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94029
㉠입수와 캐치: 양 팔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머리를 물 속에 넣어서 물을 끌어당길 준비를 한다. 이때, 머리는 손보다 먼저 물속으로 들어간다. 가 장 좋은 손의 자세는, 손가락의 힘을 빼고 간격을 약간 벌려 주는 것인데, 이렇게 해야만 물이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감으로써 물속을 통과하기가 쉬 워진다.
㉡풀동작과 푸시동작: 물 속 깊이 팔을 끌어당기면서 숨을 내뿜는다. 어깨선을 지나면 팔을 약간 굽혀 넓적다리를 스치면서 끌어올린다. 그리고 물 밖으로 솟구쳐 오를 때 숨을 들이 마신다.
㉢리커버리: 엄지손가락으로 허벅지를 때린다는 느낌으로 푸시를 해준 다음 새 끼손가락부터 빠지고 물속으로 재입수하기 위해 큰 호를 그리면서 팔을 젓 는다. 리커버리하는 팔이 대략 머리 높이에 이르렀을 때, 머리는 물을 향해 내려가고, 손이 입수할 시점에서는 이미 물속으로 들어가 있다.
4)평영(平泳, breaststroke)
수영 도중 많은 시간 동안 얼굴을 수면 위로 내밀 수 있으며, 또한 안정적으로 헤엄칠 수 있기 때문에 쉬엄쉬엄 헤엄을 치는 사람들이 많이들 구사하는 영법이다. 대부분의 수영 초보자들은 크롤 영법이나 평영 영법부터 시작해서 수영을 배운다. 하지만, 사람들은 수영 경기 종목 중 평영을 가장 어려운 영법으로 꼽고 있다. 평영이 다른 영법에 비해 상당한 지구력과 다리 힘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영법:
http://ko.wikipedia.org/wiki
㉠팔동작: Y자로 벌어지는 동안은 힘을 주지않고, 안으로 당길때 파워를 실 어주면서 빠르게 안으로 당기고 앞으로 글라이딩하는 거라 한다.
㉡다리동작: 무릎이 가라앉으면 마찰저항이 심해지기 때문에 무릎이 너무 가라앉아서 는 안 된다. 그 다음 찌르며 차는 단계를 위해 양 발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한다. 찌 르며 차는 단계에서는, 다리를 처음 상태 로 되돌아가도록 타원을 그리며 찬다. 평영 다리 동작 시에는 무릎을 모은다. 다리를 찌르며 차는 단계에서보다 발을 끌어당기는 단계에서 다리의 동작이 느리다. 다시 말해, 물을 차서 다리를 곧게 뻗는 단계에서는 추진력을 많이 얻어야 하며, 발을 끌어당기는 단계에서는 저항력(마찰력)을 줄여야 한다. 발을 끌어당기는 단계에서는, 무릎 아래의 종아리와 발이 무릎 위의 넓적다리가 지나간 자리를 지나간다. 또한 발이 뒤쪽을 향한다. 물을 차서 다리를 곧게 뻗는 단계에서는, 넓적다리, 종아리, 발이 제각기 항적(航跡)을 남긴다. 이때 양발의 평평한 부분이 앞쪽으로의 최대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수중익(고속정(艇)의 하부의 이수(離水) 장치, hydrofoil) 역할을 한다.
<참고 웹사이트>
- http://blog.naver.com/taxozu4344/130006104281
- http://www.cyworld.com/fade77/3265877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www.cyworld.com/fade77/3265877
- http://blog.naver.com/joshua1_6/40011094029
㉠입수와 캐치: 양 팔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머리를 물 속에 넣어서 물을 끌어당길 준비를 한다. 이때, 머리는 손보다 먼저 물속으로 들어간다. 가 장 좋은 손의 자세는, 손가락의 힘을 빼고 간격을 약간 벌려 주는 것인데, 이렇게 해야만 물이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감으로써 물속을 통과하기가 쉬 워진다.
㉡풀동작과 푸시동작: 물 속 깊이 팔을 끌어당기면서 숨을 내뿜는다. 어깨선을 지나면 팔을 약간 굽혀 넓적다리를 스치면서 끌어올린다. 그리고 물 밖으로 솟구쳐 오를 때 숨을 들이 마신다.
㉢리커버리: 엄지손가락으로 허벅지를 때린다는 느낌으로 푸시를 해준 다음 새 끼손가락부터 빠지고 물속으로 재입수하기 위해 큰 호를 그리면서 팔을 젓 는다. 리커버리하는 팔이 대략 머리 높이에 이르렀을 때, 머리는 물을 향해 내려가고, 손이 입수할 시점에서는 이미 물속으로 들어가 있다.
4)평영(平泳, breaststroke)
수영 도중 많은 시간 동안 얼굴을 수면 위로 내밀 수 있으며, 또한 안정적으로 헤엄칠 수 있기 때문에 쉬엄쉬엄 헤엄을 치는 사람들이 많이들 구사하는 영법이다. 대부분의 수영 초보자들은 크롤 영법이나 평영 영법부터 시작해서 수영을 배운다. 하지만, 사람들은 수영 경기 종목 중 평영을 가장 어려운 영법으로 꼽고 있다. 평영이 다른 영법에 비해 상당한 지구력과 다리 힘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영법:
http://ko.wikipedia.org/wiki
㉠팔동작: Y자로 벌어지는 동안은 힘을 주지않고, 안으로 당길때 파워를 실 어주면서 빠르게 안으로 당기고 앞으로 글라이딩하는 거라 한다.
㉡다리동작: 무릎이 가라앉으면 마찰저항이 심해지기 때문에 무릎이 너무 가라앉아서 는 안 된다. 그 다음 찌르며 차는 단계를 위해 양 발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한다. 찌 르며 차는 단계에서는, 다리를 처음 상태 로 되돌아가도록 타원을 그리며 찬다. 평영 다리 동작 시에는 무릎을 모은다. 다리를 찌르며 차는 단계에서보다 발을 끌어당기는 단계에서 다리의 동작이 느리다. 다시 말해, 물을 차서 다리를 곧게 뻗는 단계에서는 추진력을 많이 얻어야 하며, 발을 끌어당기는 단계에서는 저항력(마찰력)을 줄여야 한다. 발을 끌어당기는 단계에서는, 무릎 아래의 종아리와 발이 무릎 위의 넓적다리가 지나간 자리를 지나간다. 또한 발이 뒤쪽을 향한다. 물을 차서 다리를 곧게 뻗는 단계에서는, 넓적다리, 종아리, 발이 제각기 항적(航跡)을 남긴다. 이때 양발의 평평한 부분이 앞쪽으로의 최대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수중익(고속정(艇)의 하부의 이수(離水) 장치, hydrofoil) 역할을 한다.
<참고 웹사이트>
- http://blog.naver.com/taxozu4344/130006104281
- http://www.cyworld.com/fade77/3265877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www.cyworld.com/fade77/3265877
- http://blog.naver.com/joshua1_6/40011094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