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rikson이론의 교육에 주는 시사점
2. Freud의 이론과 Erikson 이론의 비교
3. 행동주의란-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4. 고전적 조건화 이론의 주요 개념
5. 왓슨 이론
2. Freud의 이론과 Erikson 이론의 비교
3. 행동주의란-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4. 고전적 조건화 이론의 주요 개념
5. 왓슨 이론
본문내용
예측가능하고 통제될 수 있다는 행동주의 심리학으로의 변화에 공헌하였다.
* Skinner가 발달시킨 ‘강화의 조건’은 환경과 행동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학습이론이다.
* Skinner에 의하면 자극과 반응이 연결되는 또 다른 방법은 조작적 조건형성을 통해서라고 한다. 즉 행동은 그것의 결과에 의해서 결정 된다는 것이다.
Skinner는 유기체 스스로가 임의로 조작하는 행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조건 형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유기체 스스로가 행동을 조작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강화’의 개념이 있다.
Skinner는 발달에 환경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인간 행동이 예측 가능하고 통제될 수 있다는 행동주의 심리학으로의 변화에 공헌하였다.
비둘비둘기에게 먹이를 1일 1회만 먹도록 순응시키며 먹이 양 조절, 보통 체중의 80% 유지
↓
실험 전 23시간 동안 먹이 주지 않고 1일 1회만 먹도록 함
실험 시작 : 비둘기는 상자 안에서 새로운 환경 탐색, 우연히 지렛대 눌러 먹이 취득함.
↓
강화 : 먹이
반응 : 지렛대 누르는 행동
학습 : 지렛대 누르는 행동
비둘기가 스스로 행동
↓
조작 : 결과를 생성해 내는 것
조작적 조건형성 : 이런 절차로 학습되는 과정
* 아동의 어떤 행동이 처벌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이 다시 발생할 확률이 낮아진다. 조작적 조건형성에서는 강화와 처벌의 역할이 중요하다.
* Skinner는 습관은 조작적 학습 경험의 결과라고 믿는다.
예를 들어, 한 소년의 공격적인 행동은 친구들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했을 때, 친구들이 그의 힘에 굴복하면서 강화된다.
또 다른 소년의 경우, 그 보다 더 힘이 센 친구가 역공을 하게 되면 더 이상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 않게 된다.
위에서 예를 든 두 소년은 강화와 처벌이라는 두 요인에 기초해서 전혀 다른 방향으로 공격적 성향이 발달하게 된다. 아동이 습득하게 되는 대부분의 습관 - 아동의 독특한 ‘성격’을 형성하게 되는- 은 자신의 행동의 결과에 의해 형성된다고 한다. 강화인, 처벌인이라는 외부 자극에 달려
있다고 본다.
2. 기본 개념
(1) 반응행동과 조작행동
① 반응행동
·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반사행동 혹은 자동적 반응
· 무릎반사, 동공수축 등
② 조작행동
· 제시되는 자극 없이 자발적으로 방출되는 반응
· Skinner 상자에서 비둘기가 한 바퀴 도는 행동
③ 조작적 조건형성
· 강화를 받는 행동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강화를 받지 못하는 행
동은 소멸되는데 이처럼 강화에 의해 조작적 행위가 조건화되는 것
④ 도구적 학습
· 행동이 그 결과를 초래하는 도구적인 역할을 하는 조작적 학습
(2) 강화
모든 형태의 행동은 어떤 자극에 대한 학습된 반응의 결과라고 봄.
문제행동은 적절하지 못한 학습 때문이며,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행동으로 바꿀 수 있다.
사람이나 동물의 반응을 강하게 만들거나 바꾸는 것으로 조작적 행동이 유지되는 비율은 강화 계획이 좌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식을 주는 것은 보통 강화이지만 배가 부를 때에는 공복 때처럼 반응을 강하게 하거나 바꿀 수는 없다.
참고문헌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복지정책론 / 곽효문 / 제일법규
사회복지정책론 / 박정호 / 학지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아동복지론 / 김경혜 / 부스러기사랑나눔회
* Skinner가 발달시킨 ‘강화의 조건’은 환경과 행동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학습이론이다.
