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감염관리 대상 균주 및 질병별 격리 지침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주요 감염관리 대상 균주 및 질병별 격리 지침(1)

1. MRSA
2. VRE(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3. Tuberculosis
4. 뇌수막구균


주요 감염관리 대상 균주 및 질병별 격리 지침(2)

1.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2. Rotavirus
3. Clostridium difficile
4. VZV (Varicella Zoster Virus)
5. CMV(cytomegalovirus)


주요 감염관리 대상 균주 및 질병별 격리 지침(3)

1.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2. Creutzfeldt-Jakob 병
3. 다재내성 장내세균 및 녹농균감염
4. 레지오넬라감염
5. 간염

본문내용

감염환자가 발생하면 유행적 발생으로 간주하
여 원인조사를 실시하여 더 이상의 전파를 막아야 한다.
- 병동환경 조사 : 비위관 식이, 여러 환자가 사용하는 경구약물, 소독제제,
물을 사용하는 기구들, 처치실, 변기세척기, 의료기구에 사용하는 젤리와 크
림 등을 조사한다.
- 환자의 조사 : 균이 정착한 환자나 감염된 환자의 추가 발견을 위하여 해당
병동의 모든 환자를 조사한다.
- 의사와 간호사의 손 씻기 실태 및 환자 격리 방법의 수행 정도가 제대로 되
고 있는지 평가하여야 한다.
- 격리에 필요한 손 씻기 시설과 물품의 공급 및 사용실태 역시 평가할 필요
가 있다.
4. 레지오넬라감염
역학적 특성
(1) 병원체 및 발생기전
Lefionella spp.에 의한 감염으로 주 병원소는 물이며 환경수에서 흔히 서식하나
화분 흙에서도 발견된다. 주 감염경로는 환경에 존재하는 레지오넬라균이 비말형
태로 되어 호흡기를 통하여 흡인되는 경우이다. 오염원은 정수 형태로 된 냉각탑
및 증발응축기(evaporating condenser), 와욕수, 분무기 등이다.
(2) 발생양상
① Legionella 감염증은 임상적으로 판이하게 다른 두 가지 감염증으로 구분된
다. 하나는 Legionella peumophila가 주 원인이 되어 폐렴을 동반하는 레지오
넬라 폐렴이고, 다른 하나는 Legionella 균종에 의해 발병하지만 폐렴을 동반
하지 않고 독감형으로 오는 폰티악 열(Pontiac fever)이다. 일부에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② 면역억제 환자의 경우 위험하며 비록 건강한 사람이더라도 중년기 흡연가들
에서는 분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
③ Legionella 폐렴의 잠복기는 2-10일이다. 따라서 질병의 최초 발별일 이전에
병원에 10일 이상 입원한 환자의 검사에서 레지오넬리증으로 확진된 것이 병
원감염이다.
④ 병원감염으로 발생하였다면 즉시 미생물의 근원을 찾아내어 더 이상의 확신
은 예방하여야 한다.
감염관리
레지오넬라증의 병원감염이 일단 발생하면 완전한 제거를 위한 역학조사 및 조절
대책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레지오넬라증이 중증이고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지침을 준수하는 것이 실수다.물이 주된 감염
소이므로 임상부서에서의 물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전체적인 물 공급 시스
템의 관리가 필요하다.
(1) 레지오넬라감염 예방의 일반적 지침
(2) 레어지넬라 감염증 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감염관리
5. 간염
역학적 특성
(1) 병원체 및 전파경로
① 임상적으로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잘 알려진 간염
바이러스로는 A,B,C,D,E형이며 최근 G형이 알려지고 있다. B형만이 DNA 바
이러스이고 나머지는 모두 RNA바이러스이다
② 경구 감염은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식수)이나 음식물을 통해 입으로 감염되는
경우로서 A형과 E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경로이다.
③ 비 경구 감염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 성관계 등 밀접한 육체관계나 바
이러스에 오염된 주사침, 혹은 피 또는 일부민 등 오염된 피고 만든 약품을
투여 받을 때 감염되는 경로이다. B형, C형, D형 감염바이러스는 주로 비 경
구 감염경로를 통해서 감염된다.
④ 분만과정에서 신생아가 모체로부터 감염되는 모아감염은 경구적, 비경구적
감염경로가 모두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비 경구 감염을 의미한다.
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원인 바이러스나 감염경로에 따라 일정한 잠복기(바이
러스가 감염된 후 간에서 증식하면서 간염증상을 일으킬 때까지)를 거친 후
임상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⑥ 잠복기는 A형(평균 4주일) E형(평균 6주일)이 2-9주일로 가장 짧고, B형(평
균 3개월)이 6주일에서 6개월로 가장 길다. C형(평균 2개월)은 5주에서 4개
월 정도 이다.
(2) 발생양상
바이러스 감염 후 나타나는 질환의 자연경과는 다양하다. A형과 E형은 만성간염
으로 이행되지 않으나 나머지(B형, D형, C형)는 만성으로 이행될 수 있다. 특히 C
형의 경우 대부분(80%이상)이 만성으로 이행된다. 그러나 일단 바이러스에 감염되
면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서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거의 유사한 임상증
상을 보이게 된다. 증상없이 모르게 지나치는 불현성 감염으로부터 임상증상을 보
이는 급성 간염, 급성전격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이행되는 다양한
임상경과를 취한다.
감염관리
(1) A형 및 E형 간염
① 예방적인 측면에서 개인 및 집단위생이 중요함
② 경구 감염경로를 통하기 때문에 수질관리 등 공중보건위생이 중요함
③ A형
- 예방주사가 개발되어 있으나 널리 사용되지 못함
- 면역글로불린 주사를 바이러스에 폭로된 지 2주 이내에 투여하면 효과적임
- A형 바이러스는 황달이 출현하기 2주전까지 대변으로 배출되며, 황달이
없는 경우에도 비슷한 기간 동안 대변으로 배출됨
④ E형
- 아직 예방주사가 없음
- 주로 저개발국에서 집단 발생할 수 있음
- 수질관리 및 공중보건위생이 철저한 개발도상국이나 선진국에서는 문제시
되지 않음
(2) B형 간염
① 예방주사(혈장 백신 또는 유전자조합형합성백신) 및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
(HBIG : Hepatitis B Lmmune Globuiln)으로 예방이 가능함
② 면역글로불린(H BIG) : 수동면역제제(passive immunization)로 감염백신과
함께 투여하여야 함
(3) C형 간염
① 바이러스 자체가 지속적으로 새로운 변이 형태를 만들면서 감염을 지속시킴
으로써 예방주사의 개발은 다소 답보상태에 있음
② 과거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을 투여 받든가, 주사기를 함께 사용하는 마약
중독자에게서 많이 발생하였음
③ 모아감염이나 가족 내 감염의 빈도는 B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음
④ B형과 마찬가지로 칫솔이나 면도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등 개인위
생에 신경을 써야 함
⑤ 직원은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특히 주사침 자상
을 입지 않도록 주의함
예방접종
(1) 신생아와 소아의 간염예방 접종
(2) 성인에서의 예방접종
(3) 직원의 감영노출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지침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6.2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