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악 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용악 시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李庸岳(1914~1971)

2. <오랑캐꽃>

3. <낡은 집>

4. <두만강 너 우리의 강아>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무리를 목마른 뭇 슬픔으로 비유하고 있다. 이것은 나라 잃은 식민지 백성들의 간고 했던 삶에서 비롯된 殘命의 군상이었다.
다시 말해, 화자는 이 시를 통해 함께 슬퍼하는 길벗으로 인식한 타인과 한 몸이 되어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공동체적 삶의 의식을 넌지시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시는 민족적 리얼리즘을 지향하는 시의 지평선으로 성큼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두만강 위를 달리면서 유구한 물줄기와 역사의 흐름과를 생각해보는 작가는(…)그러나 한편 역사의 격동이 그치고 운동이 정지된 것과 같은 비애를 느끼는 시인 적인 영감은, 울면서라도 안위하지 않을 수 없으리 만치 거센 현실이 와중(渦中)에서 나는 울지를 못해 외롭다라고 노래부른다. 실로 안위를 모르는 시인적 정열이다. 이러한 정열은 마침내 「낡은 집」에 이르러 리얼리즘의 세계에로의 방향을 예시한다.(「조선일보」1938. 12. 28)
바람이 이리저리 날뛰는 강 건너 벌판은 약속된 미래를 보장하는 땅이 아니다. 시편「오랑캐꽃」에서도 엿보인 바 있듯이, 고구려의 옛 영화가 유실된 공간이기도 한 만주 땅은, 겨레의 수난을 가장 상징적으로 표현한 욕된 운명의 밤이 화자의 영혼을 결빙하는 동토의 땅이다. 그래서 시인은 의인화된 두만강으로 하여금 잠들지 말라고 의식의 각성을 거듭 촉구함으로써, 화자로 하여금 어둡고 혼미한 식민지의 밤과 그 욕된 운명의 역사를 증언케 한다. 삶의 터전으로서 고토를 상실한 유민의 한이 서린 이 애조로운 말투를 보아 「두만강 너 …」는 실로 간고했던 시절에 민중의 심금을 죄게 한 겨레의 悲歌였을 터이다.
<발표조의 견해>
이 시는 두만강을 의인화하여 화자의 감정을 이입시킨 작품이다. 두만강을 보는 관점이 다양하여서 정확하게 시의 의미를 연구하기 어려웠지만 보편적으로 우리 민족이 고통과 시련을 겪고 있는 욕된 운명 앞에서 화자는 나라의 현실을 외면한 채 두만강을 향하여 몸을 싣지만 죄책감을 가지고 있어 괴로워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 같다.
1연에서는 ‘죄인처럼 수그리고 코끼리처럼 말이 없다’는 화자가 두만강을 건넌다는 것으로 보아 화자가 민족 현실을 외면한 채 떠나면서 죄책감과 부끄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을 나타내며, 2연을 보면 '다른 한 줄 너의 흐름이 쉬지 않고 바다로 가야 할 곳으로 흘러내리고 있음을'에서 볼 수 있듯이 두만강이 쉬지 않고 흘러간다는 것으로 우리의 역사, 운명이 흐름이 끊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 3연에서는 ‘바람이 이리처럼 날뛰는 강 건너 벌판’은 혼란스럽고 욕된 우리 민족의 현실상황을 나타내는 것 같고 이 연의 젊은 넋이 얼어붙은 듯 서있는 것은 우리 민족의 현실을 외면한 채, 떠나 온 화자의 자책감 때문이나 무엇인가 기다린다는 면은 미래에 새로운 희망을 내포하는 것 같다.
그리고 4연에서는 '잠들지 마라 우리의 강아'는 화자가 항상 자책감을 가지고 살아가되, 항상 자신을 반성하고 돌아보면서 끊임없이 노력하라는 것을 보여 주는데 이것은 즉, 현실상황에서 항상 나태하게 있지 말고 의식이 깨어 있으라는 것이다. 또, 5연을 보게 되면 화자가 검은 날개를 찾는 것으로 보아 이 고달픈 현실을 보기가 두려워 검은 날개가 가려 주길 바라나 결국 회피할 수 없으며 '울 줄 몰라 외롭다'는 시구를 통해 화자가 현실에서 아무 것도 할 수 없어 힘들어하는 것을 보여 준다.
위의 상황들을 종합한 관점에서 보면 두만강은 우리 역사의 흐름을 이어 가는 개체로써 힘든 현실을 외면하고 도피해 오면서 죄책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우리 민족의 가슴 아픔을 담아내고 있는 것 같다.
〈토론주제〉
1. 이 시에서는 두만강을 의인화시켜 시적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두만강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서 토론해 봅시다.
2. 화자가 두만강에게 잠들지 말라고 부탁한 이유는 무엇이겠는가?
▶ 참고문헌
조달곤, 한국현대시의 이해,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박윤우, 한국현대시와 비판정신, 이용악 시의 일상성과 리얼리즘적 창작방법, 1999
유종호, 다시 읽는 한국시인, 문학동네 2002
이숭원, 현대시와 현실인식, 이용악 시의 현실성과 민중성, 한신문화사, 1990.
김병택, 한국현대시인론, 국학자료원 1995
오세영, 한국현대시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이정애, 이용악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0
노철, 「李庸岳 詩世界 變貌過程 硏究」고려대학원, 1989,
김은전, 『한국 현대시인론』시와 시학사
권혁, 「이용악 시의 공간상징 연구」,홍익대 대학원 1996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8.07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