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폐소생술의 정의 -------------------------------------- 3
2. 심폐소생술의 목적 -------------------------------------- 4
3. 심폐소생술의 적응증 ------------------------------------ 4
4. 환자의 사정 ------------------------------------------- 4
5. 심폐소생술의 종류 -------------------------------------- 5
6. 심폐소생술의 3요소 ------------------------------------- 5
7. 심폐소생술의 순서 --------------------------------------6~7
8. 기관내 삽관 ------------------------------------------- 8
9. 호흡의 평가 ------------------------------------------- 8
10. 심폐소생술시 사용되는 약물 ------------------------------ 9
11. 병동에서의 심폐소생술 ----------------------------------10
2. 심폐소생술의 목적 -------------------------------------- 4
3. 심폐소생술의 적응증 ------------------------------------ 4
4. 환자의 사정 ------------------------------------------- 4
5. 심폐소생술의 종류 -------------------------------------- 5
6. 심폐소생술의 3요소 ------------------------------------- 5
7. 심폐소생술의 순서 --------------------------------------6~7
8. 기관내 삽관 ------------------------------------------- 8
9. 호흡의 평가 ------------------------------------------- 8
10. 심폐소생술시 사용되는 약물 ------------------------------ 9
11. 병동에서의 심폐소생술 ----------------------------------10
본문내용
윤활제를 사용하여 upside가 입의 아래를 향하게 삽입하여 오른손으로 굴곡면이 연구개 방향으로 쥔 후 환자의 입을 통 해 혀위를 통하여 인두 후벽에 도달하게 넣은 후 180도 회전 시킨다.
- 구강 & 비관 흡인(Oropharyngeal & nasopharyngeal suction)
불필요하게 정기적으로 흡인하지 않고 필요시에만 시행한다.
흡인 시간은 15초를 넘기지 않도록 하고 흡인 전에 반드시 산소 공급을 한다. 계속적으로 카테터를 돌리면서 천천히 뺀다.
5) 약물요법
- 정맥로 확보한다.
- 환자의 저산소증혈증을 교정하고 자연순환을 부활시키며 심장의 기능을 정 상화 시켜 심실부정맥을 억제, 산혈증을 교정, 동통을 완화, 울혈성 심부전 증을 치료하도록 한다.
6) EKG를 monitor에 연결하고 동맥혈 가스 분석을 하도록 한다.
심장마사지에 반응이 없으면 제세동기로 전기 충격을 줄 수 있다.
8. 기관 내 삽관
- 기도 폐쇄, 자발호흡이 약할 때 과도한 호흡근의 사용이나 의식이 없고 기도 유지가 필요한 환자에게 반드시 필요하다.
▶ 준비물품 : 후두경, 기관내관, 탐침, 수용성윤활제, 10㎖ or 20㎖주사기,
pvc 반창고, bite block, air way.
① 모든 장비를 확인후 적당한 크기의 삽입관을 결정
-성인의 경우 앞쪽치아에서 20-22㎝깊이
-내경 : 여자 7.0-8.0㎜, 남자 8.0-8.5㎜, 응급시 표준크기 남녀 7.5㎜
② 삽입 전에 수용성 윤활제로 미끄럽게 한다.(삽관지연시 생략)
③ 적절한 두부의 위치확보 (두부신전 목굴곡)
④ 삽관시행 전 구강과 인두의 흡인실시(때로는 불필요)
⑤ 100% 산소로 과도 환기 시킨다.
⑥ 우측 손가락으로 입을 벌리고, 좌측 손에 후두경을 쥐고 날을 입의 우측으로 삽 입하여 혀를 좌측으로 민다.
⑦ 그 후에 날은 중간선을 따라서 혀의 기저부까지 밀어 넣는다.
동시에 아랫입술은 우측 검지로 날에서 떼어 놓는다.
부드럽게 시행하고, 입술이나 치아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것이 필수
⑧ 삽입관은 입의 우측 모퉁이를 통해 직접 보면서 성대를 지나 집어 넣는다.
⑨ 탐침 상용시 삽입관에서 제거
⑩ 성대위치에서 커프의 근위부 끝을 기관내로 1~2.5㎝ 더 집어 넣는다.
⑪ 삽입관을 기도를 막을 만큼 공기 (10~20㎖)로 팽창
(기관내 삽관시도는 30초 이내에 끝내야하고 15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9. 호흡의 평가
① 인공호흡 시키면서 상복부 청진, 흉벽 팽창관찰
흉벽을 응시하며 삽입관의 위치 확인
② 삽입관이 성대를 지나 적절히 들어갔음을 재확인후 삽입관을 안전하게 고정
(pvc반창고를 이용하여 입술한쪽에서 시작하여 삽입관을 한바퀴 돌리고 안전하 게 고정한 다음 반대편 입술가장자리로 고정한다.)
