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 및 증기
2. 보일러의 종류 및 특성
3.보일러부속품 및 부속장치
4. 보일러 급수 처리, 보존, 부식
5. 연료 및 연소 장치
6. 보일러의 자동 제어
7. 보일러 실무
제 2 장
1. 난방 부하
2. 난방 방식
4. 증기 보일러 설치 시공 기준
5. 온수 보일러 설치 시공 기준
6. 보일러 취급 및 안전 관리
7. 보일러의 용량 계산
2. 보일러의 종류 및 특성
3.보일러부속품 및 부속장치
4. 보일러 급수 처리, 보존, 부식
5. 연료 및 연소 장치
6. 보일러의 자동 제어
7. 보일러 실무
제 2 장
1. 난방 부하
2. 난방 방식
4. 증기 보일러 설치 시공 기준
5. 온수 보일러 설치 시공 기준
6. 보일러 취급 및 안전 관리
7. 보일러의 용량 계산
본문내용
는 처음의 열가스를 부연도로 보낸 후 중기 발생 주연도로 보내서 저온 부식이나 전열면의 오손을 막아 줌
[2] 증기 압력이 오르기 시작할 때
① 급격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 상태를 잘 조절(증기 안전 밸브는 증기 압력이 75% 이상이 될때 분출 시험)
② 압력계를 바라보면서 압력계 지침의 움직임을관찰
③기름 탱크나 서비스 탱크에 기름을 가열하기
위하여 증기를 보냄
④맨홀 뚜껑 부분에서 증기의 누설이 없는지 살펴봄
(2) 연소 관리
[1] 역화의 원인
① 기름의 인화점이 낮을 때
② 착화 시간이 너무 늦을 때
③ 유압이 과대할 때
④ 1차 공기의 압력이 부족할 때
⑤ 프리퍼지가 부족할 때
⑥ 기름 내에 물이나 협잡물이 함유되어 있을 때
⑦ 배관 기름 속에 공기가 누입될 때
⑧흡입 통풍이 너무 약할 때
⑨공기보다 연료를 먼저 공급하였을 때
[2]화염 중 불꽃이 튀는 원인
① 기름 온도가 낮을 때
② 연소실 온도가 낮을 때
③ 분무용 공기압이 낮을 때
④ 중유에 아스팔트 성분이 많을 때
⑤ 버너 타일이 맞지 않을 때
⑥ 노즐의 분무 특성이 불량할 때
⑦ 버너 속에 카본이 부착하였을 때
[3] 연소 불안정의 원인
① 기름 점도가 과대할 때
②펌프의 흡입량이 부족할 때
③ 기름 온도가 너무 높을 때
④기름 내에 수분이 포함될 때
⑤연료의 공급 상태가 불안정할 때
⑥기름 배관 내에 공기가 누입될 때
⑦1차 공기의 압송량이 과대할 때
[4]점화 불량의 원인
①버너 노즐이 막혔을 때
②1차 공기량이 과대할 때
③착화 버너와 주버너와의 타이밍이 맞지 않을 때
④1 차 공기의 압력이 너무 높을 때
⑤착화 버너의 불꽃이 불량할 때
⑥기름이 분사되지 않을 때
⑦유압이 낮을 때
⑧기름 배관에 물 , 슬러지가 들어갈 때
⑨기름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5]버너에서 오일이 분무되지 않는 원인
① 버너 노즐이 막혔을 때
② 기름이 떨어졌을 때
③분연 펌프가 작동되지 않을 때
④ 화염 검출기의 작동이 불량할 때
⑤유압이 너무 낮을 때
⑥급유관이 이물질로 막혀 있을 때
[6] 버너의 노즐이 막히는 원인
① 노즐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
② 기름내에 협잡물이 많을 때
③ 출구에 카본이 축적되었을 때
④ 소화 시에 노즐에 기름이 남아 있을 때
[7] 버너 화구에 카본이 축적되는 원인
① 기름의 점도가 과대할 때
② 기름의 무화가 불량 할 때
③ 유압이 과대할 때
