= -2(Vbi + VR)/W
3.2 접합 커패시턴스
1) 접합 커패시턴스에 관련된 식
C'= dQ'/dVR
= {εsNaNd/2(Vbi + VR)(Na + Nd)}1/2
(∵dQ'= eNddxn= eNddxp)
<균일하게 도핑된 pn 접합에 있어서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의 변화에 따른 공간 전하 폭 변화>
3.3 일방 접합
1) 일방 접합이란?
: pn접합에서 p영역 혹은 n영역 둘 중 하나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 때의 접합
<일방 접합의 공간 전하 밀도>
4. 불균일하게 도핑된 접합
불균일한 도핑 분포를 이용하여 특별한 pn접합 커패시턴스의 특성을 알아보자.
4.1 선형적으로 경사진 도핑을 갖는 접합
금속학적 접합 근처의 순수 p형 도핑농도는 금속학적 접합으로부터 거리의 선형함수로써 근사시킬 수 있다. 순수 n형 도핑농도도 마찬가지이다. 이 유효 도핑 분포를 선형적으로 경사진 도핑을 갖는 접합이라고 부른다.
4.2 초계단형 접합(Hyperabrupt junction)
일방 p+n접합으로부터 x>0에서 n형 도핑농도를 생각해보자.
N= Bxm
m=0인 때에는 균일 도핑된 접합에 해당되며 m=+1인 경우는 선형적 기울기를 갖는 접합에 해당한다. m<0인 때를 초계단형 접합이라고 부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