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차 선별검사 도구
■ ADHD RS-Ⅳ
■ CASS
■ CDI
■ BDI
■ Beck 자살생각척도
■ SIQ, Reynolds
■ SAIC
■ BAI
■ 반항품행문제
■ 자아존중감 척도(SES)
■ 학교따돌림 척도
■ 역기능 충동성 척도(DIS)
■ ADHD RS-Ⅳ
■ CASS
■ CDI
■ BDI
■ Beck 자살생각척도
■ SIQ, Reynolds
■ SAIC
■ BAI
■ 반항품행문제
■ 자아존중감 척도(SES)
■ 학교따돌림 척도
■ 역기능 충동성 척도(DIS)
본문내용
.
5. 자신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남의 탓으로 돌린다.
6. 쉽게 기분이 상하거나 신경질을 낸다.
7. 쉽게 화내고 다른 사람을 원망한다.
8. 적개심에 차 있거나 앙심을 품고 있다.
각 정도의 합계
평가자 기록란 : ‘상당히’ 이상 문항 수:
자아존중감 척도 (Self Esteem Scale : SES)
척도내용
1) 개인의 자아존중감 즉, 자기존중 정도와 자아승인양상을 측정하는 검사
2) Rosenberg(1965)가 개발한 검사를 전병제(1974)가 번안함.
3) 긍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 등 모두 10문항으로 구성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해당사항을 4점 척도상에 표시.
채점방법
1) 긍정적 문항(1, 2, 4, 6, 7)에 대한 응답은 4점 척도
2) 부정적 문항(3, 5, 8, 9, 10)에 대한 응답은 역채점 실시
해석지침
1) 총점의 범위 : 10 40점
2)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함.
● 다음은 스스로에 대한 생각을 나타내는 문항들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가장 잘 나타내는 곳에 ○표시 하십시오.
문 항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로
그렇다
항상
그렇다
1.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1
2
3
4
3.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
2
3
4
4.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일을 잘 할 수가 있다.
1
2
3
4
5.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1
2
3
4
6.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1
2
3
4
7.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1
2
3
4
8. 나는 내 자신을 좀 더 존경할 수 있으면 좋겠다.
1
2
3
4
9.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
2
3
4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학교따돌림 척도
척도내용
학교따돌림을 개략적으로 평가해 보기 위한 도구로써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음.
실시방법
1) 부모 보고 혹은 자기보고형.
2) 각문항에 대해 4가지 정도로 평정
채점방법
1) 표시된 각 정도의 합계를 기록.
2) ‘상당히’, ‘아주 심함’에 표시된 수를 합하여 총합계를 구함.
해석지침
1) ‘상당히’ 또는 ‘아주 심함’에 표시된 총합계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함.
☞ 2개 이하 : 일시적 따돌림일 가능성 많음.
☞ 3개 7개 : 학교에서 따돌림 받을 가능성 있음.
☞ 8개 이상 : 따돌림 받을 가능성 매우 높음.
(전문가 상담 필요)
● 본 척도는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음의 각 문항을 읽으시고, 자신(혹은 여러분의 자녀)에게 해당되는 것에 ○표시 하십시오.
문 항
전혀
없음
약간
있음
상당히
있음
아주
심함
1. 나는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로부터 위협이나 협박을 당한 적이 있다.
1
2
3
4
2. 나는 다른 아이들로부터 이유 없이 신체적으로 구타를 당한 적이 있다.
1
2
3
4
3. 나는 학교에서 친한 친구가 없다.
1
2
3
4
4. 나는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1
2
3
4
5. 나는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로부터 강제로 돈을 빼앗긴 적이 있다.
1
2
3
4
6. 나는 학교에 가기가 두렵다.
1
2
3
4
7. 나를 도와주는 친구가 없다.
1
2
3
4
8. 나를 이유 없이 괴롭히는 친구가 있다.
1
2
3
4
9. 친구들이 나를 일부러 따돌리고 소외시키며, 완전히 무시한 적이 있다.
1
2
3
4
10. 나에 대해 나쁜 말을 하고 다녀서 다른 친구들이 나를 싫어하게 만든
친구가 있다.
