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의 직서열 생산방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례기사 :
현대모비스 자동차 모듈공장 직서열 생산방식 세계 이목 집중
부품 순차조립 대신 부위별 결합 ‘공정 혁신’

1.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의 직서열 방식과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JIT 방식의 운영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논하시오.
2. 직서열 방식의 장점에 대해서 논하시오.
3. 직서열 방식의 단점과 위험에 대해서 논하시오.
4. 직서열 방식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사전 전제조건들에 대해서 논하시오.

본문내용

있다. 모듈 공급업자가 얼마나 잘, 그리고 빨리 모듈을 생산하느냐는 완성품의 품질과 고객의 서비스 수준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이다.
☞두 업체의 높은 신뢰와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하다.
1)두 업체 각각의 이익이 아닌 Supply Chain 내 전체수익의 최대화를 위해 공급업체와 조립업체는 주문양 뿐 아니라 모듈제작이나 부품의 원가 등을 공유해야 한다. 업체가 자신의 원가를 공개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두 업체의 신뢰를 바탕으로 Risk를 공유할 수 있다면 두 업체는 이익을 최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Risk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은 Pay-back Contract, cost sharing Contract 등이 있다.
☞두 업체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정보시스템도 새로 구축되어야 한다.
1)주문이 두 업체에 동시에 들어가고, 동시에 생산이 되는 특징을 가진만큼 두 업체가 정보공유를 할 수 있으면서 정보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두 업체만의 정보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모듈을 먼저 조립하고, 그 모듈들을 이용해서 완성품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프로세스의 순서를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재설계 해야 한다.
☞모듈조립과 품질검사에 숙련된 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
1)단순조립의 대부분은 공급업체에 맡겼으므로 조립공정의 대부분은 공급업체가 가지고 있다. 때문에 조립공장은 단순반복업무에 숙련된 인력이 아닌 모듈조립에 전문성을 가지는 인력과 완제품 품질검사에 숙련된 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
☞제품의 특징을 고려하여 직서열방식과 다른 생산방식과의 혼용을 도입합으로써 제품의 부가가치나 비용 절감 등을 이룰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7.11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