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조운반 및 안전관리의 일반 원칙 및 목적
2. 구조운반시의 주의사항
3. 부목 사용방법
4. 운반방법의 선택과 실시
1) 1인 구조운반
2) 2인 운반
3) 3인 또는 4인 구조운반
◆ 4인 1조로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 담요와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 의복과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 4인 1조가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4) 들것의 운반
◆ 4인 1조의 들것 운반
◆ 의자 운반법
◆ 담요로 임시 들것 만들어 운반하기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Ⅰ)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Ⅱ)
6) 끌어서 운반하기
◆ 목으로 끌기
◆ 담요 끌기
2. 구조운반시의 주의사항
3. 부목 사용방법
4. 운반방법의 선택과 실시
1) 1인 구조운반
2) 2인 운반
3) 3인 또는 4인 구조운반
◆ 4인 1조로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 담요와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 의복과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 4인 1조가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4) 들것의 운반
◆ 4인 1조의 들것 운반
◆ 의자 운반법
◆ 담요로 임시 들것 만들어 운반하기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Ⅰ)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Ⅱ)
6) 끌어서 운반하기
◆ 목으로 끌기
◆ 담요 끌기
본문내용
가서 머리와 어깨 가까이에 위치한다.
② 가능하면 양 팔과 양 다리를 몸에 가지런히 놓이게 한다.
③ 목을 고정하기 위하여 한 손으로 머리를 가만히 잡는다(그림 A)
④ 척추손상의 악화방지를 위해서 머리를 잡고 한 번에 옮기는 것이 좋으며 나머지 한손은 부상자의 어깨에 대어 그의 몸을 한번에 잡아끈다(그림 B)
⑤ 부상자의 몸을 최소한으로 움직여 가능하면 가장 안전하게 눕힌다(그림 C)
(2) 1인 운반
● 보행보조로 운반하기
상해정도가 가벼운 부상자의 한 팔을 운반자의 목 뒤로 돌려 잡아 몸을 약간 굽혀 부상자 체중의 대부분을 운반자가 지탱하면서 부상자가 걸어가는 것을 돕는다.
● 안기 방법
안기방법은 가벼운 부상시에 양 팔로 안아서 가까운 안전장소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 업기 방법
업기방법은 상해의 손상정도가 이 방법을 사용해도 악화되지 않을 경우에 행하며, 부상자의 겨드랑이가 어깨에 잘 걸쳐지도록 하여 업고 한손으로는 부상자 양 손을 잡고 다른 한손은 자유롭게 하여 걸음을 걷는다. 이때 자유로운 한손은 이동시에 다른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혹은 문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하도록 한다.
● 어깨에 걸러매어 운반하는 방법
어깨에 걸러매는 방법은 부상자의 체중이 무거울 경우에는 다소 불편하지만 운반자의 어깨 위에 걸러 매어 양 다리 안으로 한손을 넣어 부상자의 한손을 잡고 다른 한손은 자유롭게 하여 이동시 다른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혹은 문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하도록 한다.
2) 2인 운반
● 2인 보행보조
2인 1조로 부상자의 양팔을 어깨에 얹고 부축하여 보행을 보조한다.
● 두 손으로 자리 만들어 운반하기
2인이 양 손을 서로 잡아 자리를 만들어 그 위에 부상자를 앉혀서 운반한다.
● 가마 태우기
2인이 양 손으로 가마를 만들어 그 위에 부상자를 앉혀서 운반하다.
● 상체 및 하체를 들어 운반하기
의식불명인 부상자를 안정장소 이동시킬 때 적합하며, 한 사람은 부상자 뒤에서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 전완부를 잡고 다른 한 사람은 다리를 잡아 들어올려 운반한다.
그러나 골절상해를 입은 부상자에게는 이 방법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한 쪽 다리에 가벼운 상처를 입은 경우에는 그 다리를 정상적인 다리 위에 얹어지도록 하여 보호한다.
