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지만, 정작 그들에게 정작 자유가 주어지면 그들은 혼란스러워 한다. 누군가의 지시를 받고 하는 것을 편하게 생각하고 자유의지로 하는 일을 불안해한다. 자유민주주의 체제 아래의 정치에서도 당의 의견에 따라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것이 인간이다. 대한민국 학생의 대학진학률이 80%를 넘나드는 것 역시 사회로 진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 수 있다. 본인 역시 수능이 끝난 후 주어지는 잠깐의 자유에 혼란스러웠으며 ‘알아서 헤쳐나가야 하는 장래’는 두려운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한의 문화는 부분적으로 인간의 자유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켜 줄 수 있기에 그들은 존속할 수 있고, 지탱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상 북한의 사회주의는 이제 전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마지막으로 존재하고 있는 사회주의 체제가 되었다. 그들의 체제는 러시아, 중국과는 차별화를 둔 사상이었고 그 결과로 마지막까지 존재할 수 있었으며, 우리는 그 이유에 대하여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들의 결속성과 집단성은 이제 우리에게는 강요하여도 실현할 수 없는 것이지만, 그것에 대하여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사상에 대한 차이가 가져온 다름은 있지만 본질적으로 우리는 그저 각자의 사상을 추구하고 있고 그곳에서 오는 다름을 인정하기 쉽지 않은 것일 뿐이다. 우리는 각자의 목소리를 내어 의견을 피력하는 데에 익숙해져 있지만 북한은 반대로 집단은 같은 생각을 하고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그들의 사상이다. 어느 것이 올바른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있을 수 없고 그들이 존재함을 인정하고 다양성의 관점에서 존중해 주는 것이 바른 것이라 생각된다.
사실상 북한의 사회주의는 이제 전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마지막으로 존재하고 있는 사회주의 체제가 되었다. 그들의 체제는 러시아, 중국과는 차별화를 둔 사상이었고 그 결과로 마지막까지 존재할 수 있었으며, 우리는 그 이유에 대하여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들의 결속성과 집단성은 이제 우리에게는 강요하여도 실현할 수 없는 것이지만, 그것에 대하여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사상에 대한 차이가 가져온 다름은 있지만 본질적으로 우리는 그저 각자의 사상을 추구하고 있고 그곳에서 오는 다름을 인정하기 쉽지 않은 것일 뿐이다. 우리는 각자의 목소리를 내어 의견을 피력하는 데에 익숙해져 있지만 북한은 반대로 집단은 같은 생각을 하고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그들의 사상이다. 어느 것이 올바른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있을 수 없고 그들이 존재함을 인정하고 다양성의 관점에서 존중해 주는 것이 바른 것이라 생각된다.
추천자료
독일통일과 한국의 통일정책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구려 역사 지키기 - 중국의 동북공정 음모
남북한의 교육 비교
주체사상에 대해여(김정일 논문을 읽고)
남북한 통일정책 어떻게 바뀌어 왔나
[남북정상회담][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교류][한반도정세]남북정상회담의 정의, 남북정상회...
일제관학자들의 식민주의사관
[남북 언어정책][남북 어휘][남북 규범문법][남북 언어통일]남북한 언어정책의 비교, 남북한 ...
북한경제론
2009년 1학기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중간과제물 공통(황진이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유의지)
한미관계현안 및 과제 [미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이론적 분석][미국의 국가적 정체성]
6자회담에 임하는 러시아의 입장, 전략과 대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