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첫 번째가 창조성이다. 얼마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지 얼마나 독창적인지가 사업 추진과정에서 얼마나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지를 파악하는 기본 척도이다. 이는 다른 사업과 경쟁성을 갖는 중요한 요소이고 사회적 기업가 뿐 아니라 성공하기 위한 여러 기업가들도 필요한 덕목이다. 두 번째는 기업자적 자질이다. 관리 능력도 중요하지만,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생각을 하고, 사회적 현실에 대한 통찰력을 사회적 기업가는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세 번째는 ‘어떻게;란 질문공세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가이다. 문제가 주어졌을 때 계속 어떻게 라는 질문을 해야 한다. 이런 자질을 가지고 있는 기업가들은 문제를 잘 해결해나가고 이를 오히려 즐기게 된다.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는 집요함이 중요하다. 넷째는 주변 환경과 현실을 잘 인식해야한다. 이론과 신념만으로는 사회문제에 적용을 할 수 없다.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은 쓸모없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는 아이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이다. 창조성과 기업자적 자질이 개인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이 것은 아이디어 그 자체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다. 사회적 기업에서 한명의 개인 역할을 따지다 보면 조직 문제가 소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 기업에서 창립자 개인이 빠져나갔을 때 나머지 인원이 이를 잘 계속 이어나갈 수 있을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런 사회적 기업가들의 조건을 보았을 때 개인의 능력이 얼마나 사회적 기업에 중요한 요소인지 알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과연 나도 사회적 기업가로서 자질이 있는지 위의 조건들을 나에게 적용을 해보았다. 사실 나도 미래의 기업가를 꿈꾸고 있는 입장으로 이러한 조건이 있다면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있다. 우선 얼마나 창조적이며 독특한지 내 자신을 살펴보자면 우선 똑같은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거나 남들이 하는 것들은 안하려는 경향이 있다. 만약 사업을 위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다면 아마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지 않을 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그리고 기업가는 그 기업을 얼마나 잘 관리하느냐가 중요하다. 관리능력은 기업가로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능력은 평소에 얼마나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계획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을 통해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관리능력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모든 것을 체계적이고 관리하는 능력은 아직까지 부족하다고 느낀다. 또한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평가를 해볼 때 나는 꽤 현실주의적이라고 생각한다. 너무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을 가지고 있지않고 현실적으로 생각해보고, 현실적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합격점이라고 생각한다. 총괄적으로 보자면 아직은 기업가로서 자질은 부족한 것 같다. 앞으로의 노력을 통해서 더욱 보완해가야 할 것 같다.
사회를 혁신하기 위한 경제활동이 바로 ‘보노보 경제학’이며, 이를 통해 ‘침팬지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를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로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가 그리고 제 4섹터들이 만들어 가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과연 나도 사회적 기업가로서 자질이 있는지 위의 조건들을 나에게 적용을 해보았다. 사실 나도 미래의 기업가를 꿈꾸고 있는 입장으로 이러한 조건이 있다면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있다. 우선 얼마나 창조적이며 독특한지 내 자신을 살펴보자면 우선 똑같은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거나 남들이 하는 것들은 안하려는 경향이 있다. 만약 사업을 위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다면 아마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지 않을 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그리고 기업가는 그 기업을 얼마나 잘 관리하느냐가 중요하다. 관리능력은 기업가로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능력은 평소에 얼마나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계획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을 통해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관리능력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모든 것을 체계적이고 관리하는 능력은 아직까지 부족하다고 느낀다. 또한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평가를 해볼 때 나는 꽤 현실주의적이라고 생각한다. 너무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을 가지고 있지않고 현실적으로 생각해보고, 현실적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합격점이라고 생각한다. 총괄적으로 보자면 아직은 기업가로서 자질은 부족한 것 같다. 앞으로의 노력을 통해서 더욱 보완해가야 할 것 같다.
사회를 혁신하기 위한 경제활동이 바로 ‘보노보 경제학’이며, 이를 통해 ‘침팬지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를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로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가 그리고 제 4섹터들이 만들어 가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프랑스 혁명의 지적 기원
과학혁명의 구조 요약및 독후감
과학혁명의 구조를 읽고...사회과학의 이해
독후감 - '유전자 혁명'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독후감
독후감 '나부터 교육혁명'
에릭 홉스봄의 혁명의 시대에 대한 독후감(A+서평)
면역혁명을 읽고, 독후감, 서평
독후감- 뇌를 바꾸는 운동 혁명, 웰니스(WELLNESS)
러시아 혁명 5부작을 통해 감상문 및 느낀점
[독후감] 3차 산업혁명 _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 저 - 제레미 리프킨, 산업혁명
(A+) [독후감] 면역혁명 _ 아보 토오루 저
‘마인드 혁명’을 읽고 느낀 [독후감] _ 게리게이블 지음
4차 산업혁명 이미 와 있는 미래 롤랜드버거 독후감 서평(경제전망 경제경영 4차산업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