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의학용어, 약어 해설(A~W)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계 의학용어, 약어 해설(A~W)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에서 W까지의 호흡기계관련 용어 정리

본문내용

Surfactant 계면활성제
폐포에서 생성되는 가장 중요한 물질의 하나로서 흡기와 호기 중에 폐의 팽창이나 수축 시 각 폐포의 압력을 같게 해준다. 이는 호흡기계 방어기전 5가지(점액분비, 섬모운동, 대식세포, 계면활성제, 기침) 중 하나이다.
T
TB Tuberculosis 결핵
결핵은 인형 결핵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치료를 받지 않은 객담도말 양성 환자가 주요 감염원이 된다. 감염의 주된 기전은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성되는 2∼10μ 크기의 작은 비말핵의 흡입이다. 환자와 긴밀한 접촉을 지속적으로 한 경우의 감염률은 보통 25∼50%이다. 균양성 환자라도 화학요법을 시작하면 감염력은 급격히 없어져서 보통 치료시작 후 2주 후에는 감염력이 없어진다.
Thoracotomy 가슴절개술, 개흉술
Thoracic 가슴과 관련된
Thorax 흉곽
흉곽은 4개의 하부조직으로 나누어지는데 장벽늑막과 체벽늑막으로 둘러쌓이고 우측폐가 들어있는 우폐공간과 좌측폐를 포함하는 좌폐공간, 심장과 심낭을 포함하는 심낭공간, 심장, 식도 및 기관과 큰 혈관들을 포함하는 흉곽의 중심부위인 종격동으로 나누어진다.
Tonsillitis 편도염
Tracheostomy 기관절개, 기관개구(형성)술
Tuberculin test(Mantoux test) 튜버큘린검사
결핵균 감염 진단에 이용된다. 피부층 내에 결핵균 항원을 주입해서 결핵 항원이 있는지 알아보는 검사를 말한다. 과거에는 타인(tine)검사로 스크린 투베르쿨린 검사를 주로 했으나 요즘은 투베르쿨린 검사를 할 때 소아과에서는 피피디(PPD)검사를 주로 한다. 피피디 검사를 하는 검사액 속에는 결핵균 항원이 들어 있다. 타인 검사를 하는데 쓰는 Tine의 바늘 끝에 결핵균 항원 가루가 조금 묻어 있다.
결핵 항원이 든 피피디 검사액의 0.1mL를 앞팔의 앞쪽 부위의 피부층 내에 주사로 주입시켜 투베르쿨린 검사를 할 수 있다. 48-72시간 후에 경결(induration)을 기준으로 판독하는 Mantoux test가 가장 보편적 사용한다. 그리고 타인 테스트로 결핵 피부반응검사를 할 수 있다. 결핵 피부반응검사를 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 그 검사의 결과가 양성 반응으로 나타난다.
- 과거에 결핵을 앓고 다 나은 사람들이나
- 결핵을 한번도 앓은 적이 없지만 불현성 결핵에 걸렸던 사람들이나 현재 결핵을 앓고 있는 사람들 또는 과거에 BCG 결핵 예방접종으로 결핵 예방접종을 받았던 사람에게 결핵 피부 반응검사를 할 때 그 결과가 양성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
Tonsillectomy 편도절제술
Trachea 기관
기관은 직경이 2-2.5cm 이며 길이는 11cm 의 관으로 제 5흉추의 높이에서 2개의 기관지 관으로 갈라진다. 기관은 뒷면이 약간 납작한 원형의 관으로 16-20개의 말굽 모양의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뒤는 완전한 연골이 아니고 결체조직으로 이어져 있다. 자율 신경계의 지배를 받으며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이완되어 내강이 넓어지고 부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수축되어 좁아진다. 내강은 섬모가 분포되어 있는 상피세포로 되어 있고 이 세포들 사이에 있는 배상세포에서 점액을 분비한다.
Tracheotomy 기관절개술
Tracheal stenosis 기관협착증
Thoracentesis 흉강천자
흉강내의 배액( 림프액, 혈액, 삼출액 등)을 위하여 행하는 흉벽의 외과적 천공으로 진단 혹은 치료 목적으로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배액한다.
Thoracotomy 개흉술, 가슴절개술
흉벽의 외과적인 절개
Thoracoscopy 흉강경검사
종격동경검사로도 도달할 수 없는 깊은 곳에 존재하는 종격동 림프절이나 폐까지 검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종격동경검사와 마찬가지로 최소절재를 통해 시행하므로 수술시간이 짧고 통증도 적어 회복이 빠르다. 또한. 폐암의 흉막전이가 의심되지만 흉수의 양이 작아서 흉수천자를 할 수 없는 경우에 흉강경을 통하여 흉막조직을 얻을 수 있으며, 폐암이 폐의 변연부에 위치하고 크기가 작아 침 생검이 불가한 경우에도 흉강경을 이용하여 폐의 일부를 얻어내어 내부의 암 조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Thoracic breathing 흉식호흡
숨을 들이 쉴 때 가슴이 위로 올라가고 횡경막은 아래로 내려가며 내쉴때는 반대가 되는 것이 흉식호흡이다.
내시경에 의한 흉부의 진단검사
Tracheostomy 기관조루술
기도의 혹보나 기도 분비물 제거를 위해 목 부위에서 기관을 외과적으로 개구하는 것을 말한다.
Thoracostomy 흉강개구술, 흉관삽관술
배액을 목적으로 흉벽에 개구부를 외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Tachypnea 빠른호흡, 빈호흡
규칙적이지만 횟수는 큰 호흡을 말한다.
TC thoracic circumference 흉위
TV tidal volume 1회 호흡량
U
URI upper respiratory infection 상기도 감염
UAO upper airway obstruction 상기도 폐쇄
V
Visceral pleura 장벽늑막
폐를 둘러싸고 있는 막을 말한다.
VC vital capacity 폐활량
인간이 한번 공기를 최대한 들여 마셨다가 내뿜을 수 있는 가스의 최대량을 의미한다. 호기 시 폐활량은 숨을 최대한 들이마신 다음 힘껏 내쉬면서 측정하고 흡기 시 폐활량은 숨을 내쉰 후 최대한 공기를 들이마시면서 측정한다. 이론상 이 두 가지 방법은 같게 되어 있지만 호흡기질환이 있을 시에는 두 값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Ventilator 환기기, 인공호흡기
환자의 환기기능이 나빠져서 환자의 호흡만으로 폐혈액 가스교환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할 때 인공호흡기를 통해 인위적으로 호흡을 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VM venturi mask 벤튜리 마스크
산소요법의 한 방법으로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산소를 공급하고 환자 상태에 따라 산소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COPD 환자에게 사용된다.
W
Wheeze 천명
들숨(inspiration)과 날숨(expiration)때에 공기가 좁은 관을 통과하며 들리는 높은 음의 피리부는 듯한 소리, 호흡 시 쌕쌕거리는 소리이다.
Wheezing 천명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7.25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