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정책 - 프로이드의 인성구조와 정신분석학적 범죄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론
1. 기본개념
2. 의식수준
3. 인성의 구조
4. 자아성적 발달단계
5. 자아방어기재

Ⅱ. 범죄행위에대한 정신분석학적 설명
1. 에고와 슈퍼에고
2. 에이크혼의견해
3. 히얼리와 브론너의 견해
4. 바울비의 견해
5. 레들과 와인맨의 견해

Ⅲ. 정신분석학적 범죄론의 한계
1. 이론의 한계
2. 클렉크리의 비판
3. 볼드와 버나드의 비판

본문내용

. 이러한 결과에 의해 레들과 와인맨은 비행소년들은 내부적으로 적절한 수퍼에고를 형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에고도 이드의 욕구를 아무런 규제없이 무조건 옹호하는 방향에서 구성되었다고 보았다. 이처럼 에고가 슈퍼에고의 규제없이 이드의 욕구대로 형성된 경우를 비행적 자아라고 하였다.
Ⅲ. 정신분석학적 범죄론의 한계
1. 이론의 한계
1) 이론의 과학적 정확성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 즉,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체계화 되었기 때문에 정상인에 대한 적용이 제한된다는 점이다.
2) 성적 요인을 적응문제에 도입한 공은 있으나 이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적응문제 모두를 이것과 관련짓고 있다는 점이다.
3) 그 구성개념들이 애매하고 정의되지않았다. 이는 이론이 과학적 절차보다는 임상적 관찰에만 근거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4) 인간을 지나치게 성욕과 거세불안에 지배되는 수동적, 소극적 존재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또 외디푸스 콤플렉스의 비교문화연구결과는 문화권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보편성에 문제가 있다.
5) 지나치게 결정론이며 남녀차별주의적이다. 인간을 원초아의 타고난 충동들에 의하여 움직이는 존재로 보고 있으며 ‘남근선망’ 등의 개념에서 여성이 무가치함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목표추구적 경향성이나, 여성의 성적 동일시가 사회적 성에 의한다는 주장들과는 상충한다.
2. 클렉크리의 비판
클렉크리는 정신분석학이론에 내재하는 주관적인 해석의 측면을 이같이 말하였다. “정신과 수련의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놀라웠던 사실은 수련의가 갖는 진단에 따라 환자가 경험했다고 설명하는 내용이 결정된다는 것이었다. 수련의가 원하기만 한다면 환자들은 수련의가 원하는 방향에서 필요한 모든 종류의 유아기 경험을 겪었다고 애기하곤 했다. 따라서 지금 내가 확신하는 바는 환자의 무의식이 어떤 것이었다고 조사하는 기존의 방법을 신뢴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절차로 인정할 수없다 ” 고하여 이를 비판하고 있다.
3. 볼드와 버나드의 비판
볼드와 버나드는 정신분석학적 설명은 대부분 행위가 발생한 후에 행해지며 설명의 상당부분은 무의식적 동기를 활용하여 해석한다. 이같은 설명방식은 그럴듯하지만 문제는 정신분석가가 행한 설명의 정확성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볼드와 버나드는 범죄의 원인론을 연구하는 부분에서 정신분석학적 접근방법은 그 효울성이 매우 의심스럽다며 이를 비판하였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8.29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