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작상의 개념
2. 동작상의 유형
2. 1. 진행상(進行相)
2. 2. 완료상(完了相)
2. 3. 예정상(豫定相)
2. 4. 동작상의 중복
3. 맺음말
2. 동작상의 유형
2. 1. 진행상(進行相)
2. 2. 완료상(完了相)
2. 3. 예정상(豫定相)
2. 4. 동작상의 중복
3. 맺음말
본문내용
작상을 표현하는 보조 동사 및 연결 어미
실현 방법
동작상
분류
보조 동사
완료상
‘-고 나다’, ‘-고 말다’, ‘-고 있다(계시다)’, ‘-어 가지다’, ‘-어 내다’, ‘-어 놓다’, ‘-어 두다’, ‘-어 먹다’, ‘-어 빠지다’, ‘-어 버리다’, ‘-어 있다(계시다)’, ‘-어 지다’, ‘-어 치우다’
진행상
‘-곤 하다’, ‘-어 가다/오다’, ‘-어 나가다’, ‘-고 있다(계시다)’
, ‘-어 대다’, ‘-는 중이다’, ‘-는 길이다’
예정상
‘-게 하다’, ‘-게 되다’
연결 어미
완료상
‘-고(서)’, ‘-다가’, ‘-다가~-다가’, ‘-어(서)’, ‘-어다가’, ‘-자마자’
진행상
‘-거니~-거니’, ‘-느라고’, ‘-(으)며~-(으)며’, ‘-(으)면서’, ‘-(으)락~-(으)락’
예정상
‘-고자’, ‘-도록’, ‘-(으)러’, ‘-(으)려고’
위와 같은 분류 중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어 지다’, ‘-는 중이다’, ‘-는 길이다’ 등이다. ‘-어 지다’는 현행 맞춤법으로는 보조 용언이지만 항상 앞 말에 붙여 쓴다. 그리고 ‘-는 중이다’, ‘-는 길이다’는 보조 동사 구성이 아니라 체언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가 결합한 형식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2007, 집문당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서”, 2010, 두산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월인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993, 탑출판사
실현 방법
동작상
분류
보조 동사
완료상
‘-고 나다’, ‘-고 말다’, ‘-고 있다(계시다)’, ‘-어 가지다’, ‘-어 내다’, ‘-어 놓다’, ‘-어 두다’, ‘-어 먹다’, ‘-어 빠지다’, ‘-어 버리다’, ‘-어 있다(계시다)’, ‘-어 지다’, ‘-어 치우다’
진행상
‘-곤 하다’, ‘-어 가다/오다’, ‘-어 나가다’, ‘-고 있다(계시다)’
, ‘-어 대다’, ‘-는 중이다’, ‘-는 길이다’
예정상
‘-게 하다’, ‘-게 되다’
연결 어미
완료상
‘-고(서)’, ‘-다가’, ‘-다가~-다가’, ‘-어(서)’, ‘-어다가’, ‘-자마자’
진행상
‘-거니~-거니’, ‘-느라고’, ‘-(으)며~-(으)며’, ‘-(으)면서’, ‘-(으)락~-(으)락’
예정상
‘-고자’, ‘-도록’, ‘-(으)러’, ‘-(으)려고’
위와 같은 분류 중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어 지다’, ‘-는 중이다’, ‘-는 길이다’ 등이다. ‘-어 지다’는 현행 맞춤법으로는 보조 용언이지만 항상 앞 말에 붙여 쓴다. 그리고 ‘-는 중이다’, ‘-는 길이다’는 보조 동사 구성이 아니라 체언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가 결합한 형식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2007, 집문당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서”, 2010, 두산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월인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993, 탑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