● 하지 및 체간부를 들어서 운반하기
한 사람은 부상자의 양 다리의 슬와부 밑으로 손을 넣어 잡고 다른 한 사람은 양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서 가슴을 거쳐 양손을 잡은 상태에서 들어 올려 운반한다.
3) 3인 또는 4인 구조운반
(1) 4인 1조 부상자의 구조운반
◆ 4인 1조로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의식을 잃었거나 심하게 부상당했을 경우에 부상자의 신체에 널빤지나 들것을 대고 눕혀줄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2) 임시 들것 만들기
만일 주변에 들것이 없다면 담요나 의복, 막대기 등을 사용하여 임시 들것을 만들어 사용하면 편리하다.
◆ 담요와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막대기 2개로 들것의 넓이를 정한 다음에 담요를 끼워 집어 편다.
◆ 의복과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의복의 가장자리 공간으로 막대기 2개를 끼워 넣는다.
◆ 4인 1조가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부상자를 들것 위에 옮기고 내리는 과정이 운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운반인원은 3-4사람 정도가 적당하다.
한 사람이 들것을 부상자 옆에 놓을 때까지 다른 사람은 대기한다.
3사람이 각각 어깨쪽, 허리, 무릎 쪽에 한쪽 무릎은 꿇고 앉되 부상부위 반대편에 위치한다.
다음에 각기 손을 부상자 신체 밑으로 조심스럽게 집어넣은 것을 확인하고 지휘자의 ‘들어’하는 구령에 맞추어 천천히 부상자를 들어서 무릎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에 한 사람은 들것을 부상자의 밑으로 넣어주고 ‘내려’하는 구령에 맞추어 부상자를 들것 위에 내려 놓는다.
4) 들것의 운반
◆ 4인 1조의 들것 운반
들것 운반은 4인 1조가 좋다. 4사람이 각기 들것의 앞, 뒤 그리고 양 옆에서 부상자의 발쪽을 향하여 한 무릎을 끊고 위치를 잡아 ‘들것’하는 구령에 의하여 천천히 동시에 들어 올리고 다음 구령에 의해서 양 옆에 있는 사람과 발쪽에 있는 사람은 왼발부터, 머리쪽의 지휘자는 오른발부터 시작해서 걸음을 시작한다. 주의할 점은 부상자의 발쪽이 앞으로 하여 걷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언덕이나 계단을 올라갈 때에는 머리쪽을 앞으로 하여 걷도록 한다.
◆ 의자 운반법
2인 1조가 되어 특히 부상자를 계단 위 또는 아래로 운반할 때 의자를 기구로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한 사람은 의자 뒤를 또 한 사람은 의자 앞의 양쪽을 잡아 의자를 들어 올려서 운반한다.
◆ 담요로 임시 들것 만들어 운반하기
만일 적당한 들것이나 임시 들것을 만들 도구가 없는 상항에서 담요를 발견한다면 부상자가 담요 위에 실린 상태에서 담요 양 옆을 둥글게 말아 잡을 곳을 만들어 들어올려서 운반하며 훌륭한 들것이 된다.
5)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Ⅰ)
적당한 들것이 없거나 임시 들것 만들기도 마땅치 않다면 3-4인이 직접 부상자를 들어서 운반할 수 밖에 없다.
3인 1조가 되어 부상자를 들것에 실을 때와 마찬가지로 위하여 한 무릎을 꿇고 양손을 신체 밑으로 넣은 다음에 ‘들어’하는 구령에 의해 3사람이 모두 똑같이 일어난다.
부상자의 신체전면이 운반자들의 가슴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다음 구령에 의해 앞으로 또는 옆으로 운반한다.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Ⅱ)
3인 1조로 부상자 신체 한편에 두 사람, 한편에 한 사람이 위치하여 모두 한 무릎을 꿇고 앉는다.
3사람은 손과 팔(전완)을 부상자 신체 밑에 넣으며, (그림 A)와 같이 서로 손목을 잡는다.
다음에 구령에 의해서 일어나 부상자의 다리 쪽을 앞으로 하여 걸음을 시작한다.
