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독후감] 시장변화를 이기는 투자 _ 버튼 G. 맬킬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시장변화를 이기는 투자
1. 견고한 토대와 공중누각
2. 군중의 광기
3. 1960∼1990년대의 주식 평가
4. 사상 최대의 거품 : 인터넷 정보검색
5.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
6. 기술적 분석과 랜덤워크 이론
7. 기본적 분석은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
8, 실용적인 새 도구 :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9. 위험을 높여서 보상을 거둔다.
10. 행태재무론
11. 효율적 시장 이론에 대한 무차별 공격과 반론
12. 랜덤워크 투자자들을 위한 지침서
13. 투자 경주의 승률 계산 : 주식과 채권 수익률의 이해와 예측
14. 생애주기 투자 길잡이
15. 월스트리트를 내딛는 세 가지 보행법

본문내용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은 있지만 큰 손실을 입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즉 정확하게 시장만큼의 수익을 얻는다. 두 번째 방식은 직접 투자 방식이다. 풍부한 정보를 토대로 개인만의 합리적인 전략을 통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위험에 노출되어 시장에서 연속적인 수익을 얻기는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대타 기용 방식이 있다. 뛰어난 펀드매니저를 통해 투자를 하는 것이다.
저자는 단기적인 주가추이를 예상하는 것은 불가능함을 언급하며 개별적인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일시적으로 시장보다는 큰 수익을 줄 수는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큰 이익을 주기 힘들다고 한다. (시장을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는 것에 대한 저자의 의견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바이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가 추천한 투자 방식은 인덱스 펀드이다. 인덱스 펀드는 주식 지수가 상승할 경우 상승률 만큼의 수익을 주는 방식으로 운용되는 펀드이며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한 나라의 경제가 장기적으로 상승하였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인덱스 펀드를 보유할 경우, 미래에 국가가 붕괴되지 않는다면 단기적으로는 국가의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더라도 결과적으로는 경제가 발전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전쟁, 내전, 자연현상 등 예상할 수 없는 피해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를 전제로 한 것이다.) 하지만 경제학에는 기회비용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분명 장기적으로 바라보았을 때 인덱스 펀드는 안전한 수익률을 보장하고 전문가들의 수익률보다 높은 수익을 내주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하지만 인덱스 펀드의 경우 보장된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기본조건은 그 자금을 다른 곳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러면 그 기간 동안의 기회비용까지 고려한다면 과연 단기적인 투자보다 이익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리고 저자가 인덱스펀드의 수익률을 조사한 기간인 1900년대 후반은 미국의 경제가 역사상 그 어느 시기보다 급성장한 시기로 알고 있다. 그에 따라 기준이 된 장기간 동안의 주가지수 또한 이례적으로 급상승 하였고 결과적으로는 인덱스펀드 또한 전문가들의 수익률보다 높게 나온 것이 아닐까? 최근에는 소위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국가들의 경우 주가지수가 제자리를 걷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7년 코스피 지수가 2000을 바라보던 것이 2012년에서야 돌파를 했고 지금은 다시 1800대로 떨어진 시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분명 어느 정도의 수익은 보장할 수 있겠지만, 언제나 인덱스펀드가 전문가들이나 개별적인 투자보다 더 높은 수익이 나올 것이라는 확신을 할 수 있을까?
P.33 랜덤워크 논리의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원숭이가 눈을 가리고 신문 경제면에 화살을 던져도 전문가들이 세심하게 선정하는 방식 못지않게 포트폴리오를 잘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도 단기적인 시장의 미래는 예측 할 수 없음을 강하게 표현한 저자의 글이라고 생각된다. 신문을 보면 전문가들의 예측은 장기적이기 보다는 단기적인 표현이 많다. ‘XXXX원이 되면 매도시점이고 XXXX되면 매수시점입니다.’ 라고 항상 그들은 주장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말을 믿고 자신의 돈을 투자한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 그들의 의견은 아무런 신뢰성도 줄 수 없다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왜 전문가들을 따라 투자하던가, 자신의 돈을 위탁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이 남는다. 아직 나는 그 정도의 돈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입장을 이해할 수 없지만, 사실을 모르기 때문일까? 아니면 그저 언론에 대한 맹신인 것일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8.0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