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분만, 자연분만케이스, Nomal Dilivery Case Study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분만, 자연분만케이스, Nomal Dilivery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3쪽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4쪽
A. 문헌고찰
1. 정상질식 분만
2. 분만단계별 간호
3. 분만 후 신생아 간호

B. Case study
1.간호력
2. Nursing history
3. 분만과정
4. Lab 수치
5. 사용약물
6. 간호진단

본문내용

대해 새로운 시각과 관심 가지고 출산과 임신 분만의 전 과정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현 사례 연구 대상자는 정상 질식 분만을 한 27세의 여상 이였으며 본 대상자의 분만 진행 과정을 관찰하고 간호 과정을 통해 분만에 필요한 간호를 적용해 보고 산모와 분만의 과정을 함께 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을 포함한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출산은 누가 대신해 줄 수 없으므로 자신이 스스로의 힘으로 순산을 해야 되겠다는 마음과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분만의 기초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Ⅱ. 문헌고찰
1. 정상 질식 분만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1) 정상 분만의 시작
: 분만 및 출산 과정은 일반적으로 예측 가능한 일련의 사건으로 조화로운 형태를 이루며 모체도 건강하고 또한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는 여러 가지 환경적 이고 개별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개인마다 분만과정과 출산에 대한 독특한 경험을 갖게 된다. 따라서 모체의 분만 및 출산 과정을 정확하게 사정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예측 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려면, 분만과정과 출산 동안 일어나는 해부,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있어야한다. 분만 진통으로 시작하여 폐쇄되어 있는 자궁경관의 개대를 거쳐 먼저 태아, 이어 태반의 만출로 끝난다. 이것을 분만 제1기 ·분만 제2기·분만 제3기로 나눈다.
분만 시작의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이론들이 있다.
① 자궁신전 이론 : 자궁이 점차 신전되고 압박이 증가되면 진통이 시작되는 생리학적 변화가 유발된다.
②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순환되는 oxytocin의 양도 점차 증가한다.
③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progesterone은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율동적 자궁수축을 제어 하는데 비효과정이며, 더불어 순환 progesterone의 양이 실제적으로 감소할 수도 있다.
④ 임신이 지속되면서 태아 난막이나 자궁의 탈락막에 의해 prostaglandin 생산이 증가된다.
⑤ 태아는 임신 후기에 태반의 progesterone 의 생성을 억제하는 cortisol을 생산하여 증가 시킨다.
2) 분만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요인들
① 산도
골반의 크기(입구, 골반강, 출구의 경선)
골반의 형태
여성형-전형적인 여성 골반: 분만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남성형-남성 골반과 유사하다: 분만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유인원형-유인원 원숭이의 골반과 유사: 분만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편평형-편평한 골반: 분만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경관개대, 자궁하부의 팽창성, 골반상·질·질구의 팽창력
② 태아
태아 선진부의 크기
: 골반 입구상에 있는 태아의 부분을 말하며, 질 검진 시 느껴지는 부분이다. 너무 큰 경우 태아의 두개골이 모체의 골산도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유동성이 없다.
태세(굴곡 혹은 신전)
: 임신말기에 태아는 자궁강에 맞도록 전형적인 자세를 취한다. 아두는 굴곡되어 있고 등 은 굽히고 사지도 굴곡되어 있다. 산도를 통과하는 동안 아두가 좁은 면에 들어가기 위 해 신전되기도 한다.
태위(종위, 횡위)
: 전체분만의 99%인 종위에는 태아의 머리가 아래일 경우와 엉덩이나 발이 아래일 경우가 있다. 횡위의 경우 어깨가 아래인 경우이다.
태향 : 태아의 선진부위(머리, 안면, 엉덩이, 어깨)가 모체의 골반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는지, 또는 왼쪽인지, 앞뒤 또는 옆으로 향하고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예를 들어 두정위로 있는 태아의 후두가 모체 골반의 왼쪽 앞을 향하고 있을 때 태위와 태향을 좌전방 후두위로 표시한다. LOA의 경우 첫 번째, 세 번째 글자는 골반, 두 번째 글자는 태아와 관련 있다.
태아의 머리 : 전체 분만의 약 95%에서 태아의 머리가 먼저 나오므로 봉합과 천문은 질 검진 동안 태아의 위치를 판정하는 데 중요한 부위이다.
태아 두개골의 뼈(후두골, 2개의 두정골, 2개의 측두골, 2개의 전두골), 태아 두개골의 봉합 (전두봉합, 시상봉합, 관상봉합, 인자봉합), 천문 (소천문, 대천문)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③ 만출력(자궁수축)
: 임신 16주부터 수축이 시작되나 처음에는 약하다가 점차 강해지지만 통증이 동반되지 않으며, 자궁벽이 단단해지는 현상인 Braxton Hicks contraction은 분만에 이르면서 가진통에서 진진통으로 이행된다. 자궁수축은 불수의적이며, 리듬성이 있고 간헐적이다. 자궁수축은 제대혈관의 혈관수축에 의한 것으로 정상이다. 자궁수축 중에 결부를 잡아당기기 때문에 진통이 진행됨에 따라 강도, 빈도, 시간이 증가한다. 자궁수축 중에 활동이 심한 자궁 윗부분은 점차 두꺼워지고, 자궁하부는 신전되고 얇아지게 된다. 자궁수축이 끝날 때는 자궁상부는 짧아지고, 두꺼워진 세포 크기과 전달되는 수축과 더불어 점점 두꺼워지고 짧아지게 된다. 자궁하부의 세포는 수축 때마다 더 얇아지고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기전은 태아가 산도를 통해 내려오는 반응에 기인한다. 자궁상부와 하부 분절의 구별점은 생리적 퇴축 고리로 알려져 있다.
Uterine contraction interval, duration, intensity
경관 개대
0~3cm
4~7cm
8~10cm
intensity
강함
보통
강함
rhythm
불규칙
좀 더 규칙적
규칙적
duration
5~30분 마다
3~5분 마다
2~3분 마다
interval
10~30초
30~45초
45~60초
Bearing down
: 분만 2기 동안 복압이 증가는데 이는 불수의적이고 자연적인 노력이다. 산부의 수의적인 힘이 동반되어야 한다. 힘이 얼굴로 가지 않도록 산부에게 미리 교육을 해야 하며 6~7초 이상 힘주기를 지속하지 않도록 한다. 힘주기를 하고 싶을 때만 힘주기를 하거나 각 수축기에 3~5회 정도만 힘주기를 한다. 그리고, 성문을 연채로 힘주기를 하고 가볍게 내쉰다. 선진부가 회음을 누르기 전에는 억지로 힘을 주라고 해서는 안 되며, 자연히 힘이 주어져서 열상 등의 염려가 있을 때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팔을 위로
  • 가격2,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