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self)에 대하여 어떻게 아는가?
사람들이 자기개념(self-concept)를 형성하는 과정은 타인의 인상을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다. 자기지각이론(self-perception theory)에 따르면 자신의 외현적인 행동을 보고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Bem, 1968). 어떤 사람이 사람 사귀기를 좋아하고, 모임에 자주 나가는 행동을 보고 그 사람이 사교적이라는 인상을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자신에 대하여도 교회에 자주 나가고, 교회일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자신의 행동을 보고, 자신이 매우 종교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타인들과의 지속적인 비교를 통해서 자신에 대한 개념들이 형성되어 진다.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에 의하면 개인이 지니고 있는 자기개념들은 지속적인 타인들과의 비교와 반응에 의하여 구성된 생각이다(Festinger, 1954).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성격형용사들은 모두 상대적인 비교를 전제하고 있으므로, 타인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개념이 형성된다. 이 밖에도 사람들은 자신의 내적인 생각과 감정등에 기초하여 자신을 판단한다.
2. 한 사람이 다양한 자기개념을 지닐 수 있는가?
그렇다. 특히 다양한 역할을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는 복잡한 자기개념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한 학생이 학교에서는 조용하며, 조직적이고, 학구적인데 친구들과는 유우머 있고, 인정 많으며, 결단력이 있을 수 있고, 가족들과는 감정적이며, 성숙하고, 이해심이 많을 수 있다. Linville(1985)은 자기복합성(self-complexity)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그 심리적 영향을 설명한다. 다양한 자기개념을 지닌 자기복합성이 높은 사람들은 한 두개의 자기개념을 지닌 사람에 비하여 인생의 비극적인 사건의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한 두개의 단순한 자기개념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인생의 성공에 직면했을 때는 더 긍정적인 기분을 느끼며, 실패에 직면했을 때는 더 부정적인 기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자기복합성이 높은 사람의 경우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버림을 받았다면 자신의 복잡하고 다양한 자기개념 중 극히 작은 부분만이 손상되므로, 상대적으로 더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다. 이를테면, "나는 이성관계에 있어서는 별볼일 없지만, 여전히 훌륭한 축구선수이며, 대학신문의 뛰어난 기자이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한 두개의 단순한 자기개념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한번의 불행한 사건에 의해 자신의 삶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3. 왜 우리는 가까운 사람이 뛰어난 업적을 이룩했을 때 축하해 줘야 하지만, 불편한 감정을 피할 수 없는가?
앞서도 언급했지만, 자기개념이나 자기평가는 대부분 사람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자신이 얼마나 똑똑한가는 주위에 어떤 사람들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월등하게 우수한 사람과의 지속적인 비교는 자신이 얼마나 열등한가를 끊임없이 알려주는 과정이다. 그러나 이것은 가까운 사람의 뛰어난 성취가 얼마나 자신개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Tesser(1989)는 자기평가유지모델(self-evaluation maintenance)를 통해서 이러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는 친밀한 사람의 뛰어난 성취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그 사람이 성취를 이룬 영역이 자신에게 얼마나 중요한 속성인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자신과 가장 친한 친구가 전국미술대회에서 대상을 받았을 때, 자신이 미술적 재능에 큰 투자를 하지 않고,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이 자신에게 중요한 속성이 아닐 경우에는 그 친구를 진심으로 축하하고, 그런 친구를 둔 것을 자랑스러워 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자신도 그 친구와 같이 열심히 그림공부를 해왔으며,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이 자기개념의 중심적 내용이라면, 친구의 영광은 자신의 비극이며 고통일 것이다.
4. 우리가 보기에 너무나 훌륭한 성취를 이룩한 사람들이 왜 항상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이는가?
사람들은 자기자신을 타인과 비교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내부적으로 설정한 자신의 기준에도 비교한다. Higgins(1987)는 자기괴리이론(self-discrepancy theory)를 통해서 사람들은 자신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자기 안내자(self-guide)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자기 안내자는 자기가 이상적으로 되기를 바라는 이상자기(ideal self)와 자기가 의무적으로 되어야 하는 의무적자기(ought self)를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어느 여학생은 이상적으로 날씬하고, 자신감있기를 원하고 있는 반면, 의무적으로는 동생을 보살펴야 하며, 학점이 B이상 되어야 하는 자기안내자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자기괴리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러한 자기안내자와 현재의 자신을 비교하여 괴리가 있을 때는 불편함 감정이 유발된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상자기와 현실의 자기 모습간에 괴리가 있을 때는 우울과 관련된 감정을 느끼며, 의무자기와 괴리가 있을 경우에는 불안, 초조와 관련된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타인과 비교하여 훌륭한 성취를 이룩한 사람도 자신의 내적으로 설정된 높은 자기안내자와의 불일치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의무적인 자기안내자의 영향을 받는다면 그 사람은 불안한 감정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5. 변명은 심리적으로 어떤 중요성이 있는가?
우리는 자신으로 인한 잘못된 결과에 대하여 많은 경우 변명과 핑계를 일삼는다. 모임에 지각하는 사람은 묻지 않아도 "차가 고장이 나서", "교통체증이 심해서" 등의 변명을 늘어 놓으며, 테니스를 못치는 사람은 라켓이나 운동장 탓을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의 원인을 찾을 때 성공적인 일에 대하여는 자신의 능력으로 돌리며(내적귀인), 실패한 일에 대하여는 외부적 환경으로 돌리는(외적귀인) 편향성이 있다. 자신의 잘못을 자신에게 돌리지 않고 외부로 돌리는 핑계와 변명은 심리적으로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자긍심을 유지시키고, 잘못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5.1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