6) 끌어서 운반하기
◆ 목으로 끌기
부상자의 손목을 붕대, 테이프, 삼각건 등으로 묶어서 그 안에 운반자의 머리를 넣어, 목을 위로 들어 올리며 앞으로 끌면서 운반한다.
◆ 담요 끌기
담요 위에 무의식환자를 싣고 머리 쪽을 약간 들어서 끌어당기며 운반한다.
※ 주의사항 : 척추골절 및 골반골절 부상자에게는 적용하지 말 것.
② 가능하면 양 팔과 양 다리를 몸에 가지런히 놓이게 한다.
③ 목을 고정하기 위하여 한 손으로 머리를 가만히 잡는다(그림 A)
④ 척추손상의 악화방지를 위해서 머리를 잡고 한 번에 옮기는 것이 좋으며 나머지 한손은 부상자의 어깨에 대어 그의 몸을 한번에 잡아끈다(그림 B)
⑤ 부상자의 몸을 최소한으로 움직여 가능하면 가장 안전하게 눕힌다(그림 C)
(2) 1인 운반
● 보행보조로 운반하기
상해정도가 가벼운 부상자의 한 팔을 운반자의 목 뒤로 돌려 잡아 몸을 약간 굽혀 부상자 체중의 대부분을 운반자가 지탱하면서 부상자가 걸어가는 것을 돕는다.
● 안기 방법
안기방법은 가벼운 부상시에 양 팔로 안아서 가까운 안전장소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 업기 방법
업기방법은 상해의 손상정도가 이 방법을 사용해도 악화되지 않을 경우에 행하며, 부상자의 겨드랑이가 어깨에 잘 걸쳐지도록 하여 업고 한손으로는 부상자 양 손을 잡고 다른 한손은 자유롭게 하여 걸음을 걷는다. 이때 자유로운 한손은 이동시에 다른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혹은 문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하도록 한다.
● 어깨에 걸러매어 운반하는 방법
어깨에 걸러매는 방법은 부상자의 체중이 무거울 경우에는 다소 불편하지만 운반자의 어깨 위에 걸러 매어 양 다리 안으로 한손을 넣어 부상자의 한손을 잡고 다른 한손은 자유롭게 하여 이동시 다른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혹은 문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하도록 한다.
2) 2인 운반
● 2인 보행보조
2인 1조로 부상자의 양팔을 어깨에 얹고 부축하여 보행을 보조한다.
● 두 손으로 자리 만들어 운반하기
2인이 양 손을 서로 잡아 자리를 만들어 그 위에 부상자를 앉혀서 운반한다.
● 가마 태우기
2인이 양 손으로 가마를 만들어 그 위에 부상자를 앉혀서 운반하다.
● 상체 및 하체를 들어 운반하기
의식불명인 부상자를 안정장소 이동시킬 때 적합하며, 한 사람은 부상자 뒤에서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 전완부를 잡고 다른 한 사람은 다리를 잡아 들어올려 운반한다.
그러나 골절상해를 입은 부상자에게는 이 방법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한 쪽 다리에 가벼운 상처를 입은 경우에는 그 다리를 정상적인 다리 위에 얹어지도록 하여 보호한다.
● 하지 및 체간부를 들어서 운반하기
한 사람은 부상자의 양 다리의 슬와부 밑으로 손을 넣어 잡고 다른 한 사람은 양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서 가슴을 거쳐 양손을 잡은 상태에서 들어 올려 운반한다.
3) 3인 또는 4인 구조운반
(1) 4인 1조 부상자의 구조운반
◆ 4인 1조로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의식을 잃었거나 심하게 부상당했을 경우에 부상자의 신체에 널빤지나 들것을 대고 눕혀줄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2) 임시 들것 만들기
만일 주변에 들것이 없다면 담요나 의복, 막대기 등을 사용하여 임시 들것을 만들어 사용하면 편리하다.
◆ 담요와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막대기 2개로 들것의 넓이를 정한 다음에 담요를 끼워 집어 편다.