10. 심폐소생술시 사용되는 약물
① epinephrine (1mg/1ml)
작용 : 기관이완, 심장, 중추신경계를 자극, 고용량은 혈관수축을 일으킴
저용량은 혈관 수용체를 통해 혈관을 이완시킴
적응증 : 동공확대, 심계항진, 기관지 천식, 혈청병, 두드러기, 약물쇼크
② atropin (0.5mg/1ml)
작용 : 부교감 신경의 아세틸콜린 수용기에 작용하여 소화관, 담관, 방광, 요관 등의 평활관 경축을 완해 ->타액, 기관지 점막, 위액, 췌액 등이 분비억제
적응증 : 과산증, 담마진, 습진, 저나트륨혈증, 설파제에 의한 산성뇨증
③ calcium gluconate
작용 :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혈관을 수축
적응증 : 저칼슘혈증, 과마그네슘혈증, 부갑상선기능 저하증, 과칼륨혈증으 로 인한 심장독성의 예방과 치료
④ sodium bicarbonate
작용 : 위산을 중화하며 물, Nacl,Co2 가 형성
혈장에 중탄산염이 증가하며 그것을 수소이온 농도와 완충작용
적응증 : 과산증, 담마진, 습진, 체액 산성화 방지, 저나트륨혈증
⑤ ephedrine (40mg/1ml)
작용 : 교감신경 흥분제, 진해제, 진정제
적응증 : 동, 정맥에 모두 적용하는 말초혈관 확장제
급성 저혈압 상태, 심정지
⑥ 솔루코테프 (100mg)
작용: 부신피질기능부전증, 류마티스 장애, 피부질환, 알레르기 질환,
호흡기 질환, 부종성질환(배뇨증가와 유도 및 단백뇨의 완화)
⑦ dopamin (200mg/5ml)
작용 : 심박출량 증가
저 용량 투여시에는 신장과 장간막의 혈관을 확장
적응증 : 심근경색, 패혈증, 수술 후 신부전으로 인한 쇼크, 울혈성 심부전 에 의한 만성 심대상부전증,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및 순 환장애
11. 병동에서의 심폐소생술
환자발견, 의식확인
간호사 1 간호사2 간호사3
환자확인 및 의사Call과 함께 V/S Check
다른 간호사에게 연락 CPR 방송연락 응급 kit 이동
Aspiration 예방체위 IV 확보(18G) EKG-M부착
(앙와위를 취한채 고개를 *N/S또는H/S로 연결 02준비
옆으로 돌린다.) Suction 준비
기도유지,Airway삽입 Intubation set준비 EKG-M 시작
Suction
두부후굴-하악거상
Ambu mask & Ambu
bagging 투약준비 v/s check
cardiac massage
의사도착
Intubation 시행
Intubation 준비 및 보조 약물처치 v/s check
결 론
지금까지 심폐소생술의 방법을 알아보았다.
과거보다 심장병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요즈음은 심폐소생술의 올바른 보급 및 적절한 대처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의 부적절한 사용 및 늦은 대처는 환자에게 합병증 및 사망으로 이어지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환자의 빠른 발견과 올바른 심폐소생술 및 적절한 응급상황대처는 환자의 생명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에 대한 빠른 판단과 심폐소생술의 올바른 방법 및 절차를 숙지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하겠다.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2004). 성인간호학하. 서울 : 현문사
2. 김광주 외 (1998). 응급 간호. 서울 : 현문사
3. 김조자 (2007). 전문심장소생술. 서울 : 대한간호협회.
4. 건국대충주병원(2007). 신규간호사 지침서 충주 : 건국대충주병원
- 구강 & 비관 흡인(Oropharyngeal & nasopharyngeal suction)
불필요하게 정기적으로 흡인하지 않고 필요시에만 시행한다.
흡인 시간은 15초를 넘기지 않도록 하고 흡인 전에 반드시 산소 공급을 한다. 계속적으로 카테터를 돌리면서 천천히 뺀다.
5) 약물요법
- 정맥로 확보한다.
- 환자의 저산소증혈증을 교정하고 자연순환을 부활시키며 심장의 기능을 정 상화 시켜 심실부정맥을 억제, 산혈증을 교정, 동통을 완화, 울혈성 심부전 증을 치료하도록 한다.
6) EKG를 monitor에 연결하고 동맥혈 가스 분석을 하도록 한다.
심장마사지에 반응이 없으면 제세동기로 전기 충격을 줄 수 있다.
8. 기관 내 삽관
- 기도 폐쇄, 자발호흡이 약할 때 과도한 호흡근의 사용이나 의식이 없고 기도 유지가 필요한 환자에게 반드시 필요하다.
▶ 준비물품 : 후두경, 기관내관, 탐침, 수용성윤활제, 10㎖ or 20㎖주사기,
pvc 반창고, bite block, air way.
① 모든 장비를 확인후 적당한 크기의 삽입관을 결정
-성인의 경우 앞쪽치아에서 20-22㎝깊이
-내경 : 여자 7.0-8.0㎜, 남자 8.0-8.5㎜, 응급시 표준크기 남녀 7.5㎜
② 삽입 전에 수용성 윤활제로 미끄럽게 한다.(삽관지연시 생략)
③ 적절한 두부의 위치확보 (두부신전 목굴곡)
④ 삽관시행 전 구강과 인두의 흡인실시(때로는 불필요)
⑤ 100% 산소로 과도 환기 시킨다.
