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교육현상과 기능론, 갈등론, 해석학적 설명(A+자료임.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 교육현상과 기능론적 설명
1 . 기능주의 이론의 기본 관점
2 . 기능론적 교육사회학 이론의 전개
3 . 기능론적 교육관
4 . 기능론적 교육이론의 비판

II . 교육현상과 갈등론적 설명
1 . 학교교육에 대한 갈등론적 이론들
2 . 갈등론적 교육이론의 비판점

III . 교육현상과 해석학적 설명
1 . 해석적 이론
2 . 해석적 이론의 한계
3 . 교육에 대한 설명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 방식으로 평가되었으며, 큰 호응을 받았다. 이들은 앞선 이론들이 한결같이 거시적 관점을 내세우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미시적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전자가 사회구조를 중시하는 것과는 달리 후자는 행위자를 중시하였다. 행위자의 의지, 창의성, 행동양식이 구조적 조건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이론들은 한결같이 개인행위자를 관찰하고 그들과 대화하는 데 연구기간의 대부분을 할애한다.
2 . 해석적 이론의 한계
해석적 이론의 한계는 행위자의 중요성을 너무 강조하는 나머지 사회구조의 영향력을 경시하는 데 있다. 개인의 자유의지가 그의 행위를 전적으로 결정하는 것처럼 생각한다면 그것 또한 순진한 생각이다. 행위는 사회구조의 영향과 개인의 욕망의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3 . 교육에 대한 설명
교육을 행위자의 차원에서 관찰하면, 학교라는 이름의 교육기관에는 교사와 교장이 있고 학생이 있으며, 그들은 상호작용하면서 그 속에서 활동한다. 그러므로 학교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교장, 교사, 학생, 그리고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하여 세밀히 관찰하고, 동시에 그들의 이야기를 편견없이 귀기울여 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하그리브스(David Hargreaves)는 그의 저서「인간상호관계와 교육」에서 학교를 구성하는 주요 행위자들인 교사와 학생을 기술하고, 그들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모습과 내용을 그렸다. 하그리브스는 교사들을 자아개념에 따라 맹수조련사형, 연예인형, 낭만가형으로 나누고, 교사와 학생은 상호작용의 관계에 있으므로 교사의 학생에 대한 역할은 학생들의 특성과 행동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교사에 대한 기대를 가지며, 이상적 교사상을 형성한다. 학생들은 또 남교사와 여교사, 기혼교사와 미혼교사에 대하여 다르게 대하며, 학생의 성에 따라 남교사와 여교사를 대하는 방식이 달라진다고 보고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도 교육성취, 수업자세, 학생의 계층적 배경을 기준으로 삼아 학생들을 유형화한다.
교사와 학생은 각자의 자아개념과 상대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상호작용한다. 블랙리지와 헌트(Blackledge and hunt)는, 교사들은 교사로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그가 가르쳐야 할 학생들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활동하고, 학생들도 역시 학생으로서의 역할인식과 교사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활동한다고 하면서, 교사의 행위와 학생의 행위는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교실수업을 만들어간다고 하였다.
※미시적 접근에 의거한 연구들은 행위자의 상황규정을 강조함으로써,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은 바로 그 사회의 구성원인 것처럼 생각한다. 학급수업을 만드는 것은 교사와 학생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교사 및 학생의 상황규정은 그 학급이 한 부분으로 속해 있는 학교제도 나아가 사회구조 및 역사적 상황이라는, 사회역사적 맥락의 한계에 의하여 규정받는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왜 그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그렇게 행동하는가를 사회적 맥락에 비추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교교육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으려면 교사와 학생의 상황규정과 행위뿐만 아니라 그러한 상황규정과 행위의 선택을 ‘만드는’것이 무엇인가를 밝혀내야 한다. 즉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 참고문헌
1. 공석명, 김정호(2003). 교육사회학. MJ미디어
2. 김경식(2002).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3. 김동환양낙진 공저(2002). 교육사회학의 이해. 상조사
4. 김신일(2000).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5. 석태종(1996).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6. 이종각(1996). 교육사회학총론. 동문사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6.05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5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