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AIDS(에이즈)란?
Ⅱ. AIDS(에이즈) 감염 경로
Ⅲ. AIDS(에이즈) 감염 결과
Ⅳ. AIDS(에이즈) 분류 및 증상
Ⅴ. AIDS(에이즈) 대륙별 현황
Ⅵ. AIDS(에이즈) 검사 방법
Ⅶ. AIDS(에이즈) 관리방법
Ⅷ. AIDS(에이즈) 치료
Ⅸ. AIDS(에이즈) 예방
Ⅱ. AIDS(에이즈) 감염 경로
Ⅲ. AIDS(에이즈) 감염 결과
Ⅳ. AIDS(에이즈) 분류 및 증상
Ⅴ. AIDS(에이즈) 대륙별 현황
Ⅵ. AIDS(에이즈) 검사 방법
Ⅶ. AIDS(에이즈) 관리방법
Ⅷ. AIDS(에이즈) 치료
Ⅸ. AIDS(에이즈) 예방
본문내용
경험과 동성애 경험이 있는 환자
3. 오염물의 처치
병원전반에 걸쳐서 HIV감염 환자에게 사용한 모든 오염물의 처치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표준이다. 재사용이 가능한 오염된 물품은 사용후 Y-소독액(5.25%의 Sodium hypochloride)에 1 시간 정도 담구었다가 헹구어서 지정 용기에 넣어 소독실로 보내며 천으로 만든 재사용 물품은 [HIV오염주의]라는 표시나 색으로 구분하여 소독할 수 있는 장소로 보낸다. 폐기할 거즈, 솜, 붕대, 장갑, 일회용 검사기구 등의 오염된 물품은 방수용 주머니 등에 이중 포장하여 소각실로 보내며 주사기 등의 예리한 기구는 표면이 견고한 지정통에 넣어 소각실로 보낸다. 오염물의 운반에 사용되는 주머니는 다른 사람이 알 수 있도록 글씨로 표시하거나 색으로써 표시하도록 한다. HIV감염환자로부터 나온 액체성분(혈액, 각종 체액)은 5.25%의 sodium hypochloride 원액을 전체 내용물의 1/10정도 넣어 30분이 경과하면 하수시설을 이용하여 흘려보낸다.
4. 오염된 기구의 소독 및 오염물의 소독
HIV는 알콜, 페놀, 포르말린, Glutaraldehyde, Sodium hypochloride, 과산화수소수와 같은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소독제에 대하여 민감하며, 56℃에서는 30분 만에, 100℃에서는 즉시 불활화된다. 오염된 재사용 기구는 5.25% sodium hypochloride(시중에 나와있는 가정용 소독제는 5.25%이다) 10배 희석액(Y-소독액)에 60분 정도 담구었다가 씻어서 사용하거나 중앙공급실로 보낸다. 일반기구 소독시에는 E.O가스 소독이나 증기압력소독으로 충분하다. 식기, 접시, 쟁반 등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소독해도 무방하다. 혈액이나 체액으로 오염된 장소는 Y-소독액으로 닦아야 하며 희석액은 매일 만들어 사용하도록 한다. 환자방의 청소는 Y-소독액을 사용하도록 한다. 혈액이나, 체액, 전염성물질을 엎질렀을 때에는 일반용의 두터운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휴지 등을 이용하여 흘린 액체를 어느 정도 제거한후 세척액으로 닦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Ⅷ. AIDS(에이즈) 치료
HIV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약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다. 1987년 3월, 미국에서 HIV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AZT라는 약이 최초로 허가를 받았으며, 식품의약품관리국(FDA)은 곧이어 ddi, ddC, d4T와 같은 항바이러스 약품들을 선보였다. 이밖에도 여러 단계의 연구와 실험을 거친 수많은 약품들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치료법들이 면역체계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에이즈환자에게 발생하게 되는 기회감염을 통제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HIV자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 의사들은 인체의 방어체계를 구성하는 세포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이 치료법들은 에이즈환자의 기회감염을 줄이거나 예방할 뿐이다. HIV감염의 치료법과 백신들이 107가지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또한 국제보건기구에 의해 시작된 에이즈프로그램에서는 과학자들에게 HIV에 대항할 효과적인 새로운 약품의 공동개발을 허락하고 있다.
Ⅸ. AIDS(에이즈) 예방
1. 일부일처제의 안전한 성생활을 즐길 것.
2. 특히 마약이나 약물 중독자, HIV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사람(매춘자)과의 성행위 삼가.
3. 이들과 피치 못하게 성행위를 할 경우 반드시 콘돔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 체액의
교환이 있어서는 안 됨.
4. HIV감염자는 자신의 혈액이나 장기 일부를 타인에게 절대 공여해서는 안 됨.
5. 성행위시 상대방에게 본인이 HIV 양성자임을 밝혀야 함.