⑥ 우측 손가락으로 입을 벌리고, 좌측 손에 후두경을 쥐고 날을 입의 우측으로 삽 입하여 혀를 좌측으로 민다.
⑦ 그 후에 날은 중간선을 따라서 혀의 기저부까지 밀어 넣는다.
동시에 아랫입술은 우측 검지로 날에서 떼어 놓는다.
부드럽게 시행하고, 입술이나 치아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것이 필수
⑧ 삽입관은 입의 우측 모퉁이를 통해 직접 보면서 성대를 지나 집어 넣는다.
⑨ 탐침 상용시 삽입관에서 제거
⑩ 성대위치에서 커프의 근위부 끝을 기관내로 1~2.5㎝ 더 집어 넣는다.
⑪ 삽입관을 기도를 막을 만큼 공기 (10~20㎖)로 팽창
(기관내 삽관시도는 30초 이내에 끝내야하고 15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9. 호흡의 평가
① 인공호흡 시키면서 상복부 청진, 흉벽 팽창관찰
흉벽을 응시하며 삽입관의 위치 확인
② 삽입관이 성대를 지나 적절히 들어갔음을 재확인후 삽입관을 안전하게 고정
(pvc반창고를 이용하여 입술한쪽에서 시작하여 삽입관을 한바퀴 돌리고 안전하 게 고정한 다음 반대편 입술가장자리로 고정한다.)
10. 심폐소생술시 사용되는 약물
① epinephrine (1mg/1ml)
작용 : 기관이완, 심장, 중추신경계를 자극, 고용량은 혈관수축을 일으킴
저용량은 혈관 수용체를 통해 혈관을 이완시킴
적응증 : 동공확대, 심계항진, 기관지 천식, 혈청병, 두드러기, 약물쇼크
② atropin (0.5mg/1ml)
작용 : 부교감 신경의 아세틸콜린 수용기에 작용하여 소화관, 담관, 방광, 요관 등의 평활관 경축을 완해 ->타액, 기관지 점막, 위액, 췌액 등이 분비억제
적응증 : 과산증, 담마진, 습진, 저나트륨혈증, 설파제에 의한 산성뇨증
③ calcium gluconate
작용 :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혈관을 수축
적응증 : 저칼슘혈증, 과마그네슘혈증, 부갑상선기능 저하증, 과칼륨혈증으 로 인한 심장독성의 예방과 치료
④ sodium bicarbonate
작용 : 위산을 중화하며 물, Nacl,Co2 가 형성
혈장에 중탄산염이 증가하며 그것을 수소이온 농도와 완충작용
적응증 : 과산증, 담마진, 습진, 체액 산성화 방지, 저나트륨혈증
⑤ ephedrine (40mg/1ml)
작용 : 교감신경 흥분제, 진해제, 진정제
적응증 : 동, 정맥에 모두 적용하는 말초혈관 확장제
급성 저혈압 상태, 심정지
⑥ 솔루코테프 (100mg)
작용: 부신피질기능부전증, 류마티스 장애, 피부질환, 알레르기 질환,
호흡기 질환, 부종성질환(배뇨증가와 유도 및 단백뇨의 완화)
⑦ dopamin (200mg/5ml)
작용 : 심박출량 증가
저 용량 투여시에는 신장과 장간막의 혈관을 확장
적응증 : 심근경색, 패혈증, 수술 후 신부전으로 인한 쇼크, 울혈성 심부전 에 의한 만성 심대상부전증,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및 순 환장애
11. 병동에서의 심폐소생술
환자발견, 의식확인
간호사 1 간호사2 간호사3
환자확인 및 의사Call과 함께 V/S Check
다른 간호사에게 연락 CPR 방송연락 응급 kit 이동
Aspiration 예방체위 IV 확보(18G) EKG-M부착
(앙와위를 취한채 고개를 *N/S또는H/S로 연결 02준비
옆으로 돌린다.) Suction 준비
기도유지,Airway삽입 Intubation set준비 EKG-M 시작
Suction
두부후굴-하악거상
Ambu mask & Ambu
bagging 투약준비 v/s check
cardiac massage
의사도착
Intubation 시행
Intubation 준비 및 보조 약물처치 v/s check
결 론
지금까지 심폐소생술의 방법을 알아보았다.
과거보다 심장병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요즈음은 심폐소생술의 올바른 보급 및 적절한 대처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의 부적절한 사용 및 늦은 대처는 환자에게 합병증 및 사망으로 이어지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환자의 빠른 발견과 올바른 심폐소생술 및 적절한 응급상황대처는 환자의 생명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에 대한 빠른 판단과 심폐소생술의 올바른 방법 및 절차를 숙지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하겠다.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2004). 성인간호학하. 서울 : 현문사
2. 김광주 외 (1998). 응급 간호. 서울 : 현문사
3. 김조자 (2007). 전문심장소생술. 서울 : 대한간호협회.
4. 건국대충주병원(2007). 신규간호사 지침서 충주 : 건국대충주병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