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자료] 조명희-낙동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조명희의 생애

2. 조명희에 대한 논의

3. 조명희의 문학 세계

4.「낙동강」작품분석

Ⅲ. 나오며

본문내용

겠다는 로사의 다짐, 그리고 ‘돌아간 애인이 밟던 길을 자기도 한번 밟아보려는 뜻인가보다’라는 조명희의 진술이 그러하다. 박성운의 죽음은 그의 사회주의 운동에 대한 신념이 개인적 차원을 뛰어넘어 사회적 신념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좌절과 실패로 끝난 박성운의 체험을 극복 지양하고, 지주의 횡포와 착취가 없는 자유로운 농촌 사회를 이룩하겠다는 발전적 계승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소설의 결말은 새로운 출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정덕준, 「조명희」, 새미, 1999, pp. 61-62.
Ⅲ. 나오며
「낙동강」은 1927년 프로문학의 1차 방향 전환기에 발표되어 자연발생적문학과 제2기의 목적의식문학 사이에서 논란의 대상이었던 작품이다. 경향파 소설은 빈궁의 양상을 개인의 문제로 제기하였으나 「낙동강」은 민족적ㆍ계급적문제로 그것을 제기했다는 점, 또한 저항의 동기가 경향파는 맹목적인 데 비하여 이 작품은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졌고 조직적인 저항의 성격을 띠었다는 점을 보아 「낙동강」은 목적의식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낙동강」은 주인공 박성운의 귀향과 장례만을 현재로 처리하고 너무 많은 과거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박성운의 개인적 삶에 지나치게 많은 초점이 맞춰져 있어 농촌이 궁핍해 지는 과정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지 않고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 박성운이 사회운동을 전개하는 활동상이 없고 단지 프로그램만 제시되어 있고 갈밭새 쟁의나 형평사 운동도 구체적 묘사 없이 회고투로 진술되어 있다.
그러나 「낙동강」은 빈궁에 대한 민족적이고 계급적인 인식과 함께 그것에 대해 의식적이고 조직적인 저항 그리고 발전적 전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뚜렷한 이념을 가지고 식민지 체제에 반항한 소설이며 애국적인 사회운동가의 모습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김성수, 「소련에서의 조명희」, 『창작과 비평』, 1989년 여름호,
김형수, 「포석 조명희의 문학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89
윤홍로, 「경향소설론」, 『한국근대소설연구』, 일조각, 1980,
정덕준, 「조명희」, 『포석 조명희의 생애와 문학』, 새미, 1999,
「포석 조명희의 현실 인식」,『어문논집』22집, 1981
한설야, 「정열의 시인 조명희」,『선집』
황동민, 「작가 조명희」,『포석 조명희 선집』, 조명희문학유산위원회 편, 동방도서출판사, 1959,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2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