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1) 면전
(2) 시험관
(3) 건열멸균법
(4) 고압증기멸균법
(5) 증기 멸균법
(6) 면전 만들시 주의할 점
(7) 면전 만들시 탈지면을 쓰지 않는 이유
2. Materials & Method
(1) Materials
(2) Method
3. Results
4. Discussion
5. Reference
(1) 면전
(2) 시험관
(3) 건열멸균법
(4) 고압증기멸균법
(5) 증기 멸균법
(6) 면전 만들시 주의할 점
(7) 면전 만들시 탈지면을 쓰지 않는 이유
2. Materials & Method
(1) Materials
(2) Method
3. Results
4.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게는 어려운 과제였다. 하지만 미생물실험 조교님들이 제작하신 면전 샘플 덕분에 내가 만든 것과 비교하면서 조금씩 개선할 수 있었고, 비록 완벽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모양새가 잡힌 면전을 완성시킬 수 있었다. 면전의 대체품으로 금속 cap, 플라스틱 cap, 고무마개 등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말씀하셨듯이 지금도 (주) CJ 식품회사에서 면전을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고 하시기에 면전은 미생물실험에 있어서 효과적인 마개 수단임을 보여준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면전이 가지고 있는 통기성이 고무마개나 금속마개보다 더 뛰어나기 때문에 미생물실험에 더 정확하고 좋은 결과를 얻는데 영향을 미치므로, 면전 제작하는 방법을 익혀둘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면전의 또 하나의 장점은 사용했던 면전도 살균만 잘하면 다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5. Reference
조현남 외 6명. 1977. 식품 미생물학실험서. 동명사, p.9∼10.
김종협 외 2명. 1983. 미생물학 실험서. 대광문화사, p.12∼13.
강헌. 1995. 미생물학 실험. 동화출판, p.16~17.
서승교 외 1명. 2006. 미생물 실험법. 보문각, p.19∼20.
5. Reference
조현남 외 6명. 1977. 식품 미생물학실험서. 동명사, p.9∼10.
김종협 외 2명. 1983. 미생물학 실험서. 대광문화사, p.12∼13.
강헌. 1995. 미생물학 실험. 동화출판, p.16~17.
서승교 외 1명. 2006. 미생물 실험법. 보문각, p.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