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뜨임(Tempering)
1) 뜨임 처리의 목적
2) 뜨임 처리의 방법
3) 뜨임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2. 풀림(Annealing)
1) 풀림 처리의 목적
2) 풀림 처리의 방법
3) 풀림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3. 담금질(Quenching)
1) 담금질 처리의 목적
2) 담금질 처리의 방법
3) 담금질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4. 불림(Normalizing)
1) 불림 처리의 목적
2) 불림 처리의 방법
3) 불림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1) 뜨임 처리의 목적
2) 뜨임 처리의 방법
3) 뜨임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2. 풀림(Annealing)
1) 풀림 처리의 목적
2) 풀림 처리의 방법
3) 풀림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3. 담금질(Quenching)
1) 담금질 처리의 목적
2) 담금질 처리의 방법
3) 담금질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4. 불림(Normalizing)
1) 불림 처리의 목적
2) 불림 처리의 방법
3) 불림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내용
본문내용
방법.
: 담금질을 하는 방법은 A₁(723도 공석변태)~A₃(911도 동소변태) 변태점 보다 30도~50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 한 후 일정 온도를 유지 시킨 후 물이나 기름등에 넣어 급랭 시키면 조직이 변태를 일으키게 된다. 담금질 액의 경우 크게 3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담금질 액의 종류(특징)
1) 소금물 : 냉각 속도가 가장 빠름.
2) 물(수랭) : 처음에는 경화능이 크나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하된다.
3) 기름(유랭) : 처음에는 경화능이 작으나 온도가 올라갈수록 커진다.
(20도 까지 경화능 유지)
③ 담금질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 내용
: 담금질 조직의 경우 열처리 후 냉각하는 속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트루스타이트, 솔바이트로 구분된다. 열처리 후 급랭(수랭)을 할 경우 마르텐사이트로 바뀌게 되고 급랭(유랭)을 하게되면 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가 된다.
※ 조직들의 경도 순.
: 시멘타이트>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솔바이트>펄라이트>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순으로 정렬 할 수 있다.
③ 담금질 처리 전후에 재료 조직의 변화 내용.
: 강을 A₃변태점보다 30~50도정도 더 높은 온도까지 강을 가열한 후 10분에서 15분정도 유지를 시킨다. 그렇게되면 강의 조직은 오스테나이트로 변하게 된다. 이때, 수랭(빠르게 식히는경우)을 시킬 경우 강의 조직은 마르텐사이트로 변하고 유랭(조금 시간을 두고 식히는 경우)을 시킬 경우 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로 조직이 변하게 된다.
4. 불림(Normalizing)
① 불림 처리의 목적.
: 불림 처리의 목적은 강을 표준상태로 만들기 위한 열처리라고 할 수 있다. 강을 불림처리를 하면 주조 또는 과열조직을 미세화 시키고 냉간가공 및 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결정조직, 기계적, 물리적 성질등을 표준화 시킬 수 있다.
② 불림 처리의 방법.
: A₁(723도 공석변태)~A₃(911도 동소변태) 변태점보다 40~60도 정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개선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공랭)시킨다.
③ 불림 처리 전후에 재료 조직의 변화 내용.
: 강을 A₃변태점 보다 40~60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을 한후 10분정도 그 온도를 유지하면 강의 조직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화한다. 이때, 공기 중에서 냉각(공랭)을 시키면 강은 서서히 온도가 식기 시작하며 온도가 내려간 후에는 강의 조직이 솔바이트로 변하게 된다.
: 담금질을 하는 방법은 A₁(723도 공석변태)~A₃(911도 동소변태) 변태점 보다 30도~50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 한 후 일정 온도를 유지 시킨 후 물이나 기름등에 넣어 급랭 시키면 조직이 변태를 일으키게 된다. 담금질 액의 경우 크게 3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담금질 액의 종류(특징)
1) 소금물 : 냉각 속도가 가장 빠름.
2) 물(수랭) : 처음에는 경화능이 크나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하된다.
3) 기름(유랭) : 처음에는 경화능이 작으나 온도가 올라갈수록 커진다.
(20도 까지 경화능 유지)
③ 담금질 처리 전후의 재료 조직의 변화 내용
: 담금질 조직의 경우 열처리 후 냉각하는 속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트루스타이트, 솔바이트로 구분된다. 열처리 후 급랭(수랭)을 할 경우 마르텐사이트로 바뀌게 되고 급랭(유랭)을 하게되면 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가 된다.
※ 조직들의 경도 순.
: 시멘타이트>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솔바이트>펄라이트>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순으로 정렬 할 수 있다.
③ 담금질 처리 전후에 재료 조직의 변화 내용.
: 강을 A₃변태점보다 30~50도정도 더 높은 온도까지 강을 가열한 후 10분에서 15분정도 유지를 시킨다. 그렇게되면 강의 조직은 오스테나이트로 변하게 된다. 이때, 수랭(빠르게 식히는경우)을 시킬 경우 강의 조직은 마르텐사이트로 변하고 유랭(조금 시간을 두고 식히는 경우)을 시킬 경우 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로 조직이 변하게 된다.
4. 불림(Normalizing)
① 불림 처리의 목적.
: 불림 처리의 목적은 강을 표준상태로 만들기 위한 열처리라고 할 수 있다. 강을 불림처리를 하면 주조 또는 과열조직을 미세화 시키고 냉간가공 및 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결정조직, 기계적, 물리적 성질등을 표준화 시킬 수 있다.
② 불림 처리의 방법.
: A₁(723도 공석변태)~A₃(911도 동소변태) 변태점보다 40~60도 정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개선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공랭)시킨다.
③ 불림 처리 전후에 재료 조직의 변화 내용.
: 강을 A₃변태점 보다 40~60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을 한후 10분정도 그 온도를 유지하면 강의 조직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화한다. 이때, 공기 중에서 냉각(공랭)을 시키면 강은 서서히 온도가 식기 시작하며 온도가 내려간 후에는 강의 조직이 솔바이트로 변하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