④ 기름 온도가 너무 높을 때
⑤ 기름 분무가 불균일할 때
⑥ 1차 공기의 공급량이 부족할 때
⑦ 기름 내에 카본량이 과대할 때
⑧ 급유량이 불안정할 때
⑨ 노즐과 버너 타일의 센터링이 불안정할 때
⑩ 소화 후 기름이 누설될 때
[8] 연료 소비 과대의 원인
① 기름의 발열량이 낮을 때
② 기름 내에 물이나 협잡물이 포함될 때
③ 연소용 공기가 부족하거나 또는 과대할 때
④ 기름의 예열 온도가 낮을 때
[9] 공기의 공급 불량의 원인
① 송풍기의 능력이 부족할 때
② 윈드 박스가 폐쇄되었을 때
③공기 댐퍼가 불량할 때
④ 덕트의 저항이 증가할 때
⑤ 송풍기의 회전수가 부족할 때
(3) 보일러의 운전 정지 후 처리
[1] 운전 정지 후 처리 순서
① 증기 사용처와 연락하여 작업 종료시까지 필요로 하는 증기를 남길 것
② 벽돌 쌓음 보일러에는 노벽의 여열로 압력 상승의 우려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주증기 밸브를 닫을 것
③ 보일러 내압력을 급강하시키거나 노력을 급냉
하지 말 것
④ 관수의 수위는 상용 수위보다 약간 높게 급냉
하지 말 것
⑤ 다른 보일러와 증기관이 연락되었을 때 그 연락 밸브를 차단 할 것
[2] 매화할 경우의 처리
① 화격자 위에 잘 타고 있는 불씨를 모아 그 위에 젖은 석탄으로 덮어 굳힘
② 매화 할 경우 상용 수위보다 100mm 정도 높게
급수
③ 작업이 끝나면 댐퍼와 재받이 문을 닫음
(4) 보일러의 안전 관리
[1]부식의 분류
①점식
용존 산소, 탄산 가스의 작용에 의한 점상의 부식
② 내 .외면에 얼룩 모양으로 생기는 국부 부식
③ 전면 부식
어떤 범위에 걸쳐 전면적으로 일어나는 부식으로, 내면에는 화염이 직접 국부적으로 접촉시 수 중의 염화마그네슘이 분해하여 수산와 마그네슘과 염산으로 되어 일어나며 , 외면에는 황분에 의한 저온 부식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음
④ 그루빙
가늘고 긴 도랑 모양을 띤 선 모양의 부식으로, 기계적 응력이나 열응력이 뒤로 하여 일어남
⑤ 저온 부식
연료 중의 황분이 연소해서 아황산 가스가 되고, 다시 산화 하여 무수황산이 됨과 동시에 수분과 화합하여 황산을 생성시킴으로써, 가스 온도가 150℃로 되면 저온 전열면에 부착하여 부식시키는 곳
⑥ 고운 부식
회분에 포함되어 있는 바나듐이 연소에 의하여 5산화바나듐으로 되어, 고운 전열면에 융착함과 동시에 그 부분을 수식시키는 현상
[2] 래미네이샨과 블리스터
①관이나 살두께에 2매의 층을 이루고 있는 재료 상태를 래미네이션
②래미네이션 결함이 있는 재료를 사용할 때 불꽃이 닿는 쪽이 부풀어 오르거나 표면이 갈라지는 소손 현상을 블리스터
7. 보일러의 용량 계산
[1]열 효 율
η:열효율(%)
CP:물의 평균 비열1KCAL/KG℃
t1:평균 입구 온도 (℃)
t2:평균 출구 온도(℃)
Gw:온수 토출량(kg/h)
Gu:연소 소비량(Kg/h)
HL:저위 발열량
[2]구멍탄 온수 보일러
(보일러 출력×24×100)÷(연소통 수×통당 연탄 사용 개수×연탄의 무게×탄의 발열량)
(연소통×통당 연탄 사용 개수×연탄 무게×탄의 발열량×효율)÷(24)
[4] 온수 보일러 난방 출력
Qω=Gh×cp(tω2-tω1)
Qω:난방 출력(kcal/h)
Gh:물의 평균 비열
tω1:급수 온도
tω2:난방 출구 온도
[5] 온수 보일러 연속 급탕 출력
H=Gh×cp(tω2-ω1)