* Skinner에 의하면 자극과 반응이 연결되는 또 다른 방법은 조작적 조건형성을 통해서라고 한다. 즉 행동은 그것의 결과에 의해서 결정 된다는 것이다.
Skinner는 유기체 스스로가 임의로 조작하는 행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조건 형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유기체 스스로가 행동을 조작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강화’의 개념이 있다.
Skinner는 발달에 환경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인간 행동이 예측 가능하고 통제될 수 있다는 행동주의 심리학으로의 변화에 공헌하였다.
비둘비둘기에게 먹이를 1일 1회만 먹도록 순응시키며 먹이 양 조절, 보통 체중의 80% 유지
↓
실험 전 23시간 동안 먹이 주지 않고 1일 1회만 먹도록 함
실험 시작 : 비둘기는 상자 안에서 새로운 환경 탐색, 우연히 지렛대 눌러 먹이 취득함.
↓
강화 : 먹이
반응 : 지렛대 누르는 행동
학습 : 지렛대 누르는 행동
비둘기가 스스로 행동
↓
조작 : 결과를 생성해 내는 것
조작적 조건형성 : 이런 절차로 학습되는 과정
* 아동의 어떤 행동이 처벌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이 다시 발생할 확률이 낮아진다. 조작적 조건형성에서는 강화와 처벌의 역할이 중요하다.
* Skinner는 습관은 조작적 학습 경험의 결과라고 믿는다.
예를 들어, 한 소년의 공격적인 행동은 친구들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했을 때, 친구들이 그의 힘에 굴복하면서 강화된다.
또 다른 소년의 경우, 그 보다 더 힘이 센 친구가 역공을 하게 되면 더 이상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 않게 된다.
위에서 예를 든 두 소년은 강화와 처벌이라는 두 요인에 기초해서 전혀 다른 방향으로 공격적 성향이 발달하게 된다. 아동이 습득하게 되는 대부분의 습관 - 아동의 독특한 ‘성격’을 형성하게 되는- 은 자신의 행동의 결과에 의해 형성된다고 한다. 강화인, 처벌인이라는 외부 자극에 달려
있다고 본다.
2. 기본 개념
(1) 반응행동과 조작행동
① 반응행동
·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반사행동 혹은 자동적 반응
· 무릎반사, 동공수축 등
② 조작행동
· 제시되는 자극 없이 자발적으로 방출되는 반응
· Skinner 상자에서 비둘기가 한 바퀴 도는 행동
③ 조작적 조건형성
· 강화를 받는 행동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강화를 받지 못하는 행
동은 소멸되는데 이처럼 강화에 의해 조작적 행위가 조건화되는 것
④ 도구적 학습
· 행동이 그 결과를 초래하는 도구적인 역할을 하는 조작적 학습
(2) 강화
모든 형태의 행동은 어떤 자극에 대한 학습된 반응의 결과라고 봄.
문제행동은 적절하지 못한 학습 때문이며,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행동으로 바꿀 수 있다.
사람이나 동물의 반응을 강하게 만들거나 바꾸는 것으로 조작적 행동이 유지되는 비율은 강화 계획이 좌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식을 주는 것은 보통 강화이지만 배가 부를 때에는 공복 때처럼 반응을 강하게 하거나 바꿀 수는 없다.
참고문헌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복지정책론 / 곽효문 / 제일법규
사회복지정책론 / 박정호 / 학지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
아동복지론 / 김경혜 / 부스러기사랑나눔회
추천자료
영유아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육기관에서의 건강관리
보육시설에서의 영유아 평가
영유아보육과 교육사상
영유아 과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영유아기 과학적 탐구의 개념
영유아의 올바른 식습관지도 및 영양교육
영유아기 영양의 중요성을 기술한 후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쓰세요.
영유아기 아동의 기본 생활 영역 지도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 이...
영유아 놀이발달의 특징, 발달 수준에 적합한 놀잇감, 놀이발달을 촉진시킬수 있는 교사의 역...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기본원칙을 설명하고 영아와 유아를 대상으로 각각의 발달 ...
영유아시기에 학습방법은 놀이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놀이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놀이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