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1) API test
2) Vitek
2. Materials and methods
1) Materials
2) Methods
3. Result
1) API 20E
2) Vitek
4. Discussion
1) API 20E
2) Vitek
5. Reference
1) API test
2) Vitek
2. Materials and methods
1) Materials
2) Methods
3. Result
1) API 20E
2) Vitek
4. Discussion
1) API 20E
2) Vitek
5. Reference
본문내용
한 Vitek 실험 결과부터 보면 API 20E test와 동일한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그림 7의 Selected organism 부분을 보면 Salmonella group 으로 동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아래 부분의 “Analysis Organisms and Test to Seperate\"을 보면 예상되는 균종명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는 Vitek 만을 가지고는 균의 최종 동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Serological test(혈청학적인 실험)를 통해서 나머지 동정이 가능하다.
한편 그림 6을 통해서는 Sample E의 실험 결과의 확인이 가능하다. 최종 결과는 Staphylococcus aureus 로 동정되었으며 확률은 99%이다. 신뢰도(Confidence)를 보면 Excellent idenfication으로 기재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매우 잘 된 실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4. Discussion
API 20E test와 Vitek을 이용하여 식중독 세균 동정실험을 진행해 보았다. API 20E을 통해서 sample B가 salmonella group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Vitek 실험을 통해서 한 번 더 확인되었다. 다만, sample B의 최종동정을 위해서는 혈청학적인 테스트를 거쳐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ample E의 경우에는 Vitek 테스트만을 시행하였는데, 그 이유는 Gram positive 균인 E의 경우 Gram negative 균만을 대상으로 하는 API 20E 실험에 이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Sample E는 Vitek을 통해서 Staphylococcus aureus 로 동정되었다.
이처럼 2조의 실험 결과는 API 20E와 Vitek 의 실험 결과가 서로 일치하였으나, 일부 다른 조의 결과에서는 그렇지 아니한 경우도 있었다. 아래 사진을 통해 그러한 경우를 확인해 보자.
그렇다면 이들 동정실험의 원리는 어떻게 될까? Introduction에서 간단하게 소개하였으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1) API 20E
2) Vitek
* 고찰에 들어갈 내용
1. API의 원리
2. API 결과 판독 (identification, T-index가 의미하는 바)
3. Vitek의 원리 (간단하게)
* 전달 사항
3. API의 경우 실험 테크닉에 의해 결과가 다를 수 있고, 양성 음성 판정시에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결과가 달리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지난 번 TSI test와는 달리 이번에는 동정 결과가 확연히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A~C를 맞는 균으로 쓰는 것은 채점 기준에 넣지 않겠습니다.
4. 다만 고찰을 쓸 때 API 결과가 왜 다르게 나왔을 지 잘 생각해 보고 자신의 의견을 써주시기 바랍니다.
5. Reference
http://blog.naver.com/osw5708?Redirect=Log&logNo=140136860840
http://blog.naver.com/oise523?Redirect=Log&logNo=80003195556
한편 그림 6을 통해서는 Sample E의 실험 결과의 확인이 가능하다. 최종 결과는 Staphylococcus aureus 로 동정되었으며 확률은 99%이다. 신뢰도(Confidence)를 보면 Excellent idenfication으로 기재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매우 잘 된 실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4. Discussion
API 20E test와 Vitek을 이용하여 식중독 세균 동정실험을 진행해 보았다. API 20E을 통해서 sample B가 salmonella group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Vitek 실험을 통해서 한 번 더 확인되었다. 다만, sample B의 최종동정을 위해서는 혈청학적인 테스트를 거쳐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ample E의 경우에는 Vitek 테스트만을 시행하였는데, 그 이유는 Gram positive 균인 E의 경우 Gram negative 균만을 대상으로 하는 API 20E 실험에 이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Sample E는 Vitek을 통해서 Staphylococcus aureus 로 동정되었다.
이처럼 2조의 실험 결과는 API 20E와 Vitek 의 실험 결과가 서로 일치하였으나, 일부 다른 조의 결과에서는 그렇지 아니한 경우도 있었다. 아래 사진을 통해 그러한 경우를 확인해 보자.
그렇다면 이들 동정실험의 원리는 어떻게 될까? Introduction에서 간단하게 소개하였으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1) API 20E
2) Vitek
* 고찰에 들어갈 내용
1. API의 원리
2. API 결과 판독 (identification, T-index가 의미하는 바)
3. Vitek의 원리 (간단하게)
* 전달 사항
3. API의 경우 실험 테크닉에 의해 결과가 다를 수 있고, 양성 음성 판정시에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결과가 달리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지난 번 TSI test와는 달리 이번에는 동정 결과가 확연히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A~C를 맞는 균으로 쓰는 것은 채점 기준에 넣지 않겠습니다.
4. 다만 고찰을 쓸 때 API 결과가 왜 다르게 나왔을 지 잘 생각해 보고 자신의 의견을 써주시기 바랍니다.
5. Reference
http://blog.naver.com/osw5708?Redirect=Log&logNo=140136860840
http://blog.naver.com/oise523?Redirect=Log&logNo=80003195556
추천자료
전세계 식중독의 최근 현황
식중독의 원인과 증상에서 치료 예방까지
식중독에 관한 모든것
(단체급식관리)지난 5년간 발생한 단체급식소의 식중독 사고에 대한 주요 일간지 신문 기사 ...
[살모넬라균][식중독]살모넬라균의 의미, 살모넬라균의 특징,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감염원, ...
화학성 식중독의 분류와 발생경로 및 화학성 식중독의 원인물질에 관한 연구(식품위생관리B형)
[장출혈성대장균]유럽은 지금 슈퍼박테리아 공포 - 장출혈성대장균(EHEC) 감염 확산의 원인과...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출혈성대장균과 콜레라,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와 장염비브리오...
[영양관리론]식중독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4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식중독 종류에 대해서 각각의 중독명 증상 대처방안 1가지 사례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균과 예방법.pptx
[식중독 food poisoning] 식중독 개념, 식중독 분류, 식중독 발생 현황, 식중독 예방, 식중독...
[화학성 식중독] 화학적 식중독(식품첨가물, 유해금속물, 식기류, 포장, 농약에 의한 중독, ...
감염미생물노로바이러스와 식중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