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소마케팅의 개념
2. 장소마케팅의 등장배경
3. 장소마케팅의 구성요소
4. 장소마케팅의 전략 및 유형
5. 장소마케팅 사례
가. 해외사례
나. 국내사례
2. 장소마케팅의 등장배경
3. 장소마케팅의 구성요소
4. 장소마케팅의 전략 및 유형
5. 장소마케팅 사례
가. 해외사례
나. 국내사례
본문내용
및 주거단지개발,산업시설의 보전 및 재활용 등의 사업을 추진하여 1989년부터 10년간에 걸쳐 100여개의 프로젝트를 전개하여 나갔다.이 중 기존 산업시설을 보전 또는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예술의 장으로 탈바꿈시킨 사례들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 성공사례가 되고 있다. 과거의 공장들은 모두 커뮤니티 시설이나 박물관, 전시관, 음악당, 산업기념관 등 문화예술의 장,또는 공원 등으로 탈바꿈하였다. 지역에 번성했던 공장들의 갯수 만큼이나 그 변신체들의 종류와 갯수도 다양하고 무수하다. 과거 곳곳에서 각종 오염의 거점이었던 곳들이 이제는 지역 내 곳곳에서 재생과 희망의 숨결을 불어넣는 생명수로 새롭게 변신하고 있는 것이다.쉴 새 없이 철강과 석탄을 만들어내던 공장기계들은 이제 바뀐 시대에 걸맞게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문화예술 발전소로 변신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일례로 IBA의 사무실로 사용했던 건물도 과거 라인엘베라는 탄광회사의 소유로
탄광에 전기를 공급하던 변전소시설을 개조한 것이다. 라인엘베 과학단지도 같은 회사의 건물을 대체에너지 연구단지로 개조해 지역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루르 탄전지역은 평지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탄광시설이나 제철소 시설은 여러 곳에서 전망대 또는 훌륭한 사무실로 재활용되었다.일부 가스 저장고는 그 내부를 산업전시장으로,제철소 건물은 콘서트홀로,물탱크는 스킨스쿠버다이버 훈련장으로 재활용되었다.또한 곳곳에 폐석장으로 방치되어 있던 것을 활용하기 위해 높은 폐석장 꼭대기에 거대한 조형물을 설치해 일종의 설치미술작업을 하고 전망대로 이용하였으며 보트롭 지역에서는 경사진 폐석장 위에 돔을 설치해 실내스키장을 만들어 4계절 스키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심지어 보일러실과 창고를 개조해 주말마다 디스코장으로 활용하고 거대한 콘크리트 벽은 암벽타기 훈련장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치열한 문제의식과 발상의 전환이 주는 위력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처럼 독일은 산업유산에 대해 낭만적인 산업문화(RomanticIndus trialCulture)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면서 산업문화유산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 넣고 있다.
나. 국내사례
1)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
(1)서울시의 ‘청계천 복원’의 배경
청계천은 도심부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지난 50년간의 서울의 역사와 깊은 관련을 가진 지역이다.1950년대 중반 청계천은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나라의 가난하고 불결한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슬럼지역이었다. 당시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우리나라는 청계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계천을 복개(覆蓋)하였다.
1955년 광통교 상류 약 136m를 복개한 것을 시작으로 1958년부터 본격적으로복개되기 시작하여,1958년 5월∼1961년 12월 광교에서 청계6가 동대문운동장까지, 1965년∼1967년 청계 6가에서부터 청계8가 신설동까지,1970년∼1977년 청계 8가에서부터 신답철교까지 복개되었다. 또한 광교에서부터 마장동에 이르는 총 길이 5,6km,폭 16m의 청계고가도로도 건설되었다.
청계천 주변에 어지럽게 늘어선 판자집이 헐리고 대신 현대식 상가건물이 들어섰으며, 오수가 흐르던 하천은 깨끗하게 단장된 아스팔트 도로로 탈바꿈하였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서울의 가장 낙후된 지역이었던 청계천은 근대화ㆍ산업화를 상징하는 공간이 되었다.하지만 청계천 복개 이후 약 40여년이 지난 후 청계천은 서울에서 가장 복잡하고 시끄러운 곳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서울의 이미지를 해치는 주범으로 지적되었다.