6. HIV양성 여성은 가능한 임신을 피하고 수유를 하지 말아야 한다.
3. 오염물의 처치
병원전반에 걸쳐서 HIV감염 환자에게 사용한 모든 오염물의 처치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표준이다. 재사용이 가능한 오염된 물품은 사용후 Y-소독액(5.25%의 Sodium hypochloride)에 1 시간 정도 담구었다가 헹구어서 지정 용기에 넣어 소독실로 보내며 천으로 만든 재사용 물품은 [HIV오염주의]라는 표시나 색으로 구분하여 소독할 수 있는 장소로 보낸다. 폐기할 거즈, 솜, 붕대, 장갑, 일회용 검사기구 등의 오염된 물품은 방수용 주머니 등에 이중 포장하여 소각실로 보내며 주사기 등의 예리한 기구는 표면이 견고한 지정통에 넣어 소각실로 보낸다. 오염물의 운반에 사용되는 주머니는 다른 사람이 알 수 있도록 글씨로 표시하거나 색으로써 표시하도록 한다. HIV감염환자로부터 나온 액체성분(혈액, 각종 체액)은 5.25%의 sodium hypochloride 원액을 전체 내용물의 1/10정도 넣어 30분이 경과하면 하수시설을 이용하여 흘려보낸다.
4. 오염된 기구의 소독 및 오염물의 소독
HIV는 알콜, 페놀, 포르말린, Glutaraldehyde, Sodium hypochloride, 과산화수소수와 같은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소독제에 대하여 민감하며, 56℃에서는 30분 만에, 100℃에서는 즉시 불활화된다. 오염된 재사용 기구는 5.25% sodium hypochloride(시중에 나와있는 가정용 소독제는 5.25%이다) 10배 희석액(Y-소독액)에 60분 정도 담구었다가 씻어서 사용하거나 중앙공급실로 보낸다. 일반기구 소독시에는 E.O가스 소독이나 증기압력소독으로 충분하다. 식기, 접시, 쟁반 등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소독해도 무방하다. 혈액이나 체액으로 오염된 장소는 Y-소독액으로 닦아야 하며 희석액은 매일 만들어 사용하도록 한다. 환자방의 청소는 Y-소독액을 사용하도록 한다. 혈액이나, 체액, 전염성물질을 엎질렀을 때에는 일반용의 두터운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휴지 등을 이용하여 흘린 액체를 어느 정도 제거한후 세척액으로 닦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Ⅷ. AIDS(에이즈) 치료
HIV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약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다. 1987년 3월, 미국에서 HIV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AZT라는 약이 최초로 허가를 받았으며, 식품의약품관리국(FDA)은 곧이어 ddi, ddC, d4T와 같은 항바이러스 약품들을 선보였다. 이밖에도 여러 단계의 연구와 실험을 거친 수많은 약품들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치료법들이 면역체계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에이즈환자에게 발생하게 되는 기회감염을 통제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HIV자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 의사들은 인체의 방어체계를 구성하는 세포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이 치료법들은 에이즈환자의 기회감염을 줄이거나 예방할 뿐이다. HIV감염의 치료법과 백신들이 107가지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또한 국제보건기구에 의해 시작된 에이즈프로그램에서는 과학자들에게 HIV에 대항할 효과적인 새로운 약품의 공동개발을 허락하고 있다.
Ⅸ. AIDS(에이즈) 예방
1. 일부일처제의 안전한 성생활을 즐길 것.
2. 특히 마약이나 약물 중독자, HIV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사람(매춘자)과의 성행위 삼가.
3. 이들과 피치 못하게 성행위를 할 경우 반드시 콘돔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 체액의
교환이 있어서는 안 됨.
4. HIV감염자는 자신의 혈액이나 장기 일부를 타인에게 절대 공여해서는 안 됨.
5. 성행위시 상대방에게 본인이 HIV 양성자임을 밝혀야 함.
6. HIV양성 여성은 가능한 임신을 피하고 수유를 하지 말아야 한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에이즈 현황과 문제점
AIDS(에이즈)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에 대하여
[가족과성]레즈비언의 해방과 가족의 가능성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정리
에이즈에 관하여
AIDS(에이즈)
[간염][간경변][간종양][간암][간질환]간염(간염의 감염 경로, 간염의 종류), 간경변(간경변...
<영어작문 A+레포트> Aid For Aids (에이즈 관련 free에세이)
[수혈][수혈로 인한 에이즈(AIDS) 감염 사례][헌혈증][지정공혈]수혈의 정의, 수혈의 목적, ...
후천성 면역결핍증) AIDS의 증상 및 잠복기간 및 에이즈의 전파경로와 예방대책 및 환자 관리...
광견병(rabies)의 임상증상, 검사, 치료방법, 예방접종, 특수상황에서의 치료 지침에 대해서
[폐결핵, 폐결핵 개념과 특성, 폐결핵 감염, 폐결핵 증상, 폐결핵 전파경로, 폐결핵 진단, 치...
[의료사회복지론] 에이즈(AIDS) _ 에이즈에 대한 이해, 에이즈 환자의 심리사회적 문제, 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