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학습자의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발달의 개념
1) 발달의 개념
2) 발달에 대한 주요 논쟁

2. 발달연구의 최근 동향
1) 행동생물학(ethology) : Lorenz, Tinbergen, Bowlby
2) 생태이론(ecological theory) : Bronfenbrenner
3) 사회문화이론(sociocultural theory) : Vygotsky

3.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1) 인지적 발달
2) 비인지적 발달

본문내용

단계
① 운동신경적 규칙(0~2/3세) : 일관성 있는 도덕적 인식을 끌어낼 수 없다
② 타율성과 도덕적 절대주의(3~6/7세) : 규칙은 하느님이나 부모와 같은 절대자가 만들어 놓은 것이며 누구나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믿는다
③ 자율성과 도덕적 상대주의(7~11세) : 규칙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변화시킬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④ 자율성과 도덕적 상대주의에 대한 형식적 추론(11세 이상) : 아동의 도덕적 판단에 있어서 행위의 동기나 의도를 추론하는 능력
(4) Kohlberg 도덕성발달
도덕성의 보편화 가능성 제기함
도덕적 딜레마를 통하여 인간의 도덕성 발달 연구. 3수준 6단계로 구분
발달단계
(1) 전 인습적 도덕수준(pre-conventional morality 2~6세) : 자기중심적
① 1단계 : 벌과 복종지향.
-> 외부에서 주어지는 신체적, 물리적 힘이나 복종이 도덕판단의 기준이 됨
② 2단계 : 개인적 욕구충족 지향
-> 자신이나 타인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면 도덕적이다
(2) 인습적 도덕수준(conventional morality 6~12세): 사회중심적
③ 3단계 : 선 지향(조화로운 대인관계지향)
-> 타인에게 칭찬받기 위해 선을 지향. 잘잘못을 가리는데 정서적 측면 고려
(예) 너무~해서 용서하자는 입장이다
④ 4단계 : 법과 질서유지 지향
-> 도덕적 딜레마를 법체계를 통해 해결하고자 함. 법 앞에 평등하다는 주장
(3) 후인습적 도덕수준(post-conventional morality 12~20세): 사회정의와 보편적 도덕원리
⑤ 5단계 : 사회계약정신지향
-> 기존의 법체계는 사회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합리적 과정을 거쳐서 개정될 수도 있다는 관점( 즉 도덕적 선의 판단기준은 공리주의)
⑥ 6단계 : 보편적 도덕원리 지향
-> 개인의 양심에 따른 행위는 정의와 인간의 존엄성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성문화된 법체계를 능가하는 원칙을 따르게 된다
※ 콜버그는 모든 사람이 보편적 도덕원리를 수립하기는 어렵고 또한 6단계의 사고에 도달한 사람도 드물다고 평가
(5) Gilligan 도덕성발달
콜버그의 도덕성이 남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을 들어 성별에 따른 도덕성 특징에 차이를 제기
남자는 주로 규칙, 개인의 권리와 같은 정의에 근거해 도덕적 결정을 내린다
여성은 타인에 대한 책임과 타인과의 관계성, 보살핌을 강조하는 도덕성을 지닌다

키워드

  • 가격5,4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1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