거대한 콘크리트 덩어리인 청계고가도로는 근대화·산업화의 상징이 아니라 개발시대의 무지가 낳은 흉물로 인식되었으며 오래된 시멘트와 철근은 부식되어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기에 이르렀고 청계천 복개 내부의 메탄가스량은 도로변의 23배(42ppm),청계천 복개 내부의 일산화질소량은 도로변의 14배(0.897ppm)으로 대기오염도 심각한 수준이었으며, 청계천 복개 구조물의 보수비용이 매년 20억으로 경제적 비효율성 역시 도시발전의 걸림돌이 되었다.
(2)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의 내용
이에 서울시는 2003년 7월에서 2005년 9월에 걸쳐 지난 40년간 덮여있던 청계천 이 다시 열리는 '복개(復開)'를 실현하기 위해 청계천로(태평로 시점~동대문~신답 철교)및 삼일로와 그 주변 5.84km를 대상지역으로 삼아 도시기본계획, 도심부관리 기본계획 등 상위계획을 바탕으로 청계천 복원과 연계한 개발기본구상 수립하여 실행하였다.청계천 복원은 개발 위주의 도시에서 사람 중심의 도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도시로서 21세기 새로운 도시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려는 흐름과 함께 한다. 생태환경의 회복은 물론 역사유적을 복원하여 역사문화 공간을 회복하고 동시에 시민이 즐겨 찾을 수 있는 문화ㆍ휴식공간의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다. 청계천 복원은 시장은 물론 서울시 직원 모두가 나서서 1만 5000명이 넘는 청계천 주변의 노점상인을 설득해 어렵게 이뤄낸 결실이며, 자연과 사회가 균형과 조화 속에서 공존하는 미래지향적인 출발점이다.
청계천은 2년 3개월의 복원공사 끝에 준공되어 오픈한 후,2005년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조사한 10대 히트상품에서 1위를 기록하였으며,9개 연론사의 10대 뉴스에모두 포함되고 해외언론에서 소개되는 등 국내ㆍ외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
다.
2005년 11월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한 서울시정
개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서울시민은 청계천 복원 이후 새롭게 조성된 청계천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으며 방문목적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이 상(54.7%)이 관광차원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청계천이 서울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그리고 청계천 복원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 대부분(90.6%)만족한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청계천 복원사업이 서울의 역사ㆍ문화 환경을 잘 복원하였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또한 서울시 도심환경 이미지 개선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절대다수(92.9%)가 긍정적 의견을 나타내었다.
미국 뉴욕주의 용커시,인도 델리시처럼 “청계천 사례를 우리 도시에 도입하고 싶다”고 공식협력을 요청하는 도시도 있다.
일례로 IBA의 사무실로 사용했던 건물도 과거 라인엘베라는 탄광회사의 소유로
탄광에 전기를 공급하던 변전소시설을 개조한 것이다. 라인엘베 과학단지도 같은 회사의 건물을 대체에너지 연구단지로 개조해 지역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루르 탄전지역은 평지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탄광시설이나 제철소 시설은 여러 곳에서 전망대 또는 훌륭한 사무실로 재활용되었다.일부 가스 저장고는 그 내부를 산업전시장으로,제철소 건물은 콘서트홀로,물탱크는 스킨스쿠버다이버 훈련장으로 재활용되었다.또한 곳곳에 폐석장으로 방치되어 있던 것을 활용하기 위해 높은 폐석장 꼭대기에 거대한 조형물을 설치해 일종의 설치미술작업을 하고 전망대로 이용하였으며 보트롭 지역에서는 경사진 폐석장 위에 돔을 설치해 실내스키장을 만들어 4계절 스키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심지어 보일러실과 창고를 개조해 주말마다 디스코장으로 활용하고 거대한 콘크리트 벽은 암벽타기 훈련장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치열한 문제의식과 발상의 전환이 주는 위력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처럼 독일은 산업유산에 대해 낭만적인 산업문화(RomanticIndus trialCulture)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면서 산업문화유산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 넣고 있다.
나. 국내사례
1)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
(1)서울시의 ‘청계천 복원’의 배경
청계천은 도심부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지난 50년간의 서울의 역사와 깊은 관련을 가진 지역이다.1950년대 중반 청계천은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나라의 가난하고 불결한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슬럼지역이었다. 당시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우리나라는 청계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계천을 복개(覆蓋)하였다.
1955년 광통교 상류 약 136m를 복개한 것을 시작으로 1958년부터 본격적으로복개되기 시작하여,1958년 5월∼1961년 12월 광교에서 청계6가 동대문운동장까지, 1965년∼1967년 청계 6가에서부터 청계8가 신설동까지,1970년∼1977년 청계 8가에서부터 신답철교까지 복개되었다. 또한 광교에서부터 마장동에 이르는 총 길이 5,6km,폭 16m의 청계고가도로도 건설되었다.