1
2
3
4
11. 친구들이 내가 싫어하는 별명으로 나를 부르며 비웃은 적이 있다.
1
2
3
4
12. 내가 하기 싫어하는 일을 강제로 시키는 친구가 있다.
1
2
3
4
각 정도의 합계
평가자 기록란 : ‘상당히’ 이상 문항수 :
역기능적 충동성 척도 (Dysfunctional Impulsivity Scale : DIS)
척도내용
1) 역기능적 충동성, 즉 충동적으로 행동함으로써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성향을 측정.
2) Dickman이 제작한 기능적, 역기능적 충동성 척도의 하위척도임.
3) 무질서, 노력을 요하는 사건에 대한 관심 부족 등 총 12문항으로 구성.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각 문항에 대해 ‘예 / 아니오’로 응답.
채점방법
1) 2, 9, 10, 11번 : ‘아니오’ = 1점
나머지 문항 ‘예’ = 1점
2) 각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함.
해석지침
1) 총점의 범위 : 0 12점
2) 한국판 연구
- 고등학생 집단 : 남학생 평균점수 7.08점
여학생 평균점수 6.84점
3) 한국판 연구에서 충동성은 자살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음. 즉 자살생각을 많이 하고 역기능적 충동성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음.
● 이 질문지는 여러분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문장을 읽고 자신에게 해당되는 내용이면 "예"에, 자신에게 해당되지 않으면 "아니오"에 ○표시 하십시오.
문 항
예
아니오
1. 나는 생각 없이 머리에 떠오른 대로 말해버리는 적이 자주 있다.
2. 나는 문제를 천천히 조심스럽게 풀어나가길 좋아한다.
3. 나는 지킬 수 있는지를 생각하지 않고 약속을 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4. 나는 경제적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물건을 사는 경우가 자주 있다.
5. 나는 상황을 모든 각도에서 검토하지 않고 마음을 정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6. 때때로 나는 깊이 생각하지 않고 행동해 버린다.
7. 나는 때때로 생각 없이 행동함으로써 곤란을 겪는다.
8. 사전에 미리 조심스럽게 검토하지 않음으로 해서 계획을 망치는 경우가 많다.
9. 나는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해보기 전에 새로운 일을 착수하지 않는다.
10.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조심스럽게 장점과 단점을 검토한다.
11. 나는 신중한 추론을 잘한다.
12. 나는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5. 자신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남의 탓으로 돌린다.
6. 쉽게 기분이 상하거나 신경질을 낸다.
7. 쉽게 화내고 다른 사람을 원망한다.
8. 적개심에 차 있거나 앙심을 품고 있다.
각 정도의 합계
평가자 기록란 : ‘상당히’ 이상 문항 수:
자아존중감 척도 (Self Esteem Scale : SES)
척도내용
1) 개인의 자아존중감 즉, 자기존중 정도와 자아승인양상을 측정하는 검사
2) Rosenberg(1965)가 개발한 검사를 전병제(1974)가 번안함.
3) 긍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 등 모두 10문항으로 구성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해당사항을 4점 척도상에 표시.
채점방법
1) 긍정적 문항(1, 2, 4, 6, 7)에 대한 응답은 4점 척도
2) 부정적 문항(3, 5, 8, 9, 10)에 대한 응답은 역채점 실시
해석지침
1) 총점의 범위 : 10 40점
2)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함.
● 다음은 스스로에 대한 생각을 나타내는 문항들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가장 잘 나타내는 곳에 ○표시 하십시오.
문 항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로
그렇다
항상
그렇다
1.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1
2
3
4
3.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
2
3
4
4.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일을 잘 할 수가 있다.
1
2
3
4
5.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1
2
3
4
6.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1
2
3
4
7.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1
2
3
4
8. 나는 내 자신을 좀 더 존경할 수 있으면 좋겠다.
1
2
3
4
9.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
2
3
4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학교따돌림 척도
척도내용
학교따돌림을 개략적으로 평가해 보기 위한 도구로써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음.
실시방법
1) 부모 보고 혹은 자기보고형.
