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신장실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식욕을 높여준다
목표
일주일 내로 환자는 식이제한에 대해 이해하고 수행한다.
환자와 음식선호를 적절히 선별해가며 맞게 식이계획을 세운다.
매일 음식을 조리할 때 식사 중에 소금을 음식에 첨가하지 않는다.
식이계획에 맞춰 환자는 식이를 조절하여 포타슘, 인, 칼슘, 단백질들을 조절하여 섭취한다.
수행
하루 전해질 섭취량.
단백질
Na
K
P
kcal
곡류
2g
2
mg
30
mg
30
mg
100
어류
8g
50
mg
120
mg
90
mg
75
지방
0g
0g
0
mg
0
mg
45
어류
0g
3
mg
20
mg
5
mg
100
단백질은 하루 1~1.5g/일로, 단백질의 3/4는 우유, 육고기, 계란같이 생물학적 가치가 높은 식품을 통해 섭취한다.
-소듐 : 2~4g/일 단백질 : 1.0~1.5g/일 포타슘 : 70mEq/일 인 : 700mg/일로 섭취를 제한한다.
수분제한은 소변배설량+500~700mL/일 로 제한하도록 한다.
환자가 투석 후 점심을 먹을 때마다 옆에 앉아 대화를 유도하며, 식이조절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나게 도와준다.
걷기 등과 같이 무리하지 않는 운동범위 내에서 권한다.
이론적 근거
충분한 열량을 공급하지 않으면 인체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 조직단백질을 이용한다. 이는질소균형을 깨뜨리고 영양불량 상태를 가져온다.
단백질 대사에서 발생한 노폐물의 축척이 요독증의 주된 원인이므로, 신장기능 부전의 정도와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식이단백질을 제한한다.
소변배설량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경우 수분과 소듐정체는 부종, 고혈압, 울혈성 신부전을 유발한다.
고칼슘혈증은 심부정맥을 일으킨다.
hroietin 생성이 감식이의 부족으로 빈혈이 만성적 문제가 된다.
운동을 하면 혈관도 탄탄해지며, 장운동의 효과로 식욕부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평가
환자는 매일 소변 량에 따라 수분섭취를 조절했더니 항상 3KG은 기본으로 넘던 무게가 3Kg 이상을 넘지 않았다.
환자는 교육 후 정해진 전해질 범위 내에서 섭취했다.
사정
주관적자료
“화장실 다녀올 때 조금 어리러웠던 것 같아요”
“투석 한번 받으려니까 내가 힘들어 죽겠어.”
객관적자료
피부가 창백해 보였다.
투석 후 힘들어서 20분정도 침대에 계속 누워계셨다.
- 검사수치증가 및 감소
BUN 42.9
Creatinine 8.4
RBC 3.63
Hgb 11.5
Hct 35.7
진단
조절기전의 악화와 관련된 피로감
계획
활동 양상 및 활동장애 정도를 사정한다.
활동참여 전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관찰한다.
수동, 능동적 운동을 실시한다.
자가 간호, 운동, 여가활동에 점진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11이하이거나 헤마토크릿이 33이하일 때 조혈제를 투여한다.
활동계획을 세우고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활동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활동제한에 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철분을 식사 30~60분 전에 공급하여 최상의 흡수를 도모하고 인결합제와 동시에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계획된 활동, 위험요인들의 변경과 예방법등을 가르친다.
목표
일주일이내에 환자는 일상적 활동을 하는데 피곤함과 허약감이 없다고 표현한다.
수행
수동, 능동적 운동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환자와 가족에게 계획된 활동, 위험요인들의 변경과 예방법등을 가르쳐 주었다.
활동계획을 세우고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활동량을 점진적으로 증진시켰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10이하여서 recormon(조혈제) 1000unit 투여하였다.
투석 후 점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키도록 교육하였다.
이론적근거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우선 운동활동이 연관되어 치료가 되어야한다.
환자의 가족들이나 주변 지인들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려 치료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되어야 더 빠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평가
환자는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데 피곤함과 허약감이 줄어들었다고 말하였다.
환자가
사정
주관적자료
“숨쉬기가 힘든것 같아요”
객관적자료
fitting edema
고혈압
before
B.P
R
T
B.T
15일
160/
110
32
98
37.2
진단
조절기전의 악화와 관련된 체액부족
계획
환자에게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하게 한다.
환자에게 신장의 기능과 왜 기능을 못해 체액과다 현상이 일어나는지 설명한다.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체중을 잴 때는 항상 같은 옷, 같은 시간, 같은 저울로 잰다.
대상자와 가족은 혈압측정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식이조절과 약물치료가 혈압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교육한다.
목표
두 시간 후 환자는 호흡수가 32에서 25로 떨어진다.
9월21일 까지 환자는 신장의 기능과 왜 기능을 못하는 지에 대해 혼자서도 설명할 수 있다.
일주일 동안 환자와 가족들은 혈압측정과 식이조절을 하여 그 조절에 따른다.
환자는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옷, 같은 저울로 체중을 측정한다.
수행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하게 해줬다.
환자는 간호사가 물었을 때에도 혼자서 신장의 기능과 왜 기능을 못하는지에 대해 설명 했다.
같은 시간, 같은 옷 ,같은 체중계로 투석전 후 몸무게를 쟀다.
날짜
15
17
19
21

62.7
63
62.5
63.5

60.2
60.1
60.3
60.1
이론적근거
수분관리의 목적은 수분균형을 증진하고 수분 불균형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있다.
1kg의 몸무게 증가는 거의 1L의 수분정체를 의미 한다. 그렇게 되면 무리가 오게 되어 신장은 더 악화된다.
수분이 정체되면 부종이 생기게 되는데 이부종도 한계에 다다르게 되면 정체된 수분은 폐와 심장으로가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평가
환자가 “숨쉬기 한결 나아졌다”라고말하였다.
혈압이130/100으로 낮아졌다.
환자는 처음에는 신장의 기능과 기능을 못하는 이유에 대해 잘 몰랐는데 교육 후 혼자서도 신장의 기능과 왜 기능을 못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며 말했다.
설명 후 환자는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알고 스스로 수분조절을 했다.
건체중에 대해서 교육해 교육 후 노폐물이 쌓인다는 것을 알고 날마다 투석 전후와 집에서도 몸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는 습관을 들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7.1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