H=:연속 급탕 출력 (kcal/h)
cp:물의 평균 비열 Gh:급탕량 또는 급수량
tω2:급탕 출구 온도 tω1:급수 온도
[6]밀폐식 팽창 탱크 용량 계산
온수 팽창량
1 _ 1
1+0.1×최고부 배관까지의 높이 절대압
[7]자연 순환 수두 계산
자연 순환 수두 =1000 ×(보일러 가동 전의 물의 밀도-보일러 운전 중의 물의 밀도)×배관의 수직 높이
[8] 온수 순환량 계산
[2] 증기 압력이 오르기 시작할 때
① 급격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 상태를 잘 조절(증기 안전 밸브는 증기 압력이 75% 이상이 될때 분출 시험)
② 압력계를 바라보면서 압력계 지침의 움직임을관찰
③기름 탱크나 서비스 탱크에 기름을 가열하기
위하여 증기를 보냄
④맨홀 뚜껑 부분에서 증기의 누설이 없는지 살펴봄
(2) 연소 관리
[1] 역화의 원인
① 기름의 인화점이 낮을 때
② 착화 시간이 너무 늦을 때
③ 유압이 과대할 때
④ 1차 공기의 압력이 부족할 때
⑤ 프리퍼지가 부족할 때
⑥ 기름 내에 물이나 협잡물이 함유되어 있을 때
⑦ 배관 기름 속에 공기가 누입될 때
⑧흡입 통풍이 너무 약할 때
⑨공기보다 연료를 먼저 공급하였을 때
[2]화염 중 불꽃이 튀는 원인
① 기름 온도가 낮을 때
② 연소실 온도가 낮을 때
③ 분무용 공기압이 낮을 때
④ 중유에 아스팔트 성분이 많을 때
⑤ 버너 타일이 맞지 않을 때
⑥ 노즐의 분무 특성이 불량할 때
⑦ 버너 속에 카본이 부착하였을 때
[3] 연소 불안정의 원인
① 기름 점도가 과대할 때
②펌프의 흡입량이 부족할 때
③ 기름 온도가 너무 높을 때
④기름 내에 수분이 포함될 때
⑤연료의 공급 상태가 불안정할 때
⑥기름 배관 내에 공기가 누입될 때
⑦1차 공기의 압송량이 과대할 때
[4]점화 불량의 원인
①버너 노즐이 막혔을 때
②1차 공기량이 과대할 때
③착화 버너와 주버너와의 타이밍이 맞지 않을 때
④1 차 공기의 압력이 너무 높을 때
⑤착화 버너의 불꽃이 불량할 때
⑥기름이 분사되지 않을 때
⑦유압이 낮을 때
⑧기름 배관에 물 , 슬러지가 들어갈 때
⑨기름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5]버너에서 오일이 분무되지 않는 원인
① 버너 노즐이 막혔을 때
② 기름이 떨어졌을 때
③분연 펌프가 작동되지 않을 때
④ 화염 검출기의 작동이 불량할 때
⑤유압이 너무 낮을 때
⑥급유관이 이물질로 막혀 있을 때
[6] 버너의 노즐이 막히는 원인
① 노즐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
② 기름내에 협잡물이 많을 때
③ 출구에 카본이 축적되었을 때
④ 소화 시에 노즐에 기름이 남아 있을 때
[7] 버너 화구에 카본이 축적되는 원인
① 기름의 점도가 과대할 때
② 기름의 무화가 불량 할 때
③ 유압이 과대할 때
④ 기름 온도가 너무 높을 때
⑤ 기름 분무가 불균일할 때
⑥ 1차 공기의 공급량이 부족할 때
⑦ 기름 내에 카본량이 과대할 때
⑧ 급유량이 불안정할 때
⑨ 노즐과 버너 타일의 센터링이 불안정할 때
⑩ 소화 후 기름이 누설될 때
[8] 연료 소비 과대의 원인
① 기름의 발열량이 낮을 때
② 기름 내에 물이나 협잡물이 포함될 때
③ 연소용 공기가 부족하거나 또는 과대할 때
④ 기름의 예열 온도가 낮을 때
[9] 공기의 공급 불량의 원인
① 송풍기의 능력이 부족할 때
