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위기에 처해 있는 인류를 구원해야 한다고 주창한 교육학자는 브라멜드 이다. 브라멜드가 말하는 교육은 명확하게 짜여진 사회개혁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하며, 교육자 자신 하나하나가 지사적(志士的) 기질로 지체 없이 이 개혁운동에 앞장 서야 하며, 교실에서는 인류가 앞으로 풀어야 할 긴급한 당면문제들을 예의(銳意)강조해서 다루어야 하며, 필요하다면 주입식 경(硬)교육방법으로라도 학생의 사회의식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ⅵ. 맺음말
본질이라는 것은 “본래부터 갖고 있는 사물 독자의 성질로서 어떤 사물의 개념에 있어서 필연적이고 불가결한 속성”이다. 일반적인 어떠한 물질이나 사물의 고유한 본질 혹은 성질은 과학적으로 규명이 쉽게 될 것이다. 그러나 교육의 본질이라는 것은 교육 자체의 것이 워낙 책무가 막중한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라 어느 한 성질에 국한시켜 정의 내리기가 쉽지 않다. 여러 학자들이 자신들 만의 연구로 시대, 사회, 민족, 어원연구에 따라 정의 내리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격에 작용하는 교육, 정신문화의 계승에 작용하는 교육, 사회화와 연관되어 작용하는 교육 등이 있다. 결국 교육은 각 분야에서 “그 무엇인가가 어떤 무엇인가가 되도록”현상을 일으키거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화이트헤드의「교육의 목적」으로 본 교육이란 \'지식 활용의 방법을 체득케 하는 것\'이다. 비판받아야 할 교사의 유형은 활용되지 않은 채 사장되는 유의 지식을 대량으로 주입시켜 자기만족에 도취하는, 현학적 인간이라고 보았다. 이는 정보 범람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의 교육종사자들에게 던지는 엄중한 경고라고 볼 수 있다. 화이트헤드는 교육의 요체로서 구체적으로 두 가지를 들고 있다. 그 첫째는 \"지나치게 많은 것을 가르치지 말라\"는 것이며, 둘째로는 \"가르쳐야 할 것은 철저히 가르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반드시 가르쳐야 하는가. 그것은 사색이나 생활에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서 널리 활용될 기본 관념과 그 응용이며, 이를 해낼 수 있는 교사를 좋은 교사라고 보았다.
시대와 학자들에 따라 서로 달리 해석되고 정의되는 교육의 의미를 발표지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육론형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정환 강선보 공저, 「교육학개론」, 박영사, 2000
정영근외, 「교육학개론」, 문음사, 2005
알르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교육의 목적」, 궁리출판, 2004
ⅵ. 맺음말
본질이라는 것은 “본래부터 갖고 있는 사물 독자의 성질로서 어떤 사물의 개념에 있어서 필연적이고 불가결한 속성”이다. 일반적인 어떠한 물질이나 사물의 고유한 본질 혹은 성질은 과학적으로 규명이 쉽게 될 것이다. 그러나 교육의 본질이라는 것은 교육 자체의 것이 워낙 책무가 막중한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라 어느 한 성질에 국한시켜 정의 내리기가 쉽지 않다. 여러 학자들이 자신들 만의 연구로 시대, 사회, 민족, 어원연구에 따라 정의 내리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격에 작용하는 교육, 정신문화의 계승에 작용하는 교육, 사회화와 연관되어 작용하는 교육 등이 있다. 결국 교육은 각 분야에서 “그 무엇인가가 어떤 무엇인가가 되도록”현상을 일으키거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화이트헤드의「교육의 목적」으로 본 교육이란 \'지식 활용의 방법을 체득케 하는 것\'이다. 비판받아야 할 교사의 유형은 활용되지 않은 채 사장되는 유의 지식을 대량으로 주입시켜 자기만족에 도취하는, 현학적 인간이라고 보았다. 이는 정보 범람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의 교육종사자들에게 던지는 엄중한 경고라고 볼 수 있다. 화이트헤드는 교육의 요체로서 구체적으로 두 가지를 들고 있다. 그 첫째는 \"지나치게 많은 것을 가르치지 말라\"는 것이며, 둘째로는 \"가르쳐야 할 것은 철저히 가르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반드시 가르쳐야 하는가. 그것은 사색이나 생활에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서 널리 활용될 기본 관념과 그 응용이며, 이를 해낼 수 있는 교사를 좋은 교사라고 보았다.
시대와 학자들에 따라 서로 달리 해석되고 정의되는 교육의 의미를 발표지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육론형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정환 강선보 공저, 「교육학개론」, 박영사, 2000
정영근외, 「교육학개론」, 문음사, 2005
알르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교육의 목적」, 궁리출판, 2004
키워드
추천자료
정보화 교육
변혁의 시대에 있어서의 교장의 지도성
교육정책
교육평가제도
[교육학개론]교육의 정의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 및 외국의 성공적 교육사례
도덕성발달이론의 비교 정리 및 유아기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지도원리와 도덕성 발달활동에 ...
평생교육의 성립 배경과 발전과정
[교육연구법 논문 과제] 교육열의 원인과 영향
의무교육제도의 의미와 원리
[학습평가][교육평가]국어과(국어교육)의 학습평가,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평가, 수학과(수...
인간과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 관점 인간관의 특징 / 과학적 인간관 비판 / 콜버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