청계천 주변에 어지럽게 늘어선 판자집이 헐리고 대신 현대식 상가건물이 들어섰으며, 오수가 흐르던 하천은 깨끗하게 단장된 아스팔트 도로로 탈바꿈하였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서울의 가장 낙후된 지역이었던 청계천은 근대화ㆍ산업화를 상징하는 공간이 되었다.하지만 청계천 복개 이후 약 40여년이 지난 후 청계천은 서울에서 가장 복잡하고 시끄러운 곳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서울의 이미지를 해치는 주범으로 지적되었다.
거대한 콘크리트 덩어리인 청계고가도로는 근대화·산업화의 상징이 아니라 개발시대의 무지가 낳은 흉물로 인식되었으며 오래된 시멘트와 철근은 부식되어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기에 이르렀고 청계천 복개 내부의 메탄가스량은 도로변의 23배(42ppm),청계천 복개 내부의 일산화질소량은 도로변의 14배(0.897ppm)으로 대기오염도 심각한 수준이었으며, 청계천 복개 구조물의 보수비용이 매년 20억으로 경제적 비효율성 역시 도시발전의 걸림돌이 되었다.
(2)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의 내용
이에 서울시는 2003년 7월에서 2005년 9월에 걸쳐 지난 40년간 덮여있던 청계천 이 다시 열리는 '복개(復開)'를 실현하기 위해 청계천로(태평로 시점~동대문~신답 철교)및 삼일로와 그 주변 5.84km를 대상지역으로 삼아 도시기본계획, 도심부관리 기본계획 등 상위계획을 바탕으로 청계천 복원과 연계한 개발기본구상 수립하여 실행하였다.청계천 복원은 개발 위주의 도시에서 사람 중심의 도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도시로서 21세기 새로운 도시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려는 흐름과 함께 한다. 생태환경의 회복은 물론 역사유적을 복원하여 역사문화 공간을 회복하고 동시에 시민이 즐겨 찾을 수 있는 문화ㆍ휴식공간의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다. 청계천 복원은 시장은 물론 서울시 직원 모두가 나서서 1만 5000명이 넘는 청계천 주변의 노점상인을 설득해 어렵게 이뤄낸 결실이며, 자연과 사회가 균형과 조화 속에서 공존하는 미래지향적인 출발점이다.
청계천은 2년 3개월의 복원공사 끝에 준공되어 오픈한 후,2005년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조사한 10대 히트상품에서 1위를 기록하였으며,9개 연론사의 10대 뉴스에모두 포함되고 해외언론에서 소개되는 등 국내ㆍ외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
다.
2005년 11월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한 서울시정
개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서울시민은 청계천 복원 이후 새롭게 조성된 청계천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으며 방문목적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이 상(54.7%)이 관광차원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청계천이 서울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그리고 청계천 복원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 대부분(90.6%)만족한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청계천 복원사업이 서울의 역사ㆍ문화 환경을 잘 복원하였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또한 서울시 도심환경 이미지 개선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절대다수(92.9%)가 긍정적 의견을 나타내었다.
미국 뉴욕주의 용커시,인도 델리시처럼 “청계천 사례를 우리 도시에 도입하고 싶다”고 공식협력을 요청하는 도시도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모바일 마케팅 (마케팅원론 마케팅전략 이동통신 전자결제 전자화폐 it
마케팅의 정의와 마케팅믹스
사례를 통해본 인터넷 비즈니스와 인터넷 마케팅
인터넷마케팅
네트워크마케팅 산업의 발전방안
패밀리 레스토랑 서비스마케팅 비교 분석(베니건스와 TGI)
[홍보론]PR과 광고 및 마케팅의 공통점과 차이점
[경제,경영] 호텔기업의 연회장과 내부마케팅의 조사
소셜네트워크마케팅과사례
공연예술 마케팅의 정의와 종류
도시마케팅-Hi Seoul의 마케팅전략,도시마케팅해외사례-뉴욕,런던
KB국민은행 기업경영분석과 국민은행 마케팅 SWOT,7P,3C전략 분석및 국민은행 새로운 전략제...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경영학개론)전기자동차 휴대폰 등 각종 제품이나 서비스 중 하나를 골라서 효과적인 마케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