◆ 의복과 막대기를 사용해서 만든 임시 들것
의복의 가장자리 공간으로 막대기 2개를 끼워 넣는다.
◆ 4인 1조가 부상자를 들것 위로 옮기는 방법
부상자를 들것 위에 옮기고 내리는 과정이 운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운반인원은 3-4사람 정도가 적당하다.
한 사람이 들것을 부상자 옆에 놓을 때까지 다른 사람은 대기한다.
3사람이 각각 어깨쪽, 허리, 무릎 쪽에 한쪽 무릎은 꿇고 앉되 부상부위 반대편에 위치한다.
다음에 각기 손을 부상자 신체 밑으로 조심스럽게 집어넣은 것을 확인하고 지휘자의 ‘들어’하는 구령에 맞추어 천천히 부상자를 들어서 무릎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에 한 사람은 들것을 부상자의 밑으로 넣어주고 ‘내려’하는 구령에 맞추어 부상자를 들것 위에 내려 놓는다.
4) 들것의 운반
◆ 4인 1조의 들것 운반
들것 운반은 4인 1조가 좋다. 4사람이 각기 들것의 앞, 뒤 그리고 양 옆에서 부상자의 발쪽을 향하여 한 무릎을 끊고 위치를 잡아 ‘들것’하는 구령에 의하여 천천히 동시에 들어 올리고 다음 구령에 의해서 양 옆에 있는 사람과 발쪽에 있는 사람은 왼발부터, 머리쪽의 지휘자는 오른발부터 시작해서 걸음을 시작한다. 주의할 점은 부상자의 발쪽이 앞으로 하여 걷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언덕이나 계단을 올라갈 때에는 머리쪽을 앞으로 하여 걷도록 한다.
◆ 의자 운반법
2인 1조가 되어 특히 부상자를 계단 위 또는 아래로 운반할 때 의자를 기구로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한 사람은 의자 뒤를 또 한 사람은 의자 앞의 양쪽을 잡아 의자를 들어 올려서 운반한다.
◆ 담요로 임시 들것 만들어 운반하기
만일 적당한 들것이나 임시 들것을 만들 도구가 없는 상항에서 담요를 발견한다면 부상자가 담요 위에 실린 상태에서 담요 양 옆을 둥글게 말아 잡을 곳을 만들어 들어올려서 운반하며 훌륭한 들것이 된다.
5)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Ⅰ)
적당한 들것이 없거나 임시 들것 만들기도 마땅치 않다면 3-4인이 직접 부상자를 들어서 운반할 수 밖에 없다.
3인 1조가 되어 부상자를 들것에 실을 때와 마찬가지로 위하여 한 무릎을 꿇고 양손을 신체 밑으로 넣은 다음에 ‘들어’하는 구령에 의해 3사람이 모두 똑같이 일어난다.
부상자의 신체전면이 운반자들의 가슴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다음 구령에 의해 앞으로 또는 옆으로 운반한다.
◆ 3인 1조의 들것 없이 직접 운반하기(Ⅱ)
3인 1조로 부상자 신체 한편에 두 사람, 한편에 한 사람이 위치하여 모두 한 무릎을 꿇고 앉는다.
3사람은 손과 팔(전완)을 부상자 신체 밑에 넣으며, (그림 A)와 같이 서로 손목을 잡는다.
다음에 구령에 의해서 일어나 부상자의 다리 쪽을 앞으로 하여 걸음을 시작한다.
6) 끌어서 운반하기
◆ 목으로 끌기
부상자의 손목을 붕대, 테이프, 삼각건 등으로 묶어서 그 안에 운반자의 머리를 넣어, 목을 위로 들어 올리며 앞으로 끌면서 운반한다.
◆ 담요 끌기
담요 위에 무의식환자를 싣고 머리 쪽을 약간 들어서 끌어당기며 운반한다.
※ 주의사항 : 척추골절 및 골반골절 부상자에게는 적용하지 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