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실험
실험 방법
결론
논의
참고문헌
실험
실험 방법
결론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단기 기억 용량의 개인차가 기억 인출 단계가 아닌 정보 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효율적 정보 처리 능력의 차이에서 기인함을 명확히 하는 것은 보다 넓은 함의를 갖게 된다. 그동안 인간이 얼마나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결정적 요소가 타고난 지능인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어 왔다. 기억 인출 단계가 결정적 요인이라면 지능의 영향이 없다고 단정 지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자극과 불필요한 자극을 구분하고 선별적 주의를 집중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능력은 지능이 결정적 요인이라고 보기 힘들다. 즉 인간의 높은 수행 수준은 그가 타고난 선천적 능력인 지능에서 비롯된다는 시대적으로 지배적인 의견을 반증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차폐 자극 실험은 다른 사건에 의해 쉽게 침범당할 수 있는 인간의 주의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식의 영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주의)을 경험적 증거를 통해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위의 실험 패턴들은 지능과는 별개인 처리의 효율성, 침범당하기 쉬운 주의의 영속성을 유지하려는 인간의 노력이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성에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제시된 연구에서는 차폐의 방해효과와 정보 처리자의 효율성을 양적으로 측정하고 있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차폐 자극이 기억-감각 표상 간 비교과정과 응고화 과정을 얼마만큼 방해하고, 그에 대해 피험자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처리를 하는가에 대한 양적 측정이 가능하다면, 도출되는 결과가 더욱 신뢰성을 얻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현주석 (2008b). 차폐 자극이 시각 작업 기억 비교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 험. 20(3), 167-178.
현주석 (2008a). 시각적 탐색에서 표적에 의해 유발된 N2pc 성분의 특성 및 측정. 한국 심 리학회지: 실험, 20(4), 247-263.
Vogel, E. K. & Machizawa, M. G. Neural activity predi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visual working memory capacity. Nature 428, 748-751
Vogel, E. K., McCollough, A. W. &Machizawa, M. G. Neural measures reveal indivisual differences in controlling access to working memory. Nature 438, 500-503
Luck, S. J., & Vogel, E. K. (1997). The capacity if visual working memory for features and conjunctions. Nature, 390, 279-281.
Todd J. J. & Rene Marois. Capacity limit of visual short-term memory in human posterior parietal cortex. Nature 428, 751-754
그러나 제시된 연구에서는 차폐의 방해효과와 정보 처리자의 효율성을 양적으로 측정하고 있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차폐 자극이 기억-감각 표상 간 비교과정과 응고화 과정을 얼마만큼 방해하고, 그에 대해 피험자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처리를 하는가에 대한 양적 측정이 가능하다면, 도출되는 결과가 더욱 신뢰성을 얻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현주석 (2008b). 차폐 자극이 시각 작업 기억 비교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 험. 20(3), 167-178.
현주석 (2008a). 시각적 탐색에서 표적에 의해 유발된 N2pc 성분의 특성 및 측정. 한국 심 리학회지: 실험, 20(4), 247-263.
Vogel, E. K. & Machizawa, M. G. Neural activity predi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visual working memory capacity. Nature 428, 748-751
Vogel, E. K., McCollough, A. W. &Machizawa, M. G. Neural measures reveal indivisual differences in controlling access to working memory. Nature 438, 500-503
Luck, S. J., & Vogel, E. K. (1997). The capacity if visual working memory for features and conjunctions. Nature, 390, 279-281.
Todd J. J. & Rene Marois. Capacity limit of visual short-term memory in human posterior parietal cortex. Nature 428, 751-754
추천자료
비교정치 정치이론 연구
[교육심리] 학습의 인지이론적 관점 PPT자료
[학습장애][학습장애아][학습장애아동][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아 치료]학습장애의 개념, ...
[교육학] 영유아 발달이론과 영유아 교수 학습방법
지능 개념의 확장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
학습이론에 관하여
(A+, 유아인지발달) 애착과 심리, 사회, 인지발달과의 관련성
애착과 심리(A+, 유아인지발달) 애착과 심리, 사회, 인지발달과의 관련성
인터넷 사이버공간, 인터넷 사이버문화, 인터넷 사이버쇼핑, 사이버쇼핑몰, 인터넷 사이버폭...
[기업][광고][기업 인터넷광고][기업 이미지광고][기업 스포츠광고][기업 브랜드광고]기업의 ...
학습이론에 대한ppt
아동발달이론 비교 보고서
인지주의 이론
[아동복지론] 아동발달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비교하고, 각 발달이론이 아동양육에 대해 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