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논리적 이원론
2. 서유기
3. 다원화 사회의 이해
4. 이해방향의 전환 - 기계론적인 세계관과 다르게 세상을 본다는 것
2. 서유기
3. 다원화 사회의 이해
4. 이해방향의 전환 - 기계론적인 세계관과 다르게 세상을 본다는 것
본문내용
라보는 대상이 우주가 되고 그 안보이는 손의 역할을 인간의 이성이 담당하게 되면 실증주의가 탄생된다. 그 사회에서는 인간 자체가 기계의 부품이 되어간다.
유기적 사유는 반대이다.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들이 서로 넘나드는 관계로 맺어져 있다. 하나의 맥으로 연결되어 있다. 현대 물리학은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독립된 단위가 아니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성립된다. 개별적 특성을 연구하는 대신 그 요소들이 어떻게 서로얽혀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어 가는지 그 관계들의 특성에 주목한다. 관계는 정태적이 아니라 역동적이다.
정리해보면, 상상력이 인간과 세상 이해의 원리로 자리잡는다는 것은 기계론적인 세계관과 다르게 세상을 본다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화두가 되고 있는 환경 문제, 생태 문제, 세계화 문제도 그런 유기론 적인 관점,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생명체의 관점에서 세상과 우주를 바라볼 때 제대로 된 답이 나온다. 그리하여 이질적으로 보이는 것들 사이의 맥을 보고 그 사이에 다리를 놓고 서로 소통하게 해야 한다. 상상력이 중요한 것은 흩어진 개인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맥을 보고 다리를 놓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이다.
유기적 사유는 반대이다.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들이 서로 넘나드는 관계로 맺어져 있다. 하나의 맥으로 연결되어 있다. 현대 물리학은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독립된 단위가 아니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성립된다. 개별적 특성을 연구하는 대신 그 요소들이 어떻게 서로얽혀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어 가는지 그 관계들의 특성에 주목한다. 관계는 정태적이 아니라 역동적이다.
정리해보면, 상상력이 인간과 세상 이해의 원리로 자리잡는다는 것은 기계론적인 세계관과 다르게 세상을 본다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화두가 되고 있는 환경 문제, 생태 문제, 세계화 문제도 그런 유기론 적인 관점,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생명체의 관점에서 세상과 우주를 바라볼 때 제대로 된 답이 나온다. 그리하여 이질적으로 보이는 것들 사이의 맥을 보고 그 사이에 다리를 놓고 서로 소통하게 해야 한다. 상상력이 중요한 것은 흩어진 개인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맥을 보고 다리를 놓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