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의 사후 관리(Follow-up)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원봉사의 사후 관리(Follow-u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원봉사의 사후 관리(Follow-up)

1) 사후 관리의 필요성
2) 사후 관리의 과정
 (1) 활동 개시 직후
 (2) 3개월경과 후
 (3) 1년경과 후
3) 사후 관리의 방법
4) 사후 관리의 내용
 (1) 자원봉사자와 직원간의 관계가 좋지 못한 원인
 (2) 상호 좋은 관계를 갖도록 하기 위한 조정자의 역할
 (3) 직원이 자원봉사에 관심을 갖게 하는 방안
 (4) 상호간의 갈등 예방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자원봉사자들이 완수하는 활동과 끝내지 못하는 활동의 원인을 설명해 줌
- 최고 경영자로부터의 지원을 보여 줌
- 자원봉사자란 누구이며, 그들의 배경이 어떠한지를 설명해 줌
- 자원봉사자들이 조직에 기여하는 바를 설명해 줌
- 자원봉사자 업무 계획과 모집, 선별, 채용, 감독에 있어 직원의 역할을 상세히 설명함
-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여 유익했던 직원의 예를 보여줌
- 문제가 되는 자원봉사자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말해 줌
- 훌륭한 자원봉사자를 인정하고 포상하는 방법을 말해 줌
(4) 상호간의 갈등 예방 방안
- 자원봉사자 활용에 관한 결정에 직원들을 참여시킴 : 모든 사람들은 갑작스런 결정을 좋아하지 않음
-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업무와 지원계획 그리고 감독체계에 대해 미리 계획함 : 그들 스스로가 일을 알아서 할 것으로 기대하지 말 것
- 지위 때문에 자원봉사를 하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받아들여서는 안됨 : 자질을 고려해야 하고,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것이 반드시 중요하지는 않음
- 자원봉사자는 필요한 기술 혹은 지식을 활동 과정 중에 배울 수 있다고 간주하지 말 것 : 만약 자원봉사자들에게 훈련이 필요하면 그들과 함께 일할 직원을 포함시킬 것
- 직원은 적절한 자원봉사자의 활용에 필요한 모든 것을 이미 안다고 간주하지 말 것
- 자원봉사자들이 기관에 기여하는 것에 대하여 감사를 표함
-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업무를 잘 수행한 직원에게도 포상해야 함
-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감독 활동은 함께 일하는 직원이 할 수도 있도록 함 : 자원봉사자에 대한 모든 권한은 오직 조정자만이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님
참고문헌
고양곤(1999).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노인복지연구』. 제 6호.
한국노인복지학회.
김동배(1999).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개발』. 집문당.
김미숙김유경김성희(1998). 『자원봉사센터의 현황과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범수 외(2001). 『자원봉사의 이해』. 학지사.
김수춘 외(1995). 『노인복지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영호 외(1996). 『자원복지활동과 복지교육』. 학문사.
김정후한만주(1998). 『노인인력 활용정책과 프로그램』. 집문당.
김중대(1998).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과 과제”. 『노인복지연구』. 제2호.
한국노인복지학회.
류기형 외(1999). 『자원봉사론』. 양서원.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11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5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