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지혈(Hemostasis)
1) 지혈기전
2)혈관의 역할
(1) 맥관 수축
(2) 피내막 결합조직에의 혈소판 점착
(3) 혈관 구성분에 의한 순환 응혈 촉진제의 활성화
(4)섬유소 용해인자와 혈관성인자의 상호작용
(5)혈액 흐름에 영향을 주는 혈관인자
(6)혈관 보전에 영향을 주는 인자
(7) 혈관 내에서의 항응고 작용
2.응고
3. 섬유소 용해계
1) 섬유소 용해
2) 섬유소 용해 저지
1) 지혈기전
2)혈관의 역할
(1) 맥관 수축
(2) 피내막 결합조직에의 혈소판 점착
(3) 혈관 구성분에 의한 순환 응혈 촉진제의 활성화
(4)섬유소 용해인자와 혈관성인자의 상호작용
(5)혈액 흐름에 영향을 주는 혈관인자
(6)혈관 보전에 영향을 주는 인자
(7) 혈관 내에서의 항응고 작용
2.응고
3. 섬유소 용해계
1) 섬유소 용해
2) 섬유소 용해 저지
본문내용
됨과 거의 동시에 형성된 fibrin 덩어리를 파괴시키는 fibrinolysis계가 있다.
2) 섬유소 용해 저지
혈관 내에서 fibrin이 형성되면 그것을 녹이도록 섬유소 용해 작용이 시작된다. 그러나 너무 지나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혈액 중 생리적으로 존재하는 항-plasmin이다. 이것이 증가하면 혈전이 생기기 쉽고, 감소하면 출혈이 되기 쉽다.
항-plasmin으로는 antithrombin Ⅲ, α 2-macro-globulin, α 1-antitrypsin, α 2-plasmin inhibitor, Cl inhibitor가 있고 그중 α 2-plasmin inhibitor는 Plasmin에 대해 강하 억제 작용을 갖고 있어 섬유소 용해 저지 인자로 가장 중요하다.
출처: 혈액학(고려의학)
2) 섬유소 용해 저지
혈관 내에서 fibrin이 형성되면 그것을 녹이도록 섬유소 용해 작용이 시작된다. 그러나 너무 지나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혈액 중 생리적으로 존재하는 항-plasmin이다. 이것이 증가하면 혈전이 생기기 쉽고, 감소하면 출혈이 되기 쉽다.
항-plasmin으로는 antithrombin Ⅲ, α 2-macro-globulin, α 1-antitrypsin, α 2-plasmin inhibitor, Cl inhibitor가 있고 그중 α 2-plasmin inhibitor는 Plasmin에 대해 강하 억제 작용을 갖고 있어 섬유소 용해 저지 인자로 가장 중요하다.
출처: 혈액학(고려의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