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1) 실험의 목적
(2) 대장균군의 추정, 확정, 완전 실험(정성실험)
가. 추정실험
나. 확정실험
다. 완전실험
(3) Streaking
(4) Coliform group
가. total coliforms
나. Fecal coliform
다. Escherichia coli
(5) LB배지와 BGLB 배지에 대한 이용에 대한 차이점
(6) EMB agar
(7) Total coliform의 중요성
(8) Surrogate
2. Materials & Method
(1) Materials
(2) Method
가. LB broth 추정실험
나. EMB agar 확정실험
3. Results
(1) LB Broth 추정실험 결과
(2) EMB agar 확정실험 결과
4. Discussion
5. Reference
(1) 실험의 목적
(2) 대장균군의 추정, 확정, 완전 실험(정성실험)
가. 추정실험
나. 확정실험
다. 완전실험
(3) Streaking
(4) Coliform group
가. total coliforms
나. Fecal coliform
다. Escherichia coli
(5) LB배지와 BGLB 배지에 대한 이용에 대한 차이점
(6) EMB agar
(7) Total coliform의 중요성
(8) Surrogate
2. Materials & Method
(1) Materials
(2) Method
가. LB broth 추정실험
나. EMB agar 확정실험
3. Results
(1) LB Broth 추정실험 결과
(2) EMB agar 확정실험 결과
4.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실험에 대해 말하자면,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이다. 같은 샘플인 E.coli KCCM 12181 1ml를 LB broth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고 배양을 했지만, 한 시험관에서는 가스가 생성되었고, 다른 시험관에서는 가스가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차 발생 이유는 실험에 대한 확률적인 오차가 존재한다고 본다. 즉, 같은 샘플을 사용했음에도 vortexing 이 잘 안됐을 경우 피펫으로 1ml를 취할 때, 그 시료 1ml 안에 유당분해균이 많이 들어 있지 않으면 가스 생성이 안 될 수 있다. 같은 인큐베이터에서 같은 온도, 같은 시간으로 배양했기 때문에 인큐베이터 조건에 대한 오차는 없었다. 비록 한 시험관에는 가스가 생성되고, 다른 시험관에는 가스가 생성되지 않았지만 같은 샘플을 가지고 실험했기 때문에 E.coli KCCM 12181은 유당을 분해 할 수 있는 유당분해균 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추정시험에서 양성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실험인 EMB agar 확정실험에서 시료 E.coli KCCM 12181은 흑녹색 금속성 광택을 띄는 colony를 생성했기 때문에 확정실험 양성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김밥시료는 EMB agar에서 희미한 색과 E.coli KCCM 12181 달리 흑녹색 금속성 광택을 띄지 않았다. 그러므로 확정실험 음성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김밥에 들어있는 세균은 EMB agar가 그램-음성 균을 선택적으로 자라게 하는 선택배지이기 때문에 그램-음성 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EMB agar에서 자란 colony의 색상 차이 때문에 대장균군이라고 볼 수 없다. 확정실험을 하기 전에 조교님이 김밥시료 추정실험 LB broth에서 가스가 생성했다고 말씀하셨다. 이를 통해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김밥 시료는 대장균군은 아니지만, 유당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당분해균 중 하나이며, 그램-음성균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실시한 streaking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독립된 colony를 얻기 위해 streaking을 실시하지만, 실험자의 미숙으로 인해 개별 colony 얻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streaking을 경험함으로써 streaking을 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고, 다음번에는 좀 더 나은 streaking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그리고 추정실험에서 가스가 발생했음에도 EMB agar에서 음성반응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대장균군을 검사하는 정성실험 방법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을 느꼈다.
이번 실험을 위해 열심히 준비하고 도와주신 교수님과 조교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5. Reference
권동진. 2009.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신광출판사, p.172-174.
박영현 외 5명. 2005.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화문사, p.233-239.
김정환 외 3명. 2004. 식품미생물학 및 발효식품학실험. 지구문화사, p.74-75.
김주영 외 2명. 2002. 식품미생물학 실험. 훈민사, p.217-218.
두 번째 실험인 EMB agar 확정실험에서 시료 E.coli KCCM 12181은 흑녹색 금속성 광택을 띄는 colony를 생성했기 때문에 확정실험 양성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김밥시료는 EMB agar에서 희미한 색과 E.coli KCCM 12181 달리 흑녹색 금속성 광택을 띄지 않았다. 그러므로 확정실험 음성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김밥에 들어있는 세균은 EMB agar가 그램-음성 균을 선택적으로 자라게 하는 선택배지이기 때문에 그램-음성 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EMB agar에서 자란 colony의 색상 차이 때문에 대장균군이라고 볼 수 없다. 확정실험을 하기 전에 조교님이 김밥시료 추정실험 LB broth에서 가스가 생성했다고 말씀하셨다. 이를 통해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김밥 시료는 대장균군은 아니지만, 유당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당분해균 중 하나이며, 그램-음성균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실시한 streaking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독립된 colony를 얻기 위해 streaking을 실시하지만, 실험자의 미숙으로 인해 개별 colony 얻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streaking을 경험함으로써 streaking을 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고, 다음번에는 좀 더 나은 streaking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그리고 추정실험에서 가스가 발생했음에도 EMB agar에서 음성반응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대장균군을 검사하는 정성실험 방법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을 느꼈다.
이번 실험을 위해 열심히 준비하고 도와주신 교수님과 조교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5. Reference
권동진. 2009.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신광출판사, p.172-174.
박영현 외 5명. 2005.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화문사, p.233-239.
김정환 외 3명. 2004. 식품미생물학 및 발효식품학실험. 지구문화사, p.74-75.
김주영 외 2명. 2002. 식품미생물학 실험. 훈민사, p.217-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