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측면에서 가르치는 교사이며, 또한 삶의 현장에서 그들의 애로와 어려움들을 해소한다는 측면에서는 비슷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만약 임상심리학자가 된다면 나는 학교의 현장에 뛰어 들어가 학생들과 함께 그들의 생각과 삶을 나누고 싶다. 어렸을 때의 나를 치료하며, 학교에서 마주치는 또 다른 상처 받은 나를 치료하는 상담교사는 나의 꿈이기도 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실요법과 선택이론
긍정의 심리학을 읽고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성격과 심리학
임상사회복지사의 입장에서 본 굿 윌 헌팅(Good Will Hunting) 감상문
윌리엄 글래서William Glasser와 현실치료
산업심리학과 조직심리학 (산업심리학의 개요, 산업 및 조직심리학,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분...
[진화심리학] - 진화심리학의 핵심개념,진화심리학에 대한 오해,자연선택과 적응
아들러의 개인심리학(A+급 자료)
상담의 개념을 인지하고, 상담의 단계적 과정을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
[교육심리학]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콜버그의 생애 도덕성 발달단계 콜버그 이론의 주요개념과 특성 및...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