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tract (요약)
2. Introduction (이론 및 배경)
3. Experimental (준비물 및 실험방법)
4. Results (실험 결과)
5. Question (문제)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7. References (참고문헌)
2. Introduction (이론 및 배경)
3. Experimental (준비물 및 실험방법)
4. Results (실험 결과)
5. Question (문제)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7. References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색이 된다. [H3O+]가 Ka보다 훨씬 적을 정도까지 감소하면 염기성형이 더 많아지게 되므로 염기성형의 색이 관찰된다.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예로 들자면 여기에 염기를 첨가하면 H+ + OH- --> H2O 반응이 일어나 H+ 이온이 줄어들고 위 지시약의 평형 상태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In-]/[HIn]의 값이 0.1 이하이면 대부분 [HIn] 상태를 유지하므로 분자 색깔인 무색으로 나타날 것이고, [In-]/[HIn]의 값이 10 이상이면 대부분 [In-]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온 색깔인 붉은색이 나타날 것이다. 또한 지시약은 약한 산이나 약한 염기이므로 적정 실험 시 두 세 방울 정도만 사용한다. 비록 약한 산과 염기지만 적정 실험시 과량 사용하게 되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4) 시험관에 지시약을 같은 비율로 첨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시약의 비율의 차이에 의해 농도가 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각각의 pH에 대한 지시약 색과 미지시료의 색이 달라진다. 따라서 다른 비율로 첨가하면 미지시료의 pH값은 실제 pH와 다르게 측정된다.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의 목적은 지시약의 역할을 이해하고 미지시료 와 아세트산의 pH를 측정하며, 또한 측정된 아세트산의 pH를 이용하여 산의 해리 상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우리 조는 위와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지만 충분하지 않은 관찰과 공부로 아세트산의 pH를 구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 우리는 뒤의 지시약의 변색범위 및 제조법 표를 참고하여 추측으로 4.8~6.0의 pH 범위를 갖는다고 하였지만 몇 번의 검사 뒤에 확실한 방법을 알아내었다. 아세트산의 pH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색을 비교해보는 방법이 가장 정확했다. 1번째 실험했던 시험관 6세트와 2번째 실험했던 아세트산 해리상수를 알아보는 실험의 시험관 중 변색된 시험관의 색과 일치하는 색이 있는 한 세트의 시험관을 찾아 어디서 변색이 되었는지를 보면 아세트산의 pH를 정확히 측정 할 수 있었고 그 로 인해 아세트산의 pH가 5라는 사실을 알아냈고 아세트산의 pH로 [] 를 구할 수 있다. [] = 이라는 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고 이로 인하여 Ka = = 이라는 값을 얻게 되었다. 아세트산의 산해리상수는 으로서 아세트산의 처음 농도와 [H+] = [C2H3O2- ]이므로 pH의 농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시험관으로 인해 정확한 비율로 실험하지 못한데에 있어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비율로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7. References (참고문헌)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3&dirId=3&docId=527670&qb=7KeA7Iuc7JW9IOuzgOyDieybkOumr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6FFUv331xhssbITShwssv--186211&sid=TKnVgV@YqUwAACgOIoU
4) 시험관에 지시약을 같은 비율로 첨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시약의 비율의 차이에 의해 농도가 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각각의 pH에 대한 지시약 색과 미지시료의 색이 달라진다. 따라서 다른 비율로 첨가하면 미지시료의 pH값은 실제 pH와 다르게 측정된다.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의 목적은 지시약의 역할을 이해하고 미지시료 와 아세트산의 pH를 측정하며, 또한 측정된 아세트산의 pH를 이용하여 산의 해리 상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우리 조는 위와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지만 충분하지 않은 관찰과 공부로 아세트산의 pH를 구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 우리는 뒤의 지시약의 변색범위 및 제조법 표를 참고하여 추측으로 4.8~6.0의 pH 범위를 갖는다고 하였지만 몇 번의 검사 뒤에 확실한 방법을 알아내었다. 아세트산의 pH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색을 비교해보는 방법이 가장 정확했다. 1번째 실험했던 시험관 6세트와 2번째 실험했던 아세트산 해리상수를 알아보는 실험의 시험관 중 변색된 시험관의 색과 일치하는 색이 있는 한 세트의 시험관을 찾아 어디서 변색이 되었는지를 보면 아세트산의 pH를 정확히 측정 할 수 있었고 그 로 인해 아세트산의 pH가 5라는 사실을 알아냈고 아세트산의 pH로 [] 를 구할 수 있다. [] = 이라는 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고 이로 인하여 Ka = = 이라는 값을 얻게 되었다. 아세트산의 산해리상수는 으로서 아세트산의 처음 농도와 [H+] = [C2H3O2- ]이므로 pH의 농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시험관으로 인해 정확한 비율로 실험하지 못한데에 있어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비율로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7. References (참고문헌)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3&dirId=3&docId=527670&qb=7KeA7Iuc7JW9IOuzgOyDieybkOumr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6FFUv331xhssbITShwssv--186211&sid=TKnVgV@YqUwAACgOIoU
추천자료
노턴의 정리 예비, 결과보고서
전자학 - 최대전력전달 실험,결과보고서 통합본
[물리학실험]직류회로예비,결과보고서
저항기 색 코드와 저항값 측정(결과보고서)
실험 15. D 래치 및 D 플립 결과보고서
기초회로실험 중첩의 정리 예비,결과보고서
[디지털시스템] 32-bit Adder-Substracter 결과보고서
[디지털시스템] TTL 기본 실습 결과보고서
최신 디지털 공학 실험 10판 실험결과보고서 21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물리진자 (결과보고서)
프랑크 헤르츠 (Franck-Hertz`s experiment) 결과보고서
3 기체상수의 결정 및 탄산염 분석(결과보고서, 결보)
빛의 반사과 굴절 실험 (결과보고서)
안드로이드 어플 개발 소스코드 (안드로이드 제비뽑기 어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