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영화의 역사 요약 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초창기>
<1920년대> - 1세대 (정정추, 장석척)
<1930년대> - 2세대 (채초생, 손유, 오영강, 비목, 심부 등)
<1940년대>
<1940년대 말 ~ 1960년대 중반> - 3세대 (정군리, 사진, 수화, 성음, 최외, 능자풍 등)
<1966년 ~ 1976년>
<1977년 ~ 1978년> - 4세대 : 70년대 말 80년대 초 (사비, 정동천, 장난흔, 황촉근 등)
<1979년 ~1989년> - 5세대
<90년대 이후 > - 6세대(관호, 장원, 호설양, 황군 등)

본문내용

었다.
영상 미학의 굴기(1983년~1986년) : 주로 제5세대가 급부상하여 국내외적으로 엄청난 파란을 일으켰다.
다원화의 탐색(1987년~1989년) : 영화계의 다원화한 탐색의 국면이 나타났다.
<90년대 이후 > - 6세대(관호, 장원, 호설양, 황군 등)
90년대 초 천안문 사건과 정치적 한파로 억압적 문예정책이 펼쳐졌다. 그래서 해외 자본을 조달하는 방식의 영화 촬영이 이루어졌다. 92년 상영금지가 해제되었다.
5세대 감독들의 활발한 국제 진출이 이루어졌다.
1991년 홍 등 제 48 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은 사 자 상 장 예 모
1992년 귀주 이야기 제 49 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금 사 자 상 장 예 모
1993년 패 왕 별 희 제 46 회 칸 국제영화제 황 금 종 려 상 천카이커
1994년 인 생 제 47 회 칸 국제영화제 심사위원 특별대상 장 예 모
1999년 책상서랍속의 제 56 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금 사 자 상 장 예 모
동화
2000년 집으로 가는길 제 50 외 베를린 국제영화제 은 곰 상 장 예 모
90년대 말 이후, 제6세대 감독들은 보통사람,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일상적인 인생 및 흔히 볼 수 있는 희노애락과 생로병사에 대한 묘사에 중점을 두었다. 그들은 영화 언어를 사용하여 시장경제의 물결 속에서 살아가는 보통사람들의 생존상태와 생존체험을 표현해 내었다.(목욕, 귀성 등등 )
참고문헌 : 루홍스·슈샤오밍 지음/김정욱 옮김, 《차이나 시네마 : 중국 영화 백년의 역사》, 동 인, 2002
최환 편저, 《중국 영화의 이해와 감상》, 영남대학교출판부 , 2005
  • 가격13,8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10.17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