2) 각문항에 대해 4가지 정도로 평정
채점방법
1) 표시된 각 정도의 합계를 기록.
2) ‘상당히’, ‘아주 심함’에 표시된 수를 합하여 총합계를 구함.
해석지침
1) ‘상당히’ 또는 ‘아주 심함’에 표시된 총합계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함.
☞ 2개 이하 : 일시적 따돌림일 가능성 많음.
☞ 3개 7개 : 학교에서 따돌림 받을 가능성 있음.
☞ 8개 이상 : 따돌림 받을 가능성 매우 높음.
(전문가 상담 필요)
● 본 척도는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음의 각 문항을 읽으시고, 자신(혹은 여러분의 자녀)에게 해당되는 것에 ○표시 하십시오.
문 항
전혀
없음
약간
있음
상당히
있음
아주
심함
1. 나는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로부터 위협이나 협박을 당한 적이 있다.
1
2
3
4
2. 나는 다른 아이들로부터 이유 없이 신체적으로 구타를 당한 적이 있다.
1
2
3
4
3. 나는 학교에서 친한 친구가 없다.
1
2
3
4
4. 나는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1
2
3
4
5. 나는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로부터 강제로 돈을 빼앗긴 적이 있다.
1
2
3
4
6. 나는 학교에 가기가 두렵다.
1
2
3
4
7. 나를 도와주는 친구가 없다.
1
2
3
4
8. 나를 이유 없이 괴롭히는 친구가 있다.
1
2
3
4
9. 친구들이 나를 일부러 따돌리고 소외시키며, 완전히 무시한 적이 있다.
1
2
3
4
10. 나에 대해 나쁜 말을 하고 다녀서 다른 친구들이 나를 싫어하게 만든
친구가 있다.
1
2
3
4
11. 친구들이 내가 싫어하는 별명으로 나를 부르며 비웃은 적이 있다.
1
2
3
4
12. 내가 하기 싫어하는 일을 강제로 시키는 친구가 있다.
1
2
3
4
각 정도의 합계
평가자 기록란 : ‘상당히’ 이상 문항수 :
역기능적 충동성 척도 (Dysfunctional Impulsivity Scale : DIS)
척도내용
1) 역기능적 충동성, 즉 충동적으로 행동함으로써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성향을 측정.
2) Dickman이 제작한 기능적, 역기능적 충동성 척도의 하위척도임.
3) 무질서, 노력을 요하는 사건에 대한 관심 부족 등 총 12문항으로 구성.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각 문항에 대해 ‘예 / 아니오’로 응답.
채점방법
1) 2, 9, 10, 11번 : ‘아니오’ = 1점
나머지 문항 ‘예’ = 1점
2) 각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함.
해석지침
1) 총점의 범위 : 0 12점
2) 한국판 연구
- 고등학생 집단 : 남학생 평균점수 7.08점
여학생 평균점수 6.84점
3) 한국판 연구에서 충동성은 자살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음. 즉 자살생각을 많이 하고 역기능적 충동성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음.
● 이 질문지는 여러분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문장을 읽고 자신에게 해당되는 내용이면 "예"에, 자신에게 해당되지 않으면 "아니오"에 ○표시 하십시오.
문 항
예
아니오
1. 나는 생각 없이 머리에 떠오른 대로 말해버리는 적이 자주 있다.
2. 나는 문제를 천천히 조심스럽게 풀어나가길 좋아한다.
3. 나는 지킬 수 있는지를 생각하지 않고 약속을 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4. 나는 경제적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물건을 사는 경우가 자주 있다.
5. 나는 상황을 모든 각도에서 검토하지 않고 마음을 정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6. 때때로 나는 깊이 생각하지 않고 행동해 버린다.
7. 나는 때때로 생각 없이 행동함으로써 곤란을 겪는다.
8. 사전에 미리 조심스럽게 검토하지 않음으로 해서 계획을 망치는 경우가 많다.
9. 나는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해보기 전에 새로운 일을 착수하지 않는다.
10.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조심스럽게 장점과 단점을 검토한다.
11. 나는 신중한 추론을 잘한다.
12. 나는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