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행 등의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상환되지 않으므로 불상환사채라고도 한다.
종합자산관리계좌 [ CMA ; Cash Management Account ]
어음관리계좌 또는 종합자산관리계정이라고도 하며, 고객이 예치한 자금을 LP나 양도성예금증서(CD)·국공채 등의 채권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금융상품이다.
주식워런트증권 [ Equity-Linked Warrant ; ELW ]
특정 대상물(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한 미래의 시기(만기일 혹은 행사기간)에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거나(콜) 팔 수 있는(풋) 권리를 갖는 유가증권.
액면금액 [額面金額, par value]
주권(株券)이나 공채 ·회사채의 권면(券面)에 기재된 금액.
만기 [ maturity, 滿期 ]
원금이 상환되는 시점을 말한다. 만기는 채권의 최종현금지급 시점만을 나타내며 원금의 상환시점 이전에 발생하는 현금지급의 양과 지급 시점을 무시하고 있다.
GNP [ gross national product ]
국민총생산. 한 나라의 거주자가 일정 기간 동안에 생산한 모든 재화와 용역을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생산과정에서 마손된 고정자산의 소모분(고정자본소모충당금)을 포함한 개념이며 시장가격으로 평가되었다는 점에서 ‘시장가격에 의한 국민총생산’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거주자의 생산이라 함은 한 나라의 거주자가 국내는 물론 국외에 제공한 생산요소에 기인하는 생산을 뜻하는 것으로 비거주자의 생산요소 공급에 의한 생산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생산의 의미는 총산출액에서 각 산업에 투입된 중간 생산물을 공제한 최종 생산물의 총액을 뜻한다.
GDP [ 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총생산. GNP(국민총생산)에서 해외로부터의 순소득을 뺀 것이며, 어느 한 나라의 순전한 국내경제활동의 지표로 쓰여진다. 한 나라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에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부가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합계한 것으로 각 부문의 생산활동은 물론 소비, 투자, 수출 등 수요동향까지도 살펴볼 수 있는 종합적인 지표이다.
그린GDP [ green GDP ]
경제활동이 천연자원의 소비나 환경파괴를 수반할 경우 그 가치만큼 빼고 산출한 GDP. 석유, 석탄, 가스 등 재생 불가능한 자원을 소비한 경우 그 손실을 계산에 집어넣고 삼림, 수자원, 신선한 공기 등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해 그 피해액을 ‘그린 GDP’의 산출에 반영시킨다.
종합자산관리계좌 [ CMA ; Cash Management Account ]
어음관리계좌 또는 종합자산관리계정이라고도 하며, 고객이 예치한 자금을 LP나 양도성예금증서(CD)·국공채 등의 채권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금융상품이다.
주식워런트증권 [ Equity-Linked Warrant ; ELW ]
특정 대상물(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한 미래의 시기(만기일 혹은 행사기간)에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거나(콜) 팔 수 있는(풋) 권리를 갖는 유가증권.
액면금액 [額面金額, par value]
주권(株券)이나 공채 ·회사채의 권면(券面)에 기재된 금액.
만기 [ maturity, 滿期 ]
원금이 상환되는 시점을 말한다. 만기는 채권의 최종현금지급 시점만을 나타내며 원금의 상환시점 이전에 발생하는 현금지급의 양과 지급 시점을 무시하고 있다.
GNP [ gross national product ]
국민총생산. 한 나라의 거주자가 일정 기간 동안에 생산한 모든 재화와 용역을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생산과정에서 마손된 고정자산의 소모분(고정자본소모충당금)을 포함한 개념이며 시장가격으로 평가되었다는 점에서 ‘시장가격에 의한 국민총생산’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거주자의 생산이라 함은 한 나라의 거주자가 국내는 물론 국외에 제공한 생산요소에 기인하는 생산을 뜻하는 것으로 비거주자의 생산요소 공급에 의한 생산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생산의 의미는 총산출액에서 각 산업에 투입된 중간 생산물을 공제한 최종 생산물의 총액을 뜻한다.
GDP [ 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총생산. GNP(국민총생산)에서 해외로부터의 순소득을 뺀 것이며, 어느 한 나라의 순전한 국내경제활동의 지표로 쓰여진다. 한 나라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에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부가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합계한 것으로 각 부문의 생산활동은 물론 소비, 투자, 수출 등 수요동향까지도 살펴볼 수 있는 종합적인 지표이다.
그린GDP [ green GDP ]
경제활동이 천연자원의 소비나 환경파괴를 수반할 경우 그 가치만큼 빼고 산출한 GDP. 석유, 석탄, 가스 등 재생 불가능한 자원을 소비한 경우 그 손실을 계산에 집어넣고 삼림, 수자원, 신선한 공기 등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해 그 피해액을 ‘그린 GDP’의 산출에 반영시킨다.
추천자료
금융산업에 대한 감독 연구
미국과 유럽의 금융위기 극복
공적자금의 경제적 분석 (국제경제 금융 은행)
(금융)극단치 분포와 시계열 변동성모형을 이용한 VaR추정
기업의 부실과 재무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
[IMF경제위기][외환위기][경제위기][금융위기]IMF 경제위기를 경험한 국가를 통해 본 우리나...
부동산증권화의 쟁점과 문제점 및 기대효과
외환위기의 원인과 과정 및 향후과제
동유럽 금융위기
화페금융론
[미국 금융위기의 향방과 국내외 금융시장 전망]
(A+) 미국 재정절벽(Fiscal Cliff) 타결과 그 영향에 대한 나의 생각
(A+) 미국 재정절벽(Fiscal Cliff) 타결과 그 영향에 대한 나의 생각
[공기업 민영화][공기업][민영화]공기업 민영화의 연혁, 공기업 민영화의 특징, 공기업 민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