② 윈드 박스가 폐쇄되었을 때
③공기 댐퍼가 불량할 때
④ 덕트의 저항이 증가할 때
⑤ 송풍기의 회전수가 부족할 때
(3) 보일러의 운전 정지 후 처리
[1] 운전 정지 후 처리 순서
① 증기 사용처와 연락하여 작업 종료시까지 필요로 하는 증기를 남길 것
② 벽돌 쌓음 보일러에는 노벽의 여열로 압력 상승의 우려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주증기 밸브를 닫을 것
③ 보일러 내압력을 급강하시키거나 노력을 급냉
하지 말 것
④ 관수의 수위는 상용 수위보다 약간 높게 급냉
하지 말 것
⑤ 다른 보일러와 증기관이 연락되었을 때 그 연락 밸브를 차단 할 것
[2] 매화할 경우의 처리
① 화격자 위에 잘 타고 있는 불씨를 모아 그 위에 젖은 석탄으로 덮어 굳힘
② 매화 할 경우 상용 수위보다 100mm 정도 높게
급수
③ 작업이 끝나면 댐퍼와 재받이 문을 닫음
(4) 보일러의 안전 관리
[1]부식의 분류
①점식
용존 산소, 탄산 가스의 작용에 의한 점상의 부식
② 내 .외면에 얼룩 모양으로 생기는 국부 부식
③ 전면 부식
어떤 범위에 걸쳐 전면적으로 일어나는 부식으로, 내면에는 화염이 직접 국부적으로 접촉시 수 중의 염화마그네슘이 분해하여 수산와 마그네슘과 염산으로 되어 일어나며 , 외면에는 황분에 의한 저온 부식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음
④ 그루빙
가늘고 긴 도랑 모양을 띤 선 모양의 부식으로, 기계적 응력이나 열응력이 뒤로 하여 일어남
⑤ 저온 부식
연료 중의 황분이 연소해서 아황산 가스가 되고, 다시 산화 하여 무수황산이 됨과 동시에 수분과 화합하여 황산을 생성시킴으로써, 가스 온도가 150℃로 되면 저온 전열면에 부착하여 부식시키는 곳
⑥ 고운 부식
회분에 포함되어 있는 바나듐이 연소에 의하여 5산화바나듐으로 되어, 고운 전열면에 융착함과 동시에 그 부분을 수식시키는 현상
[2] 래미네이샨과 블리스터
①관이나 살두께에 2매의 층을 이루고 있는 재료 상태를 래미네이션
②래미네이션 결함이 있는 재료를 사용할 때 불꽃이 닿는 쪽이 부풀어 오르거나 표면이 갈라지는 소손 현상을 블리스터
7. 보일러의 용량 계산
[1]열 효 율
η:열효율(%)
CP:물의 평균 비열1KCAL/KG℃
t1:평균 입구 온도 (℃)
t2:평균 출구 온도(℃)
Gw:온수 토출량(kg/h)
Gu:연소 소비량(Kg/h)
HL:저위 발열량
[2]구멍탄 온수 보일러
(보일러 출력×24×100)÷(연소통 수×통당 연탄 사용 개수×연탄의 무게×탄의 발열량)
(연소통×통당 연탄 사용 개수×연탄 무게×탄의 발열량×효율)÷(24)
[4] 온수 보일러 난방 출력
Qω=Gh×cp(tω2-tω1)
Qω:난방 출력(kcal/h)
Gh:물의 평균 비열
tω1:급수 온도
tω2:난방 출구 온도
[5] 온수 보일러 연속 급탕 출력
H=Gh×cp(tω2-ω1)
H=:연속 급탕 출력 (kcal/h)
cp:물의 평균 비열 Gh:급탕량 또는 급수량
tω2:급탕 출구 온도 tω1:급수 온도
[6]밀폐식 팽창 탱크 용량 계산
온수 팽창량
1 _ 1
1+0.1×최고부 배관까지의 높이 절대압
[7]자연 순환 수두 계산
자연 순환 수두 =1000 ×(보일러 가동 전의 물의 밀도-보일러 운전 중의 물의 밀도)×배관의 수직 높이
[8] 온수 순환량 계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